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 Rafin)의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uphorbia supina Rafin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by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4, 2011년, pp.486 - 492  

박성철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약리학과) ,  손대열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 Rafin.) 열수(ESW) 및 에탄올 추출물(ESE)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생성되는 염증매개물질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ESW와 ESE은 조사된 모든 농도에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SW의 경우, NO의 생성을 100,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21.6%, 31.9%, 44.3%, 54.8% 억제하였고, PGE2의 생성은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25.7%, 34%, 38.2% 억제하여 농도 의존적이고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IL-6의 생성은 25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66.1%, 54.3% 억제하였다. IL-10, TNF-${\alpha}$의 생성은 $50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ESE의 경우, NO의 생성을 100,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38.3%, 66%, 74.7%, 77.5%, $PGE_2$의 생성은 100,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40%, 51.8%, 92.4%, 94.7% 농도 의존적이고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IL-6의 생성은 100,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43.9%, 48.9%, 69.7%, 89.4% 억제하였다. IL-10의 생성은 $500\;{\mu}g$/mL 농도에서 44.1% 억제하였고, TNF-${\alpha}$의 생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92.4% 억제하였다. 결과를 종합해 볼때, 애기땅빈대는 ESW보다는 ESE의 경우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SE는 저농도보다는 $500\;{\mu}g$/mL 이상의 고농도에서 NO, $PGE_2$, IL-6, IL-10, TNF-${\alpha}$와 같은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애기땅빈대 ESE는 $500\;{\mu}g$/mL 농도 이상에서 염증매개물질 억제 보조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ot water extract (ESW) and 70% ethanol extract (ESE) from Euphorbia supina Rafin on LPS-stimulated inflammatory response in RAW 264.7 macrophages. Upon investigation at concentrations up to $1000\;{\mu}g$/mL, ESW and ESE did not have an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 Rafin.) 열수(ESW) 및 에탄올 추출물(ESE)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생성되는 염증매개물질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ESW와 ESE은 조사된 모든 농도에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애기땅빈대(E. supina R.) 추출물이 LPS로 활성화된 RAW 264.7대식세포에서의 염증 매개물질 억제효과, 즉 NO, PGE2, cytokine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기땅빈대란?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 Rafin)는 밭이나 들에서 자라는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원줄기는 지면을 따라 퍼지며 길이 10~25 cm이고, 잎과 더불어 털이 다소 있고, 중앙부에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 반점이 있으며 백색의 유액이 함유되어 있다. 잎은 길이 5~10 mm, 너비 4~6 mm의 긴 타원형으로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수평으로 퍼져서 두 줄로 배열된다.
염증이란? 염증(inflammation)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 반응의 하나이다. 염증은 유해물질이나 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으로 일어난다(12).
애기땅빈대 잎의 외형적 특징은?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 Rafin)는 밭이나 들에서 자라는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원줄기는 지면을 따라 퍼지며 길이 10~25 cm이고, 잎과 더불어 털이 다소 있고, 중앙부에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 반점이 있으며 백색의 유액이 함유되어 있다. 잎은 길이 5~10 mm, 너비 4~6 mm의 긴 타원형으로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수평으로 퍼져서 두 줄로 배열된다. 잎의 윗면은 진한 녹색으로 윤이 나고 뒷면은 녹백색이며, 잎자루는 몹시 짧다. 애기땅빈대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남북미 등 온대와 열대지방에 널리 분포하며 지금초(地錦草), 초혈갈(草血竭), 혈견수(血見愁), 오공초(蜈蚣草), 선도초(仙挑草)라고도 불리는데 항균, 항기생충, 해독, 지혈, 암, 염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Lee CB. 1989.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 511. 

  2. Choi JG. 2004. The medicine of grasses, flowers and trees. 

  3. National China Medical Administration. 1999. China medical herbs. Shanghai science technology publisher, Shanghai, China. p 789-792. 

  4. Lee SH, Tanaka T, Nonaka G, Nishioka I. 1991.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CV. Monomeric and dimeric hydrolyzable tannins having a dehydrohexahydroxydiphenoyl group, supinanin, euphorscopin, euphorhelin and jolkianin, from Euphorbia species. Chem Pharm Bull 39: 630-638. 

  5. Agata I, Hatano T, Nakaya Y, Sugaya T, Nishibe S, 

  6. Fang Z, Zeng X, Zhang Y, Zhou G. 1993. Chemical constituents of spottedleaf euphorbia (Euphorbia supina). 

  7. An RB, Kwon JW, Kwon TO, Chung WT, Lee HS, Kim 

  8. Tanaka R, Matsunaga S. 1999. Terpenoids and steroids from several Euphorbiaceae and Pinaceae plants. Yakugaku Zasshi 119: 319-339. 

  9. Chung BS, Kim HG. 1985. Studies on the terpenoid constituents of Euphorbia supina Rafin. Kor J Pharmacogn 

  10. Tanaka R, Kurimoto M, Yoneda M, Matsunaga S. 1990. 17 $\beta$ ,21 $\beta$ -Epoxyhopan-3 $\beta$ -ol and $\beta$ -alnincanol from Euphorbia supina. Phytochemistry 29: 2253-2256. 

