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 산업의 서비스경영에서 소비자 유형이 소비자의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umer Type on Consumer Intention to Purchase Eco-friendly Vehicles in the Service Management of Convergence Industr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0, 2017년, pp.221 - 232  

임기흥 (광주여자대학교 실버케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주요 메이커의 개발 및 시장 참여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의 특성과 소비 유형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의 특성 요인, 그리고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정부의 정책 조치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국내 서울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웹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의 특성(성별, 연령별, 월평균 소득별)과 소비자의 유형(가격가치 추구형, 개인가치 추구형, 사회환경 가치추구형)과 친환경 자동차 소유여부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별, 월평균 소득별, 소비자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구매의도는 성별, 연령별, 월평균 소득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소비자의 유형에 따라 구매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자동차의 특성요인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색상, 디자인 등 이미지는 친환경자동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유형별 정부의 정책지원은 친환경자동차 구매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 유형중 사회환경가치 추구형이 구매의도와 유의한 관계에 있으며 사회환경가치 추구형에 있어 정부의 지원정책인 이산화탄소세(톤당 5,000원, 톤당 10,000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차량가격직접지원, 가솔린세, 경유세, 탄소세 등 연료관련 세제 경감 등은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and market participation of major makers of next-generation eco-friendly vehicles has been accelerating. Consumer interest has also increased. Consumer characteristics, consumption type, characteristics of next-generation eco-friendly vehicles, and government polic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비자가 궁극적인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로 어느 쪽을 선택할지, 또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와 수소 자동차와 대등한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로 자리 매김 할 것인지, 아니면 양차 브리지적인 차량으로 자리 매김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분석이 가능해진다. 또한 저탄소 정책 (보조금 지원 탄소세 등)의 강화가 소비자의 구매 형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책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 전기차와 수소차 등 친환경자동차의 제반 인프라 요소가 구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비교 고찰이 가능하며, 향후 국내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에 있어서 관련 산업과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유형이 친환경자동차 선택속성요인과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즉, 소비자의 유형을 가치중심적 관점에서 3가지유형(가치가치 추구형, 개인가치 추구형, 사회환경가치 추구형)으로 구분하여 소비자의 특성과 친환경자동차의 소유 및 친환경자동차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유형에 따라 친환경자동차의 선택속성요인과 정부의 정책지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특성과 소비 유형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의 특성 요인, 그리고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정책 조치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기존의 문헌적 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모형은 다음[Fig.
  •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소비자는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해 어떤 조건에서 언제 구매하고 싶은지에 대한 정보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아시아의 선진국이며, 자동차 시장도 성숙 단계에 있는 국내 서울에 거주하는 소비자에게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의 가격, 성능, 관련 인프라 정비, 그리고 정책 조건 등에 의해 구매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웹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주요 메이커의 개발 및 시장 참여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의 특성과 소비 유형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의 특성 요인, 그리고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정책 조치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국내 서울소비자에 대한 웹 설문 조사 통해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비자가 궁극적인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로 어느 쪽을 선택할지, 또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와 수소 자동차와 대등 한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로 자리 매김 할 것인지, 아니면 양차 브리지적인 차량으로 자리 매김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분석 하였다. 또한 저탄소 정책 (보조금 지원 탄소세 등)의 강화가 소비자의 구매 형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책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 전기, 수소 스테이션 등 제반 인프라 요소가 구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비교 고찰하였으며, 향후 국내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에 있어서 관련 산업과 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특성(성별, 연령별, 월평균 소득별)과 소비자의 유형(가격가치 추구형, 개인가치 추구형, 사회환경가치 추구형)과 친환경 자동차의 특성요인(경제성, 안정성, 기능성 및 서비스편의성, 이미지) 및 정부의 행정적 지원(보조금지원, 세제감면 등)과 소비자의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구매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주요 메이커의 개발 및 시장 참여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의 특성과 소비 유형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의 특성 요인, 그리고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정책 조치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국내 서울소비자에 대한 웹 설문 조사 통해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비자가 궁극적인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로 어느 쪽을 선택할지, 또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와 수소 자동차와 대등 한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로 자리 매김 할 것인지, 아니면 양차 브리지적인 차량으로 자리 매김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분석 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 보급의 방향성에 대해 학계 및 관련 산업과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시사점은 최근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주요 메이커의 개발 및 시장 참여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의 특성과 친환경 자동차의 특성 요인, 그리고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국내 서울 소비자에 대한 웹 설문 조사 통해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비자가 궁극적인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로 어느 쪽을 선택할지, 또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와 수소 자동차와 대등한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로 자리 매김 할 것인지, 아니면 양차 브리지적인 차량으로 자리 매김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분석이 가능해진다.
  •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유형이 친환경자동차 선택속성요인과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즉, 소비자의 유형을 가치중심적 관점에서 3가지유형(가치가치 추구형, 개인가치 추구형, 사회환경가치 추구형)으로 구분하여 소비자의 특성과 친환경자동차의 소유 및 친환경자동차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유형에 따라 친환경자동차의 선택속성요인과 정부의 정책지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H1): 소비자의 특성(성별, 연령별, 소득별)은 친환경자동차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H2): 친환경자동차의 특성요인(경제성, 안정성, 기능성 및 서비스편의성, 이미지)은 친환경 자동차의 구매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H3):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유형별 정부의 정책지원은 친환경자동차 구매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1:소비자유형(가격가치 추구형, 개인가치 추구형, 사회 환경가치 추구형)은 친환경자동차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문의 저자는 친환경자동차를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자동차를 수소연료자동차 등 배기가스가 전혀 없는 무공해자동차로서 미래형 자동차의 궁극적 방향이 될 지동차로 현재 시장에 출시된 자동차로 정의 하였다 현재 시장에 출시된 친환경자동차의 종류는 [Table 1]과 같다[1].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확대를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이러한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는 미래 자동차 시장을 주도 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그러나 기존의 내연 기관 자동차보다 높은 가격, 관련 인프라의 미비 등 보급확대에는 아직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소비자는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해 어떤 조건에서 언제 구매하고 싶은지에 대한 정보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온라인 웹 조사에서 불성실 응답 가능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본 연구는 온라인 웹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온라인 웹 조사는 면접 조사와 전화 조사를 대체할 조사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면접원 없이 진행되는 자기기입 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응답자가 불성실하게 응답할 수 있다는 불신을 받고 있다. 이러한 단점에 대해 조사 전문가들은 설문 응답시간을 통해 불성실 응답자들을 차단할 수 있다고 생각해 왔다[15]. 온라인 패널에 불성실하게 응답하는 응답자가 엄존함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웹 조사를 실시할 때 실제 표본 수보다 많은 표본을 조사하여 응답 시간이 지나치게 짧은 집단을 제외하여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ang Eul-Min,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 Attributes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Eco-Friendly vehicless with Variables to Control Well-being Lifestyle",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13. 

