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Mice에서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의 고지혈증 개선효과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Diet Containing Portulaca oleracea L. Ethanol Extract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4, 2011년, pp.538 - 543  

원향례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수현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의 고지혈증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57BL/6J mice에게 9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시켰다. 마지막 4주 동안은 고지방식이에 쇠비름 에탄올 저농도투여군(HFD+POE 75) 및 쇠비름 에탄올 고농도투여군(HFD+POE 125)으로 나누어 하루에 한 번씩 경구투여 하였으며 고지방식이군(HFD)은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HFD+POE 75군 및 HFD+POE 125군의 체중변화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식이효율은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ALT 함량은 HFD군에 비해 HFD+POE 125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ST 함량은 그룹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식이 4주 때에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 경구투여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심순환기 질환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알려진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는 고농도의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 경구투여로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고지방식이에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 경구투여로 혈중 및 간장 중의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이 저하되었는데 이는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혈증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의 어떤 성분에 의한 지질 저하효과를 나타내는지와 어떠한 기전에 의해 지질 저하효과를 나타내는지 보다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Portulaca oleracea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after having injected the ethanol extract from Portulaca oleracea to the obese mice with high fat diet. The 30 six-week-old male C57BL/6J mice were divided into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im과 Won(33)의 연구는 정상체중의 실험동물에게 고지방식이와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을 25∼125 mg/kg의 농도로 공급하여 혈액의 지질성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혈액의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는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발된 질병모델에서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저하효과를 나타내어 고지혈증 증세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를 공급받는 정상체중을 가진 동물이거나 비만 질병동물 모두에서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이와 같이 쇠비름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식용이 가능한 야생식물로 성분연구, 해독작용, 항산화활성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정상 체중의 실험동물에게 고지방식과 함께 쇠비름 추출물을 급여하여 지방대사의 개선효과를 본 연구결과만이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실험동물에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을 고지방식이와 병행 공급한 후,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발된 질병모델에서의 고지혈증 증세를 개선하는 효과를 검증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용 신소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쇠비름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쇠비름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식용이 가능한 야생식물로 성분연구, 해독작용, 항산화활성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정상 체중의 실험동물에게 고지방식과 함께 쇠비름 추출물을 급여하여 지방대사의 개선효과를 본 연구결과만이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실험동물에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을 고지방식이와 병행 공급한 후,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발된 질병모델에서의 고지혈증 증세를 개선하는 효과를 검증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용 신소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쇠비름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NS: not significant.
  • 3)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쇠비름이란? 쇠비름(P ortulaca oleracea L.)은 쇠비름과(Portulac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각지에 5∼9월에 걸쳐 자생하고 있다. 한국보다는 중국에서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며 해열, 이뇨, 산혈 등의 효능이 있어 임질, 요도염, 유종, 대하증, 임파선염 등에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16).
쇠비름의 자생시기는? 쇠비름(P ortulaca oleracea L.)은 쇠비름과(Portulac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각지에 5∼9월에 걸쳐 자생하고 있다. 한국보다는 중국에서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며 해열, 이뇨, 산혈 등의 효능이 있어 임질, 요도염, 유종, 대하증, 임파선염 등에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16).
쇠비름의 효능은? )은 쇠비름과(Portulac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각지에 5∼9월에 걸쳐 자생하고 있다. 한국보다는 중국에서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며 해열, 이뇨, 산혈 등의 효능이 있어 임질, 요도염, 유종, 대하증, 임파선염 등에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16). 쇠비름에 관한 연구로는 쇠비름의 성분에 관한 연구(17-20), 돌연변이원성 억제활성(21),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22-24), 니코틴이나 타르 등의 담배 유해 성분제 제거효과(25), 방사선 조사 후의 생존효과(26), 항바이러스효능(27), 간해독, 이뇨, 소염 작용에 관한 연구(28), 항균활성(17,29-31), 미백 및 항노화, 항염증효과(32), 고지방식이에 첨가 시 혈액지질 성분 개선(33), 쇠비름을 이용한 차의 제조와 그 품질특성(34)에 관한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Lee HJ. 2009. Hyperlipidemic effect of supplemented onion extract in participants with borderline high cholesterol level. MS Thesis. Changwon University, Gyeongnam, Korea.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2007 Summary Report of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3.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verview.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 272-275. 

  4. Lee JH, Kim SH. 1995. Effect of the long-term ginseng intakes on serum lipids profiles and homeostasis factors in human. Korean J Nutr 28: 862-871. 

  5.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 (adults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 3143-3421. 

  6.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7. Lee JJ, Shin HD, Lee YM, Kim AR, Lee MY. 2009. Effect of broccoli sprouts on cholesterol-lowering and anti-obesity effects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09-318. 

  8. Seo DJ, Chung MJ, Kim DJ, Choe M. 2009. Antiobese effects of diet containing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22-1527. 

