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취업노인의 특성 연구 - 취업상태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d Elderly - Focusing on Employment Status Transition -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0 no.2, 2011년, pp.285 - 298  

손지아 (가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순미 (진주보건대학 의약복지정보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 detail the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and to compare those that have experienced no job change in the last 10 years with another group that have experienced job change at least once in the last 10 years. From the 10th wav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 취업 혹은 재취업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에서 한발 더 나아가 취업 혹은 재취업의 과정을 통과하여 현재 취업상태에 있는 노인의 특성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노동관련 요인, 경제상황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취업노인의 특성을 보다 더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현재 일하고 있는 노인을 지난10년 동안 취업상태의 변화가 없었던 노인과 취업상태의 변화가 있었던 노인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취업상태변화에 따른 취업노인의 특성분석을 통해 노인의 취업과 연관된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취업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이고 유효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 그러나 대부분의 선생연구에서 노인취업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지는 못한 상황이어서 아직까지 노인취업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가 빈약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가운데 본 연구는 노인취업과 관련하여 거시적 접근으로 노동수요측면에서의 인적자본론과 노동공급측면에서의 노동시장양극화가설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 또한 선행연구는 노인재취업 그 자체에 집중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현재취업상태에 있는 노인들의 특성과 그 일자리의 성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취업 중에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노인들의 특성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노동관련 요인, 경제상황 요인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 취업노인의 세부적 특성 분석을 통해 실제적인 취업 노인을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이들의 현재 취업상태가 지난 10년간 취업상태의 변화가 있었는지 혹은 없었는지, 즉 현재 노인의 취업상태가 지난 10년 간 동일한 일자리인지, 일자리의 변화가 있었는지 구분하여 두 집단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 취업상태 변화에 유무에 따른 취업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에 대한 특성비교는 에 제시하였다.
  • 취업상태 변화에 유무에 따른 취업 노인의 노동관련 특성 비교를 에 제시하였다.
  • 노동관련 변인 중 현재 일자리의 직전 일자리 관련 특성 비교와 관련해 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현재 취업노인의 세부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노인취업의 실제적 특성, 즉 취업상태의 안정성을 기준으로 지난 10년간 동일한 일자리인지, 취업상태가 변했는지를 기준으로 취업상태 변화 없는 집단과 취업상태 변화 있는 집단의 비교분석을 통해 취업노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중노동시장론이란 무엇인가? 이중노동시장론은 노동시장이 고임금·고용불안·양호한 근무환경으로 특징이 지워지는 1차노동시장(primarysector)과 저임금·고용불안·나쁜 근무환경의 2차 노동시장(secondary sector)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금재호,2005). 산업사회가 진행될수록 두 노동시장의 형태는 고착되며 양 노동시장간의 이동은 매우 어렵게 된다.
인적자본론이란? 인적자본론은 완전경쟁시장과 노동의 동질성에 대한관점을 토대로 하여 노동의 질적차이가 노동시장에서의고용, 임금, 고용형태의 차이를 야기하는 주된 요인이 된다고 보면서 노동의 질을 개인의 투자행위에 의해 설명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주성환, 최준혜, 2001). 이 입장은 산업사회에서 노동시장격차의 주요원인은 변화된 산업환경 속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술 수준과 개별노동자가보유하고 있는 기술, 학력, 훈련 등의 인적자원 수준과의 불일치의 결과라는 것이다.
인적자본론 입장에서 본 노동시장격차의 주요원인은? 인적자본론은 완전경쟁시장과 노동의 동질성에 대한관점을 토대로 하여 노동의 질적차이가 노동시장에서의고용, 임금, 고용형태의 차이를 야기하는 주된 요인이 된다고 보면서 노동의 질을 개인의 투자행위에 의해 설명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주성환, 최준혜, 2001). 이 입장은 산업사회에서 노동시장격차의 주요원인은 변화된 산업환경 속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술 수준과 개별노동자가보유하고 있는 기술, 학력, 훈련 등의 인적자원 수준과의 불일치의 결과라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철희, 이홍직, 홍현미라. (2005). 취업자의 재취업에 관한 분석: 인적자본관점과 인간능력관점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 57(3), 223-249. 

  2. 금재호. (2005).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실증적 검증, 한국노동패널학술대회자료집. 

  3. 김태현, 황진수, 최성재, 이가옥, 유성호, 변재관. (2001). 고령자 취업 활성화 방안. 한국노년학, 21(1), 2001. 

  4. 김학주, 우경숙. (2004). 중.고령자의 재취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2), 97-110. 

  5. 남기민, 최화강. (2009). 취업노인의 생산적 활동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5, 347-371. 

  6. 남재량, 이상호, 최효미, 신선옥, 배기준. (2009). 제10차 (2007)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 

  7. 민현주. (2008). 여성취업의 두 갈래길: 상위와 하위수준 일자리 진입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78(여름호), 223-255. 

  8. 박경숙. (2006). 남녀 고령층의 취업률과 은퇴동학, 한국노동패널학술대회논문집, 7, 1-21. 

  9. 보건복지가족부. (2008). 전국노인실태조사. 

  10. 성지미, 안주엽. (2006). 중고령자 취업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6(1), 39-74. 

  11. 송인주. (2008). 퇴직 남성노인 재취업 과정의 의미. 한국노년학, 28(3), 497-514. 

  12. 안주엽, 노용진, 박우성, 박찬임, 이주희, 허재준. (2001).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13. 이성용. (2007). 중.고령자의 실직.재취업에 대한 동태분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논문집, 645-660. 

  14. 이영숙. (2007). 노인의 취업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85-298. 

  15. 이지현, 강형곤, 정우식, 채유미, 지영건. (2008). 취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서울지역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1), 143-156. 

  16. 이종훈. (2004). 고령화에 따른 서울시 노동시장의 파급 효과와 정책과제.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7. 윤형호, 황진수, 임석. (2007). 서울시 고령재취업자의 직종선택의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27(4), 721-737. 

  18. 장지연. (2002).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I. 한국노동연구원. 

  19. 장지연, 부가청, 이혜정, 신현구, 이철희, 장숙랑, 조성일, Berkman, B. F. (2008). 중고령자 노동시장 국제 비교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 정이환, 이병훈, 정건화, 김연명. (2003). 노동시장유연화와 노동복지. 서울: 인간과 복지. 

  21. 주성환, 최준혜. (2001). 성별노동시장 참가패턴이 임금격차에 미치는 효과. 노동경제논집, 24(2), 63-94. 

  22.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5). 경제활동인구조사부가조사. 

  23. 한국노동연구원. (2010). 한국노동패널. http://www.kli.re.kr/klips/ko/main/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