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비작물의 경작형태와 우분액비시용이 벼와 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양분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age Cropping System and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Productivity of Rice and Forage Crops and Nutrient Movement in Paddy Land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1 no.1, 2011년, pp.55 - 64  

육완방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최기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경보 (국립식량과학원) ,  강요셉 (전북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  윤창 (전북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분액비 및 녹비작물 도입에 의한 답리작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수확한 다음 우분액비시용이 벼 및 후작물인 답리작 사료작물의 생산성,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 및 양분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축산진흥연구소내 식양토의 논에서 2006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3개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우분액비 시용은 벼는 이앙 전에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으며 총체보리 및 호밀은 파종전과 봄 생육 개시 전에 2회 균등분할 시용하였는데, 화학비료 대비 우분액비의 시용수준은 N를 기준으로 하였다. 처리는 벼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 벼+ 총체보리 2모작 우분액비 시용구, 벼+호밀 2모작 우분액비 시용구, 벼+자운영 및 벼+베치로 구성하여 5처리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배치하였으며 벼는 농가관행에 준하여 재배되었다. 3개년 평균 벼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있어서 초장 및 수장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가 가장 길었으며 경수 및 낱알 수도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가 가장 많았다. 등숙율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 총체보리 우분액비 시용구 및 호밀 우분액비 시용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자운영 단작구 및 베치 단작구에 비해 높았다. 현미수량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가 가장 많았고 자운영 단작구 및 베치 단작구는 비슷한 수준으로 총체보리 우분액비 시용구 및 호밀 우분액비 시용구에 비해 낮았다. 벼와 2모작으로 재배한 총체보리의 수량이 호밀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경작형태별 우분액비시용에 따른 토양내 pH, $P_2O_5$, T-N, OM 농도 및 치환성 양이온의 농도는 시험전에 비해 시험종료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배출수 중 $NO_3$-N, $NH_4$-N 및 $PO_4$ 농도는 총체보리 및 호밀 우분액비 시용구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에 비하여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이앙 후 시일이 경과할수록 낮아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and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rice productivity and nutrient movement in paddy land. Cropping systems used in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ive designs, such as mono-cropping rice applied with standard fertilizer (MRS), d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분액비에 의한 답리작 사료작물 재배 및 녹비작물 재배 후 벼 및 답리작물의 생산성,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 및 양분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분액비 및 녹비작물 도입에 의한 답리작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수확한 다음 우분액비시용이 벼 및 후작물인 답리작 사료작물의 생산성,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 및 양분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축산진흥연구소내 식양토의 논에서 2006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3개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우분액비 시용은 벼는 이앙 전에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으며 총체보리 및 호밀은 파종전과 봄 생육 개시 전에 2회 균등분할 시용하였는데, 화학비료 대비 우분액비의 시용수준은 N를 기준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a and b: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축분뇨는 어떤 환경문제를 야기하는가? 농업활동에 의한 환경오염원은 화학비료의과다 시용과 유출에 의한 수질오염과 적절하게 처리되지 못하고 방류되는 축산분뇨, 그리고 강우에 의해 토양과 함께 유실되는 영양성분 등이 있다. 특히 가축분뇨는 자연에 방치할 경우 수질오염, 악취발생, 위생악화 등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가축분뇨에 대한 환경규제는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가축분뇨 중의 질소, 인산, 세균 및 유기물함량이 높아 지표수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인축의 피해와 하천의 부영양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축산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가축분뇨가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가축분뇨는 자연에 방치할 경우 수질오염, 악취발생, 위생악화 등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가축분뇨에 대한 환경규제는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가축분뇨 중의 질소, 인산, 세균 및 유기물함량이 높아 지표수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인축의 피해와 하천의 부영양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축산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가축의 분뇨는 그 종류에 따라 유기와 무기N의 비율은 가축이나 사료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고(50~80%의 무기N), P와 K는 80~90%가 무기태로 되어 있어 그 이용효율이 현저히 높다.
가축의 분뇨를 비료원으로 시용 시 질소 과잉으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가축분뇨가 비료원으로 토양에 환원될 때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이 질소와 인으로, 질소를 과잉 시용하면 가축이 섭취한 사료를 통하여 질산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며(Goh와 Vityakon,1986), 흡수되지 못하는 질소는 용탈(Davies등, 1996), 유실(Gilley 등, 1999)되고, 강우에 의해 유실되거나 용탈되는 양은 많기 때문에 지하수에 유입되어 지하수 오염의 원인이 된다(육, 1990; Jarvis 등, 1987; PYe, 1983; Legg와Meisinger, 1982; McCalla, 197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종구, 이경보, 이덕배, 이상복, 나승용. 2004. 배수조건이 다른 논에서 돈분뇨 액비시용이 벼생육 및 양분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 학회지 37(2):97-103. 

