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조직가치 부합수준과 성과관계 검증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Organizational Value Fit and Performance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4 no.2, 2011년, pp.411 - 424  

박양규 (건국대학교 경영학과) ,  여성칠 (건국대학교 응용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직연구에서 개인 직무, 개인-조직, 개인-환경 사이의 부합수준은 성과에 대한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다루어져 왔다. 개인-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부합수준은 조직의 구성원으로 하여금 동기유발의 주요한 요인으로 조명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부합수준 성과관련 연구에서 부합수준별 성과, 혹은 성과의 극대화률 설명하는 만족적 부합수준을 경정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방법론의 개발관련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기존 연구에서 이런 부합수준-성과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활용되는 지표들은 두 프로파일의 요인별 차이값, 차이제곱값, 차이 절대값, 측정 도구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Q 값, 두 프로파일 사이의 순위상관을 나타내는 $Q_r$이다 그러나 이런 지표들은 두 프로파일의 부합수준 성과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많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Edwards의 단일 설명변수에 대한 다항회귀분석과 반응표면분석을 활용한 방법론은 두 프로파일의 개별 설명변수 차이 값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만을 개별적으로 보여주고 설명변수를 모두 고려할 경우 차이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개별요소별 성과를 극대화하는 값이나 수준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변량 이차다항회귀 모형을 적용하여 다중반응표면분석을 통해 개인-조직, 부합수준-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ies of congruence in organizational research have explored the concepts such as person-job fit person-organization fit, or person-environment fit. The relevant studies dealt with the fit level a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on the performance. In particular, researchers have agreed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인-조직과 개인-직무 간의 부합수준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관련연구의 활용목적에 비추어 볼 때 적용 방법론이 목적 지향적인 해답을 제공하고 있는지, 적절한지 여부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Vancouver와 Schmitt (1991)는 개인과 조직의 적합성을 상사와 부하 간의 목표에 대한 일치성과 특정 집단 내 동료 구성원간 목표의 일치성 여부로 측정하고 이들 일치수준이 직무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다.
  • 관련 기존 연구에서 개인가치와 조직가치의 부합수준-성과 간의 연구에서 개인이나 조직의 가치 프로파일을 통해 개인이나 조직의 가치적 특성이 더 잘 반영됨에도 불구하고 방법론적인 한계로 인해 프로파일적인 접근보다는 개별 요소별 부합수준을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런 기존 관련연구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법론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김재석 등 (2010)의 연구결과와의 구체적인 비교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연구에서 개인-조직부합수준-성과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다변량 다항회귀모형에 기초한 다중반응표면분석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신뢰적이고 타당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의 실무적 활용가능성이 높아지는 성과를 얻을 수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 그러나 이런 단일변량 다항회귀분석과 개별 반응표면분석을 활용한 접근은 두 프로파일의 개별 설명변수 차이 값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만을 개별적으로 보여주고 설명변수를 모두 고려할 경우 차이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개별 요소별 성과를 극대화하는 값이나 수준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변량 이차다항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다중반응표변분석(multiple response surface analysis)을 통해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을 고려한 경우에 대해서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개인-조직 부합수준을 찾아내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 활용된 방법론도 유태용과 현희정 (2003)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종속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단변량 다항회귀모형과 단일반응표면분석을 사용하여 적용방법론이 제한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 간의 독립적이지 않은 특성을 고려하여 다변량 이차다항회귀모형을 적용하고 이 모형에 대해 다중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여 종속변수에 대한 모든 설명변수들의 최적의 부합수준을 탐색하고자 한다. 다중반응표면분석이란 여러 개의 설명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을 하여 서로 종족적인 관계를 가지는 두 개 이상의 반응변수에 동시에 영향을 줄 때 이러한 반응의 변화가 일어나는 다중반응표면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방법을 말한다.
  • 안정적 가치의 경우, 조직가치가 개인가치보다 크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 직무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재석 등, 2010). 이런 연구결과는 조직에서 개인-부합수준의 프로파일이 어떤 형태를 보이는 지원자를 선발해야 조직에서 높은 성과를 확보할 수 있는지를 예측케 해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변량 다항회귀분석을 활용한 단일반응표면분석방법이 지니는 한계점은 무엇입니까? 단변량 다항회귀분석을 활용한 단일반응표면분석방법을 활용한 연구결과도 비교되는 두 개별 요소 간의 차이의 방향성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해 준다. 그러나 이 경우 반응변수의 최대값에 이르게 하는 부합수준의 프로파일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즉, 비교대상이 되는 개인과 조직의 연구영역을 구성하는 요소가 단일 차원에서 의미가 있는지 혹은 프로파일 형태가 유의미한지에 대한 고려없이 개별 차원별 차이 값만을 고려하게 됨으로써 방법론적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김재석 등, 2010; 송진섭과 유태용, 2005; 유태용과 현희정, 2003; Edwards, 1993). 관련 기존 연구에서 개인가치와 조직가치의 부합수준-성과 간의 연구에서 개인이나 조직의 가치 프로파일을 통해 개인이나 조직의 가치적 특성이 더 잘 반영됨에도 불구하고 방법론적인 한계로 인해 프로파일적인 접근보다는 개별 요소별 부합수준을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인-직무적합성은 어떠한 경우에 높다고 판단됩니까? 개인-직무 적합성은 개인의 특성과 직무특성이 어느 정도 부합하는 지로 정의된다. 개인의 성격, 역량, 선호가 잘 반영된 직무의 책임영역과 수준을 조직에서 개인이 직무영역으로 수행할 기회를 갖는 경우, 개인-직무적합성은 높다고 판단된다 (Amy 등, 2005; Edwards, 1991). 이 경우 조직의 구성원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강한 직무수행을 위한 동기를 갖게 된다.
개인-조직 적합성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이 경우 조직의 구성원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강한 직무수행을 위한 동기를 갖게 된다. 개인-조직 적합성은 개인의 성격, 가치나 리더십특성이 조직의 그것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의미한다 (Amy 등, 2005; Werbel과 Gilliland, 1999; Kristof, 1996; Judge와 Ferris, 1992; O’Reilly 등, 1991). 조직에서 상사와 부하의 성격, 리더십 혹은 가치관이잘 부합하는 경우 조직 구성원은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토대를 확보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재석, 박양규, 임효창 (2010). OCP를 활용한 개인-조직 부합도와 태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23, 711-731. 

