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역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내용 분석
DATABASE CONSTRUCTION AND TEXTUAL ANALYSIS OF KOREAN ASTRONOMICAL ALMANACS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26 no.1, 2011년, pp.1 - 24  

이기원 (한국천문연구원) ,  안영숙 (한국천문연구원) ,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  신재식 (한국천문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has constructed online database of the Korean Astronomical Almanac as a part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Business Project 2009'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hroughout this project, KASI provides both digitized images and ex...

주제어

참고문헌 (37)

  1. 김만태, 2007, 역서(歷書)류를 통해 본 택일문화의 변화, 민속학연구, 20, 7 

  2. 김석렬, 1989, 영.정조시대 관상 감관원연구 - 관직과 과시 합격자 분석을 중심으로, 우암논총, 5, 53 

  3. 김일권, 2007, 백제문화사대계 11권 - 백제의 사회 경제와 과학기술, 충남역사문화연구원 

  4. 김종태, 2002, 경진년 대통력 소고, 생활문물연구, 7, 69 

  5. 민족문화추진회, 1983, 산림경제 II, 민족문화추진회 

  6. 민족문화추진회, 1998, 국역 홍재전서, 민족문화추진회 

  7. 안영숙, 1997, 우리나라 역서의 변천, 한국천문력 및 고천문학(송두종, 안영숙 편집), 천문대 

  8. 유경로, 이은성, 현정준, 1973, 세종장헌대광 실록 26: 국역 칠정산내편, 세종대광기념사업회 

  9. 이기원, 2008, 조선시대 관상감 직제 및 시험 제도에 관한 연구: 천문학 부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9, 98 

  10. 이면우, 1988, 이순지.김담 찬 대통력일통궤 등 6편의 통궤본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사학회지, 10, 76 

  11. 이용복, 1997, 조선시대 역과 역산, 한국천문력 및 고천문학(송두종, 안영숙 편집), 천문대 

  12. 이은성, 1978a, 한국의 책력, 전파과학사 

  13. 이은성, 1978b, 12직의 천문학적 의의와 역 일에의 장기적인 배당 방법에 관하여, 한국천문학회지, 11, 47 

  14. 이은성, 1984, 무녕왕릉의 지석과 원가력법, 동방학지, 43, 219 

  15. 이은성, 1985, 역법의 원리분석, 정음사 

  16. 이은희, 1997, 조선시대의 역서, 한국천문력 및 고천문학(송두종, 안영숙 편집), 천문대 

  17. 이창익, 2002, 시헌력 역주에 나타난 시간 선택의 의미, 종교문화비평, 1, 295 

  18. 이창익, 2005, 조선 후기 역서의 구조와 의미 - 시헌력서의 다층적인 시간주기, 민속학연구, 17, 227 

  19. 이희재, 1994, 한국서지 - 수정번역판, 일조각 

  20. 임영란, 강순애, 2005, 명재 윤증가 소장 문중문고의 전적에 관한 서지적 연구, 한국서지학회, 31, 313 

  2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8, 국역증보문헌비고 상위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2. 정영택, 1908, 천문학, 보성관 

  23. 전상운, 1994, 한국과학기술사, 정음사 

  24. 전영신, 2002, 선각 기상인 - 와다의 포켓북, 일용편람: 1913년, 한국기상학회, 12, 22 

  25. 전용훈, 2002, 17-18세기 서양과학의 도입과 갈등 시헌력 시행과 절기배치법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17, 1 

  26. 정성희, 2008, 장서각 수집 역서자료 해제, 민속원 

  27. 천문대, 1996, 천문정보연구실 운영 및 정책연구, 천문대 

  28. 최고은, 2009, 1864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 역서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고문서집성 18 - 하회 풍산유씨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 한국천문연구원, 2009, 2010 역서, 남산당 

  31. 허윤업, 2000, 조선후기 관상감 천문학 부분의 조직과 업무 - 18세기 후반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大谷光男, 1973, 백제 무녕광.동광비의 묘지에 보이는 역법에 대하여, 조선학보, 9, 2 

  33. 橫山又次郞, 1920, 改正 天文學講話, 早稻田大學出版部 

  34. Courant, M., 1894, Bibliographie Coreenne, E. Leroux 

  35. Editorial Department, 1895, The Korean Almanac, The Korean Repository, 2, 59 

  36. Lee, K. -W., Yang, H. -J., & Park, M. -G., 2008, Astronomical Books and Charts in the Book of Bibliographie Coreenne, JASS, 25, 199 

  37. Lee, K. -W., Ahn, Y. -S., & Mihn, B. -H., Study on the Period of the Use of Datong-li in Korea, 2010, JASS, 27, 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