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사회 노인빈곤 극복의 일자리사업을 통한 적극적 경제활동 방안 고찰
A Study on the Active Economic Activities by the Job Program to Overcome the Poverty of the Elderly in the Aged Society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6 no.1, 2021년, pp.55 - 62  

김영철 (순복음대학원대학교) ,  김서호 (순복음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서 노인빈곤 극복을 위한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보며, 이에 못지않게 노년기 적극적인 경제활동에 대한 참여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노인일자리사업의 확대를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노인에 대한 인식 개선, 전달체계 등의 인프라 강화가 요구되며, 이와 관련된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하고, 정부에서는 법적인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에 대한 사회적 배려와 지원이 있어야 한다. 정년연장은 노인취업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법제도의 정비와 아울러 사회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적 합의가 없는 노인정책은 실패할 수밖에 없으므로 사회적인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지원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노인들은 빈곤의식과 자력갱생 의지가 있어야 한다. 노인은 노인 자신이 자녀를 비롯하여 주위와 사회적 지원만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노인 스스로 경제주체가 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노인빈곤의식에 대한 기본적 인식이 필요하고 노인빈곤을 탈출하고자 하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노인 스스로 자력갱생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노인 스스로의 능력에 따른 일자리 선택에 나서야 한다. 결론적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은 고령사회에서 노인빈곤을 해결하는 소득증대의 일환이며, 노인들의 적극적인 경제활동 참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gards the need for jobs to overcome the poverty of the elderly in an aged society, and as well as researches ways to participate in active economic activities in old 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gal system needs to be improved. In addition to institution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노인의 소득증대는 국가 정책상 중요한 부분으로,이에 따른 노인 일자리 창출은 시대적 요구사항이 되었다.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서 노인빈곤 극복 을 위한 일자리가 필요하다고보며, 이에 못지않게 노년기 적극적인 경제활동에 대한 참여방안을 연구하였다. 선행연구와 외국사례 연구를 통해 노인일자리 사업과 그 에 따른 적극적 경제활동 참여방안을 연구한 결과는 다 음과같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외국사례를 통해 고령사회에서 겪게되는 노인빈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노인일자 리 사업이 필요하다고 보며, 여기에서 노인들이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행정안전부 홈피, 2020. 

  2. 통계청, 고령자통계, 2020. 

  3.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2019. 

  4. 박종란 외, 노인복지론. 서울: 교학도서, 2020. 

  5. 박운애,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6. 김양건, "한국 중장년 일자리정책의 노동시장 성과연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7. 김세진,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 전이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8. 권지선, "노인일자리사업 직무환경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한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9. 김미정, "노인일자리에 참여하는 동화구연실버강사의 내러티브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0. 보건복지부, 2020년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II), 2020. 

  11. 이영선, "한국의 노인일자리 창출 최적전략에 관한 연구: EU 및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2. 윤덕재, "한국과 일본의 노인일자리사업에 관한 비교연구: 실버인재센터와 시니어클럽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3. 배예슬, "노인일자리 프로그램에 대한 韓 美 日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4. 박만섭, "우리나라 노인일자리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책사례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5. 김상겸, "노인취업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6. 오봉욱 외, 사회문제론. 파주. 경기: 정민사, 2016. 

  17. 이척희?노재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인복지 법적 대응 방안". 산업진흥연구 Vol.5 No.4 : 73-79, 2020. 

  18. 정경자, "노인 일자리 사업을 통한 노인경제활동 참여의 구축방안 연구". 산업진흥연구 Vol.4 No.1 : 89-98, 2020. 

  19. 김한식 외, 노인복지론. 파주. 경기: 정민사,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