  2. 성내경 (2004). , 제3판, 자유아카데미 

  3. 송진석, 유태용 (2005). 개인과 조직간 가치부합이 개인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18, 361-384. 

  4. 유태용, 현희정 (2003). 개인과 환경간 부합연구에서 다차항 회귀분석과 반응표면 방법론의 적용, , 16, 1-19. 

  5. Amerikaner, M., Elliot, D. and Swank, P. (1988). Social interest as a predictor of vocational satisfaction, Industrial Psychology, 44, 316-323. 

  6. Amy, L., Kristof, B., Zimmerman, R. D. and Johnson, E. C. (2005). Consequences of individuals' fit at work: A met-analysis of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person-group, and person supervisor fit, Personnel Psychology, 58, 281-342. 

  7. Davis-Blake, A. and Pfeffer, J. (1989). Just a mirage: The search for dispositional effec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4, 385-400. 

  8. Drazin, R. and Van de Ven, A. H. (1985). Alternative forms of fit in contingency theor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0, 514-539. 

  9. Edwards, J. R. (1991). Person-job fit: A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In Cooper CLRIT (Ed.),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 283-357. 

  10. Edwards, J. R. (1993). Peoblems with the use of profile similarity indices in the study of congruence in organizational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46, 641-666. 

  11. Edwards, J. R. and Harrison, R. V. (1993). Job demands and worker health: A three-dimensional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and strai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 628-648. 

  12. Edwards, J. R. and Parry, M. E. (1993). On the use of polynominal regression eqations as an alternative to difference scores in organizational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 1577-1613. 

  13. Ekehammer, B. (1974). Interactionism in personalit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Psychological Bulletin, 81, 1026-1048. 

  14. Fried, Y. C and Ferris, G. R. (1987). The validity of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A review and meta-analysis, Personnel Psychology, 40, 287-322. 

  15. Hackman, R. and Oldham, G. (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 159-170. 

  16. Judge, T. A. and Ferris, G. R. (1992). The elusive criterion of fit in human resource staffing decisions, Human Resource Planning, 15, 47-67. 

  17. Khurt, A. I. and Cornell, J. A. (1987). Response Surface: Designs and Analyses, Marcel Dekker, New York. 

  18. Kristof, A. (1996). Person-organization fit: An integrative review of its conceptualizations,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Personnel Psychology, 49, 1-49. 

  19. Lewin, K. (1935). Dynamic Theory of Personality, McGraw-Hill, New York. 

  20. Meglino, B. M., Ravlin, E. C. and Adkins, C. L. (1992). The measurement of work value congruence: A field study comparison, Journal of Management, 18, 33-43. 

  21. Meyer, J. P., Allen, N. J. and Smith, C. A. (1993). Commitment to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Extension and test of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 538-551. 

  22. Murray, H. A. (1938). Explorations in Person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3. O'Reilly, C. A., Chatman, J. A. and Caldwell, D. F. (1991).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 profile comparison approach to assessing person-organization fi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4, 487-416. 

  24. Pervin, L. A. and Rubin, D. R. (1967). Student dissatisfaction with college and the college dropout: A transactional approach,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72, 285-295. 

  25. Rounds, J. B., Dawis, R. W. and Lofquist, L. M. (1987). Measurement of person environment fit and prediction of satisfaction in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1, 297-318. 

  26. Sheridan, J. E. (1992).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ee reten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5, 1036-1056. 

  27. Sparrow, J. A. (1989). The measurement of job profile similarity for the prediction of transfer of learning: A research note,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2, 337-341. 

  28. Vancouver, J. B. and Schmitt, N. W. (1991). An exploratory examination of person-organization fit: Organizational goal congruence, Personnel Psychology, 44, 333-352. 

  29. Werbel, J. D. and Gilliland, S. W. (1999). Person-environment fit in the selection process. In Ferris GR (Ed.),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17, 209-243. 

  30. Wohlers, A. J. and London, M. (1989). Ratings of manageri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difficulty, co-worker agreement, and self-awareness, Personnel Psychology, 42, 235-2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