  9. Hong JH, Hwang EY, Kim HJ, Jeong YJ, Lee IS. 2009. Artemisia capillaris inhibits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and obesity in C57BL/6J mice fed a high fat diet. J Med Food 12: 736-745. 

  10. Lee JJ, Ha TM, Lee YM, Kim AR, Lee MY. 2010. Effect of Brassica rapa sprou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69-676. 

  11. Lee HJ, Lee KH, Park E, Chung HK. 2010. Effect of onion extracts on serum cholesterol in borderline hypercholesterolemic particip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84-1789. 

  12. Park MS. 2011. Dietary life and health symposium: Diet of cardio & cerebrovascular disease. National Medical Center, Seoul, Korea. p 37-52. 

  13. Myung SK. 2011. Dietary life and health symposium: Diet of cancer. National Medical Center, Seoul, Korea. p 71-96. 

  14. Kim IJ. 2011. Dietary life and health symposium: Diet of diabetes mellitus. National Medical Center, Seoul, Korea. p 101-116. 

  15. Lee DC. 2011. Dietary life and health symposium: Diet of immunopotentiation. National Medical Center, Seoul, Korea. p 119-134. 

  16. Park HS, Yang KM, Jung JW. 2009.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Hordeum vulgare L. with medicinal herb on plasma lipid status and glucose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 J Herbology 24: 15-21. 

  17. Lim MK, Kim M.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oibirhym (Portulaca oleracea) against food spoilage or food borne disease microorganisms and composition of the extrac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565-570. 

  18. Lee HJ, Lee KH, Ku SJ. 1994.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7 kinds of edible wild grasses. Korean J Soc Food Sci 10: 363-368. 

  19. Hwang JB, Yang MO, Shin HK. 1997.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71-679. 

  20. Lee JM, Shin KS, Lee HJ. 1999.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vitamins in horticultural foods. Korean J Dieraty Culture 14: 167-175. 

  21. Choi KP, Jung SW, Kim EJ, Ham SS. 1997. Inhibitory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on the mutagenicity of various mutagen. Journal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7: 527-537. 

  22. Choi BR, Hong SS, Han XH, Hwang JS, Lee MH, Hur JD, Hwang BY, Ro JS. 2005.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Portulaca oleracea. Natural Product Sciences 11: 229-232. 

  23. Shin SY, Jung KR, Rhim TJ. 2010. The antioxidant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L. Journal of Life and Natural Sciences 17: 75-83. 

  24. Lee HJ, Lee BJ, Lee DS, Seo YW. 2003.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in vitro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Portulaca oleracea.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 165-169. 

  25. Bae JH. 1999.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 on removing nicotine component of tabacc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607-612. 

  26. Chun KJ, Kim JK, Lee YK, Kim BH. 1999.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water extract on the changes of urine amino acid contents and survival rate by irradiation in mice. Yakhak Hoeji 43: 274-277. 

  27. Min SK, Park EH, Park YK, Kwon SM. 2009. The annual report: Antiviral activity screening of aqueous extracts from indigenous plants.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19: 9-19. 

  28. Lim JP, Suh ES. 2000. Hepatoprotective, diuretic and anti- 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Portulaca oleracea Linn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189-193. 

  29. Oh KB, Chang IM, Hwang KJ, Mar W. 2000. Detection of antifungal activity in Portulaca oleracea by a single-cell bioassay system. Phytother Res 14: 329-332. 

  30. Cho YJ, Ju IS, Kwon OJ, Chun SS, An BB, Kim JH. 2008.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49-54. 

  31. Bae JH.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on food borne pathogens. J Food Sci Nutr 9: 306-311. 

  32. Zhang R, Lee HJ, Yoon YM, Kim SM, Kim HS, Li SH, An HS. 2009. The melanin inhibition, anti-aging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on cells. KSBB J ournal 24: 397-402. 

  33. Kim SH, Won HR. 2010.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Linne ethanol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Journal of Life and Natural Sciences 17: 51-60. 

  34. Kim DC, Lee SD, In MJ. 2007. Preparation of Portulaca oleracea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9: 375-376. 

  35. Friedewald WI, Levy RI, Fredrisko D.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ith use of the preparation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36. Rosenfeld L. 1989. Lipoprotein analysis. Arch Pathol Lab Med 113: 1101-1110. 

  37.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38. Frings CS, Dunn RT. 1970.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otal serum lipids based on the sulfo-phospho- vanillin reaction. Am J Clin Pathol 53: 89-91. 

  39. Moon JH, Sung JH, Choi IW, Kim YS. 2010.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activity of taro powder in mice fed with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620-626. 

  40. Koh JB, Choi MA, Kim JY, Rho MH, Kim DJ. 1999. Effects of tea fungus/kombucha beverage on serum protein levels and enzym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7-1143. 

  41. Kim SH. 2009. Cholesterol lowering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angwon, Korea. 

  42. Park JE, Kee HJ, Cha YS. 2010. Effe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leaf extract on antiobesity in C57BL/6J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86-5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