  11. Hong HK, Kwak JH, Kang SC, Lee JW, Park JH, Ahn JW, 

  12. Cho W, Nam JW, Kang HJ, Windono T, Seo EK, Lee KT. 

  13. Yun HJ, Hoe SK. 2008. Anti-inflammatory effect of Injinhotang in RAW 264.7 cells. Kor J Herbol 23: 169-178. 

  14. Choi WY, Jo MJ, Kim SC, Jung JY. 2009. Aucklandiae Radix has inhibiory effects of pro-inflammatory mediator in LPS-induced RAW 264.7 cell. Journal of Jeahan Oriental Medical Academy 7: 1-12. 

  15. Lee YS, Kim HS, Kim SK, Kim SD. 2000. IL-6 mRNA expression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and NIH3T3 fibroblasts in response to Candida albicans. J Microbiol Biotechnol 10: 8-15 

  16. Higuchi M, Higashi N, Taki H, Osawa T. 1990.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 tor and L-arginine-dependent mechanism act as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ol 144: 1425-1431. 

  17. McDaniel ML, Kwon G, Hill JR, Marshall CA, Corbett JA. 1996. Cytokines and nitric oxides in islet inflammation and diabetes. Proc Soc Exp Biol Med 211: 24-32. 

  18. Kim DH, Park SJ, Jung JY, Kim SC, Byun SH. 2009.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Hwangnyenhaedok- tang in LPS-activated macrophage cells. Kor J Herbol 24: 39-47. 

  19. Willeaume V, Kruys V, Mijatovic T, Huez G. 1996.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duced by viruses and by lipopolysaccharides in macrophag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J Inflamm 46: 1-12 

  20. McCartney-Francis N, Allen JB, Mizel DE, Albina JE, Xie QW, Nathan CF, Wahl SM. 1993. Suppression of arthritis by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J Exp Med 178: 749-754. 

  21. Choi YJ, Jo WS, Kim HJ, Nam BH, Kang EY, Oh SJ, Lee GA, Jeong MH. 2010.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lorella ellipsoidea extracted from seawater by organic solvents. Kor J Fish Aquat Sci 43: 39-45. 

  22. Desai A, Vyas T, Amiji M. 2008. Cytotoxicity and apoptosis enhancement in brain tumor cells upon coadministration of paclitaxel and ceramide in nanoemulsion formulations. J Pharm Sci 97: 2745-2756. 

  23. Kim PJ, Yun HJ, Heo SK, Kim KA, Kim DW, Kim JE, Park SD. 2009. Anti-inflammatory effect of Bodusan. Kor J Herbol 24: 49-56. 

  24. Jeoung YJ, Choi SY, An CS, Jeon YH, Park DK, Lim BO. 2009. Comparative effect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Phellinus linteus and Phellinus linteus grown in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 J Medicinal Crop Sci 17: 97-101 

  25. Lowenstein CJ, Snyder SH. 1992. Nitric oxide, a novel biologic messenger. Cell 70: 705-707. 

  26. Sunyer T, Rothe L, Jiang X, Anderson F, Osdoby P, Collin- Osdoby P. 1997. $Ca^{2+}$ or phorbol ester but not inflammatory stimuli elevat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messenger ribonucleic acid and nitric oxide (NO) release in avian osteoclasts: autocrine NO mediates $Ca^{2+}$ -inhibited bone resorption. Endocrinology 138: 2148-2162. 

  27. Weisz A, Cicatiello I, Esumi H. 1996. Regulation of the mouse inducible-type nitric oxide synthase gene promoter by interferon-gamma,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and NG-monomethyl-L-arginene. Biochem J 316: 209-215 

  28. Kim PJ, Yun HJ, Heo SK, Kim KA, Kim DW, Kim JE, Park SD. 2009. Anti-inflammatory effect of Bodusan. Kor J Herbol 24: 49-56. 

  29. Rocca B, FitzGerald GA. 2002. Cyclooxygenases and prostaglandins: shaping up the immune response. Int Immunopharmacol 2: 603-630. 

  30. Park JY, Pillinger MH, Abramson SB. 2006. Prostagladin $E_2$ synthesis and secretion: the role of $PGE_2$ synthases. Clin Immunol 119: 229-240. 

  31. Bhattacharyya A, Pathak S, Datta S, Chattopadhyay S, Basu J, Kundu M. 2002.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NF-kappaB regulate H. pylori-mediated IL-8 release from macrophages. Biochem J 366: 376-382. 

  32. Binetruy B, Smeal T, Kariu M. 1991. Ha-Ras augments c-Jun activity and stimulates phosphoylation of its activation domain. Nature 351: 122-127. 

  33. Kindt TJ, Goldsby RA, Osborne. 2008. Kuby immunology. 6th ed.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E Public, Seoul, Korea. p 600-623. 

  34. Yoon KR, Kim YJ, Lee E, Lee JM. 2009.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ptidis Rhizoma. Kor J Herbol 24: 7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