  2. 농림부,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2000. 가축 분뇨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제2권) 

  3. 농촌진흥청. 1989. 토양화학분석법 

  4. 육완방. 1990. 영년혼파초지에 있어서 예취빈도 와 질소시비수준이 NO3-N의 유실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0(2):84-88. 

  5. 임영철, 윤세형, 정민웅, 김원호, 김종근, 이종경, 서 성, 박남건, 육완방. 2007. 가축분뇨시용이 총체벼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7(4):287-296. 

  6. 임영철, 윤세형, 김원호, 김종근, 신재순, 정민웅, 서 성, 육완방. 2006. 논에서 수수 ${\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 재배시 가축분뇨 이용이 생육특성, 수량, 사료가치 및 NO3-N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4):233-238. 

  7. Anzai, T. and N. Matsumoto. 1987. Effects of annual application of swine urin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heavy metal contents of paddy soil. Soil. Plant Nutr. 58:433-439. 

  8. Choudhary, M., L.D. Bailey, and C.A. Grant. 1996. Review of the use of swine manure in crop production: Effect on yield and composition on soil and water quality. Waste. Manage. Res. 14:581-595. 

  9. Davies, D.B., T.W.D. Garwood and A.D.H. Rochford. 1996. Factors affecting nitrate leaching from a calcareous loam in East Anglia.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Cambrige 126:75-86. 

  10. Gilley, J.E., B. Eghball, J.M. Blumenthal and D.D. Baltensperger. 1999. Run-off and erosion from inter rill areas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manure. Transactions of the ASEA 42(4):975-980. 

  11.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ook 379, U.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12. Goh V.M. and Vityakon P. 1986. Effects of fertilizers on vegetable production 2.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s on nitrogen content and nitrate accumulation of spinach and beetroot. N.Z.J. Agr. Rs. 29:485-494. 

  13. Hountin, J.A. and A. Karam, and D. Couillard. 2000. Use of a fractionation procedure to access the potential for P movement in a soil profile after 14 years of liquid pig manure fertilization. Agr. Ecosyst. Environ. 78:77-84. 

  14. Jarvis, S.C., M. Sherwood and J.H.A.M. Steenvoorden. 1987. Nitrogen losses from animal manure from grazed pastures and from applied slurry. In: Van Der Meer, 

  15. Jeon, W.T, H.M. Park, C.Y. Park, K.D. Park, Y.S. Cho, E.S. Yun, and U.G. Kang. 2003. Effect of liquid pig manure application on rice growth and environment of paddy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6:333-343. 

  16. Jurgen, M.H. 1982. Animal feeding and and nutrition. Kentall & Hunt Publishing, Inc. Virginia. 

  17. Kim, M.C., D.J. Choi and S.T. Song. 2001. Effect of swine liquid manure and phosphorous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on dry matter yield and N and P uptake of Italian ryegrass. J. Anim. Sci. Technol. 43:973-980. 

  18. Legg, J.O. and J.J. Meisinger. 1982. Soil nutrition budgets in nitrogen in agricultural soils. In: FJ. Stevenson ed.) Nitrogen in agricultural soils. Agron. Monogr. 22. ASA, CSSA, Madison, WI. 

  19. McCalla, T.M. 1974. Use of animal manure wastes as a soil amendment. J. Soil Water Conserv. 29:213-216. 

  20. Murayama, S., N. Kibo, M. Komada, K. Baba, and A. Tsumura. 2001. Water quality, particularly of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of ground water of agricultural area of humic volcanic ash soil on Shirash Plateau where livestock wastes have been applied as land management. Soil Sci. Fret. 34:147-152. 

  21. Peter, S. and M. Amato. 2002. Remineralization and residual effects of N after application of pig slurry to soil. Eur. J. Agron. 16:81-95. 

  22. Pye, V.I. 1983.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Workshop on groundwater Resources and Conta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Summary and Papers). Natl. Sci. Foundation. Washington DC. 

  23. RDA. 1995. Standard methods for agricultural experime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24. Ushio, S., N. Yosimura, K. Saito, and N. Nagajima. 2000. Nitrogen decomposition rate of animal wastes composts and dry wastes for 141 days in summer and estimation. Soil Sci. Plant Nutr. 71:249-253. 

  25. Yadav, R.L., B.S. Dwivedi, K. Prasad and P.S. Pandy. 2000. Yield trends, and changes in soil organic-C and available NPK in a long-term ricewheat system under integrated use of manure and fertilizers. Field Crop. Res. 68:219-2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