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원도 지역의 PRISM를 이용한 강우의 공간분포 해석
Spatial Analysis of Precipitation with PRISM in Gangwondo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3, 2011년, pp.179 - 188  

엄명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정창삼 (인덕대학 토목환경설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지역인자를 이용하여 지점 강우량과 면적 강우량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강원도는 면적의 대부분이 산지로 형성된 산악지형이며 태백산맥 동쪽 (영동지방)은 경사가 급하여 해안평야의 발달이 취약하고, 태백산맥 서쪽 (영서지방)은 경사가 완만하여 남 북한강의 대하천이 발달하고 곳곳에 산지가 분포되어 있는 복잡한 지형이다. 강원도 지역의 확률강우량 공간분포를 산정하기 위하여 강원도 인근의 기상관측소 66개소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강우의 공간분포를 분석하기위하여 PRISM을 적용하였다. 적용결과를 도시한 결과 지형 조건 (고도 및 경사)과 지역적인 조건(영동 및 영서지방, 북한강 지역 및 남한강 지역)에 따라 적정하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차검증을 통한 분석결과 RRBIAS 및 RRMSE가 모두 0.1 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어 PRISM 분석이 적정하게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PRISM 모형이 강원도 내 확률강우량의 공간분포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regional factors in Gangwondo were used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oint precipitation and areal precipitation. The most province area in Gangwondo is consist of mountainous terrain. At the east part of the Taebaek Mountains, the slope is very steep and the coastal pl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강원도의 복잡한 지형에 의하여 일부 지역에서만 고도에 따른 산악형 강우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도뿐만 아니라 주위 관측소, 방향면, 수원 등의 가중인자를 고려할 수 있는 PRISM을 강원도에 적용하여 강우량의 공간분포를 분석하기로 하였으며, 일반적인 분석 자료인연강우량이 아닌 확률강우량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여기서 확률강우량은 지역빈도해석기법인 지수홍수법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지역인자를 이용하여 지점 강우량과 면적강우량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점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분석에 적용하였다.

가설 설정

  • 대부분의 인자 산정 시 PRISM에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였으나 장애물 산정 시 Daly et al.(2002)는 대상 격자점과 관측소간의 직선에 위치한 격자점들과 관측소의 지향면차가 2 이상일 경우 장애물로 간주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직선위의 격자점들이 연속적으로 장애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장애물 수가 과대하게 산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상 격자점과 관측소 사이의 거리 1 km마다 장애물이 하나 존재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강원도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좌우로 영동지방과 영서지방으로 나뉘며 강우도 확연히 다르게 나타나므로 영동지방의 해양도를 0, 영서지방의 해양도를 3으로 가정하였다.
  • N개의 지점을 보유한 지역에서 자료개수 ni를 갖는 지점 i에 대하여 Qi,j,j = 1,⋯ni의 관측자료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Q(F)(0≤f≤1)는 지점 i에서 quantile 함수를 나타내며, 동질한 지역에 대해 quantile은 Eq.
  • (2002)는 대상 격자점과 관측소간의 직선에 위치한 격자점들과 관측소의 지향면차가 2 이상일 경우 장애물로 간주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직선위의 격자점들이 연속적으로 장애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장애물 수가 과대하게 산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상 격자점과 관측소 사이의 거리 1 km마다 장애물이 하나 존재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강원도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좌우로 영동지방과 영서지방으로 나뉘며 강우도 확연히 다르게 나타나므로 영동지방의 해양도를 0, 영서지방의 해양도를 3으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가중회귀식 산정 시 격자점마다 최소 3개 이상의 관측소를 포함하는 반경인 40 km를 영향반경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원도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강원도는 면적의 대부분이 산지로 형성된 산악지형이며 태백산맥 동쪽 (영동지방)은 경사가 급하여 해안평야의 발달이 취약하고, 태백산맥 서쪽 (영서지방)은 경사가 완만하여 남·북한강의 대하천이 발달하고 곳곳에 산지가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인 기상특성을 보면 영동지방은 동해와 접하고 있어 해양성기후에 가까운 기상특성을 많이 보이고 있는 반면, 영서지방은 내륙에 위치해 있어 대륙성기후에 가까운 특성을 보이고 있다.
강우현상이 다른 기상요소와 달리 큰 공간 변이를 가지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우현상은 다른 기상요소 (온도, 바람 등)과 달리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인 현상이 아니므로 다른 요소들에 비해 훨씬 큰 공간 변이를 가진다. 따라서 지점 강우 자료로부터 면적 강우 자료로 변환하는 다양한 기법들이 제안되어왔다.
지점 강우 자료로부터 면적 강우 자료로 변환하는 다양한 기법들은 어떻게 구분됩니까? 따라서 지점 강우 자료로부터 면적 강우 자료로 변환하는 다양한 기법들이 제안되어왔다. 이러한 기법 들은 등우량선도와 Thiessen network같은 작도법 (graphical method), 관측된 강우량과 고도, 경사 방향 등 관척점의 지형 특성 간 상관을 이용하는 지형통계법 (topographical method), 거리역산가중 (inversedistance weighting, IDW)과 Kriging과 같은 공간내삽법(spatial interpolation)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유란 등,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원도청(2009). 자연환경, http://www.provin.gangwon.kr, 2009년 9월 접속. 

