$\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사회 거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유병율과 정상 노인과의 비교연구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Compared to Elderly with Normal Cognitive Functio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3 no.1, 2011년, pp.40 - 49  

신경림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정덕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김정수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김미정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김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mong a group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and to determin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perceived health status (PHS) between the MCI group and group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선행보고와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지역사회 거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율은 상당히 높아 치매의 고위험군인 경도인지장애 노인에 대한 인지기능강화 및 유지를 위한 간호전략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이들 대상자에 대한 특성의 확인을 통해 인지기능강화 관련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결과의 의미가 있다고 판단한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경도인지장애 유병율과 경도 인지장애 노인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일개 보건소를 방문한 노인 중 총 1,930명을 접촉하여 연구참여에 동의하고 자료제공을 완료한 총 605명을 최종연구의 대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을 확인하고, 경도인지장애 노인과 정상노인 간의 일반적 특성, 일상생활수행능력,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치매 예방과 조기중재를 위한 초점집단으로서 치매의 전 단계로 알려진 경도인지장애 노인과 그 특성에 대해 탐색한 연구로서 국내 간호학분야에서 유일한 연구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수많은 연구결과가 있었으나 도출된 결과의 적용측면에서는 그 대상이 치매노인이므로 적용의 한계가 많이 제기되어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의 경도인지장애 유병율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사회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간호중재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설계는 지역사회 노인의 경도인지장애 유병율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도인지장애란 무엇인가? 이와 같이 치매 예방 및 발생지연을 위한 관점에서 치매의 전 단계 즉 전구증으로 알려진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경도인지장애는 정상과 초기 치매사이의 인지변화를 보이는 과도기적 단계의 인지기능 장애를 말하며 그 진단기준이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아 연구자마다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진단기준은 1) 대상자 본인 또는 가족에 의한 인지, 기억력장애의 호소; 2) 인지기능 중 어느 영역의 기능 감소; 3) 전반적 일생생활 수행능력유지; 4) 정상기능에서의 변화; 5) 비 치매의 다섯 가지 범주가 포함된다(Winblad et al., 2004).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어떻게 변할 것으로 예상되는가? 6%가 노인인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전망되므로(Korean National Statistic Office [KNSO], 2009) 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시점에 있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동시에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2008년 기준 8.4%인 421,387명으로 추정되며, 이는 2020년에는 77만 명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노인의 경도인지장애 유병율과 경도 인지장애 노인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한 결과는 어떠한가? 서울시 소재 일개 보건소를 방문한 노인 중 총 1,930명을 접촉하여 연구참여에 동의하고 자료제공을 완료한 총 605명을 최종연구의 대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경도인지장애 노인은 46% (278명)이었으며 정상노인은 50.2% (304명), 치매노인은 3.8% (23명)이었다. 이들 중 경도인지장애 노인과 정상노인 간 특성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도구적 일상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연령, 교육수준, 성별, 배우자와의 동거 유무, 음주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경도인지장애 노인은 도구적 일상활동에 있어 정상노인보다 활동 정도가 낮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도 정상노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정상노인에 비해 여성의 분포가 높으며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으며 배우자와의 동거정도가 낮은 것으로, 더불어 음주자의 분포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rson, M. E., Prompei, P., Ales, K. L., & Mackenzie, C. R. (1987).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hronic Disease, 40 (5), 373-383. 

  2.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 Mental-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2 (3), 189-198. 

  3. Hori, M., Kubota, M., & Kinoshita, A. (2008). The support system for dementia patient and their caregiver with Skype and webcam. Gan To Kagaku Ryoho, 35 (1), 43-45. 

  4. Hwang, M. H. (2000). A model of self-care and well-being of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5. Hwang, R. I., Lim, J. Y., & Lee, Y. W. (2009). A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impairment leve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622-631. 

  6. Joo, A. R., & Park, S. H.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6 (1), 27-37. 

  7. Jung, H. Y., Park, B. K., Shin, H. S., Kang, Y. K., Pyun, S. B., Paik, N. J., et al. (2007).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1 (3), 283-297. 

  8. Kang, Y., Na, D. L., & Hahn, S. (1997).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5 (2), 300-307. 

  9. Karrasch, M., Sinerva, E., Gromholm, P., Rinne, J., & Laine, M. (2005). CERAD test performances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111 (3), 172-179. 

  10. Kim, J., Jung, H., Kwon, Y., Han, S., & Shim, S. (2006).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College, 12 (2), 287-292. 

  11. Kim, K. B., Lee, Y. J., & Sok, S. R. (2008).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 765-777. 

  12. Korean National Statistic Office [KNSO] (2009). Statistics for the old-ages. Daejeon: Author. 

  13. Ku, H. M., Kim, J. H., Kwon, E. J., Kim, S. H., Lee, H. S., & Ko, H. J. (2004).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3 (2), 189- 199. 

  14. Larrieu, S., Letenneur, L., Orgogozo, J. M., Fabrigoule, C., Amieva, H., Le Carret, N., et al. (2002). Incidence and outcom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cohort. Neurology, 59 (10), 1594-1599. 

  15. Lee, J. Y., Lee, D. W., Cho, S. J., Na, D. L., Jeon, H. J., Kim, S. K., et al. (2008). Brief screening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outpatient clinic: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1 (2), 104-110. 

  16. Luck, T., Riedel-Heller, S., Luppa, M., Wiese, B., Wollny, A., Wagner, M., et al. (2010). Risk factors for incident mild cognitive impairment-results from the german study on ageing, cognition and dementia in primary care patients (AgeCoD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21 (4), 260- 272. 

  17. Mariani, E., Monastero, R., Ercolani, S., Rinaldi, P., Mangialasche, F., Costanzi, E., et al. (2008). Influence of comorbidity and cognitive status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from the ReGAl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3, 523-530. 

  18. Mahoney, F. J., &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1), 61-65. 

  19. Min, H. S. (2007). Cognitive function among the elderly and its cor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 78-88.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April). National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Retrieved August 14, 2010, from Web site: http://www.mw.go.kr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Introduction of elderly health and welfare program. Seoul: Author. 

  22. Miyamoto, M., Kodama, C., Kinoshita, T., Yamashita, F., Hidaka, S., Mizukami, K., et al. (2009).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mong non-responders to a community survey.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16 (2), 270-276. 

  23. Nasreddine, Z. S., Phillips, N. A., Bedirian, V., Charbonneau, S., Whitehead, V., Collin, I., et al. (2005).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A brief screening tool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 (4), 695-699. 

  24. National Health Insurance Cooperation [NHIC] (2010). Statics of NHIC. Retrieved August 14, 2010, from Web site: http:// www.nhic.or.kr/ 

  25. Park, C. (2004). Analysing the costs by types of family caregiving for the dement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4 (4), 1-17. 

  26. Roh, K. H. (2008). A review of the trends of journal research on dementia and nursing interventions for demented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300-309. 

  27. Shah, S., & Muncer, S. (1999). Sensitivity of Shah, Vanclay and Cooper's modified Barthel index. Clinical Rehabilitation, 13 (2), 141-147. 

  28.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 (2), 93-100. 

  29. Unverzagt, F. W., Sujuan, G., Lane, K. A., Callahan, C., Ogunniyi, A., Baiyewu, O., et al. (2007). Mild cognitive dysfunction: An epidemiological perspective with an emphasis on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0 (4), 215-226. 

  30. Winblad, B., Palmer, K., Kivipelto, M., Jelic, V., Fratiglioni, L., Wahlund, L. O., et al. (2004). Mild cognitive impairmentbeyond controversies, towards a consensus: Report of the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56 (3), 240-2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