  2.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 "Third Pla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utomobil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2015.12 

  3. Karen Horney, "Consumer Psychology", Bourgle Books, 2015. 

  4. Robert B. Settle, "Consumer Psychology", Sejong Book, 2014. 

  5. Aaker, D. A,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of a brand name", Journal of marketing, Vol.56, No.2, pp.125-128, 1992. 

  6. Gerald Haubl, "A cross nation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untry of origin and brand name on the evaluation of a new car,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1996. 

  7. Keller, K. J.,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 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 No.1, pp.1-22, 1993. 

  8. Kotler, "Marketing Management", Person higher Ed., 2009. 

  9. Clark, T., "International marketing and national character:A review and proposal for and integrative theory". Journalof Marketing, Vol.54(Oct), pp.66-79, 1990. 

  10. Ritsuko Ozaki, Katerina Sevastyanova, "Going hybrid: An analysis of consumer purchase motivations", Energy Policy, Vol.39, No.5, pp.2217-2227, 2010. 

  11. Bere Steaua "Potoleste-ti setea de victorie. Astazi, in FC Steaua si Nike au prezentat noul echipament de joc pentru sezonul", 2009. 

  12. D. Diamond, "The impact of government incentives for hybrid?electric vehicles : Evidence from US states", Energy Policy, Vol.37, No.3, pp.972-983, 2009 

  13. Tsuyoshi Toshimitsu, "On the paradoxical case of a consumer-based environmental subsidy policy", Economic Modelling, Vol.27, No.1, pp.159-164, 2010. 

  14. Jeong Ki Ho , "A Study on Product Selection of Small Passenger Vehicle Purchasers in Korea: Excel, Lemans, Pride Focusing on the purchase of passenger vehicles", Sungkyunkwan University, 1992. 

  15. Lee, Yun-seok Lee, Ji-Kyung Lee, Kyung-Taek. "A Study on the Response Error of Online Survey: -The relationship between survey response time and sincerity of response-", Seoul Metropolitan University Survey Research, pp.51-83, 2008. 

  16. Andrew MFarrell,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Validity: ABrief Reviewof Some Practical Issues,Aston Business School Aston University Birmingham", 2009. 

  17. Cho, Cheol-ho, "SPSS /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Chulam Publishing,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