  2. 신성철, 김맹기, 서명석, 나득균, 장동호, 김찬수, 이우섭, 김연희 (2008). “GIS와 PRISM을 이용한 고해상도 격자형 강수량 추정.” 한국기상학회논문집, 제18권, 제1 호, pp. 71-81. 

  3. 엄명진, 조원철, 임해욱 (2007). “지속시간 및 표고에 따른 강우량 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7호, pp. 511-521. 

  4. 엄명진, 정창삼, 조원철 (2009). “공간분석을 이용한 강원도 지역의 강수분포 분석 (I).”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5호, pp. 103-113. 

  5. 유철상, 전경수, 김기욱 (2004). “한강유역 강수의 산지효과 추정 - I. 회귀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1B호, pp. 33-39. 

  6. 윤혜선, 엄명진, 조원철, 허준행 (2009). “지역빈도해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산악형 강수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6호, pp. 465- 480. 

  7. 정유란, 윤경담, 조경숙, 이재현, 윤진일 (2009). “복잡지형 고해상도 격자망에서의 PRISM 기반 강수추정법.” 한국농림기상학회논문집, 한국농림기상학회, 제11권, 제2호, pp. 72-78. 

  8. 정창삼, 엄명진, 허준행 (2009). “공간분석을 이용한 강원도 지역의 강수분포 분석 (II).”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6호, pp. 99-109. 

  9. 홍기옥, 서명석, 나득균, 장동호, 김찬수, 김맹기 (2007). “GIS와 PRISM을 이용한 고해상도 격자형 기온자료 추정.” 한국기상학회논문집, 한국기상학회, 제17권, 제3호, pp. 255-268. 

  10. Basist, A., Bell, G.D., and Meentemeyer, V. (1994). “Statistical relationships between topography and precipitation patterns.” Journal of Climate, Vol. 7, No. 9, pp. 1305-1315. 

  11. Daly, C., Neilson, R.P., and Phillips, D.L. (1994). “A statistical-topographic model for mapping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over mountainous terrain.” Journalof Applied Meteorology, Vol. 33, No. 2, pp. 140-158. 

  12. Daly, C., Gibson, W., Taylor, G., Johnson, G., and Pasteris, P. (2002). “A knowledge-based approach to the statistical mapping of climate.” Climate Research, Vol. 22, pp. 99-113. 

  13. Hosking, J.R., and Wallis, J.R. (1997).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 Approach based on L-Mo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Marquinez, J., Lastra, J., and Garcia, P. (2003). “Estimation models for precipitation in mountainous regions: the use of GIS and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Hydrology, Vol. 270, pp. 1-11. 

  15. Matthew, D., Daly, C., Smith, J., Gibson, W., Taylor,G., Johnson, G., and Pasteris, P. (2004) “High resolution 1971-2000 mean monthly temperature maps for the western United States.” Proc., 14th AMS Conf.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rological Society, Seattle, WA, January pp. 13-16. 

  16. Peck, E.L., and Schaake, J.C. (1990). “Network design for water supply forecasting in the west.” Water Resour. Bull., Vol. 26, pp. 87-99. 

  17. Schermerhorn, V.P. (1967). “Relations between topography and annual precipitation in western Oregon and Washington.” Water Resour. Res., Vol. 3, pp. 707-711. 

  18. Schwarb, M., Daly, C., Frei, C., and Schar (2001). “Mean seasonal precipitation throughout the European Alps, 1971-1990.” Hydrological Atlas of Swizerland, National Hydrologic Service, Bern. 

  19. Spreen, W.C. (1947). “A determination of the effect of topography upon precipitation.” Trans. Amer. Geophys. Union, Vol. 28, pp. 285-290. 

  20. Wotling, G., Bouvier, Ch., Danloux, J., and Fritsch, J. -M. (2000). “Regionaliza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distribution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s of the topographical environment.” Journal of Hydrology, Vol. 233, pp. 86-1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