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국시대(B.C. 57 ~ A.D. 935) 연호와 역일 기록 분석
ANALYSIS OF THE RECORDS ON REIGN STYLE AND CALENDRICAL DATA OF THREE KINGDOMS PERIOD (B.C. 57 - A.D. 935) IN KOREA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36 no.1, 2021년, pp.1 - 23  

이기원 (대구가톨릭대학교) ,  안영숙 (한국천문연구원) ,  정용주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통용되는 삼국시대 연력표를 검증하기 위해 『삼국사기』와 당대 금석문에 기록된 연호와 역일 관련 기록을 분석하였다. 삼국시대 금석문의 기록은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 연구에 분석한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호 기록에 대한 연구로 먼저 「연표」에 나타난 삼국시대 기간 동안의 중국 연호와 신라에서의 연호 사용에 대한 기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에서 여러 왕조가 공존했던 삼국시대(220 ~ 280)에는 조위와 서진의, 남북조시대(386 ~ 589)에는 동진, 유송, 남제, 소량, 진의 연호가 수록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조위는 현행 삼국시대 연력표와 일치를 보이는 촉한의 역일과는 달랐다는 점이다. 한편 신라에서는 법흥왕 23년(536)에 건원이라는 연호를 시작으로 개국, 대창, 홍제, 건복, 인평, 태화 등을 사용하였으며, 통상 중국에서는 즉위할 때 개원하는 것과 달리 이들은 모두 재임기간 중에 개원되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연표」에서는 650년부터 중국의 정삭(正朔)을, 「본기」에서는 영휘 연호(年號)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음으로 사료에 기록된 연호들은 고구려를 제외하고는 「연표」에 수록된 시대별 중국 왕조들의 연호와 일치함을 발견하였다. 고구려의 경우 중국 남북조시대 기간 중인 유송 시기에는 북위의 연호가, 소량시기에는 동위의 연호가 사용된 사례가 있어 당시 고구려는 신라와는 다른 역일을 사용했을 개연성이 있다. 역일 기록에 대한 연구로 먼저 「연표」와 사료에 기록된 삼국 왕들의 즉위년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신라 미추이사금, 법흥왕, 선덕왕(善德王), 성덕왕, 민애왕, 경문왕의 즉위년을 검증하였다. 반면 신라 애장왕과 헌안왕, 고구려 장수왕과 문자명왕, 백제 동성왕, 무령왕, 위덕왕의 즉위년은 오류일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특히 애장왕 원년이 「연표」에서처럼 경진년(800)이 아닌 기묘년(799)이면, "일당식부식(日當食不食)"이라는 2년의 기록도 설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료에 기록된 역일기록을 대·소월, 윤달, 일진, 기타의 네 그룹으로 구분하여 현행 연력표와 비교하였다. 총 6건의 대·소월 기록 중에는 2건(660년 10월과 827년 2월)이, 11건의 윤달기록 중에는 1건(장수왕 76년 윤8월)이 차이를 보였다. 일진 기록은 총 98건으로, 이들은 다시 세 그룹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일진만 있는 기록은 12건이며, 이중 1건(182년 2월)을 제외하고는 모두 그달에 있는 일진이었다. 일자와 일진이 있는 기록은 26건으로 고구려 408년 12월 초하루를 제외하고는 모두 일치함을 보였다. 총 60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일식 기록은 7건이 불일치를 보였다. 또한 일어나지 않은 일식의 기록을 포함하여 모두 중국의 기록과도 같다. 이는 『삼국사기』 편찬에서 삼국 기록의 연도를 중국 문헌 자료를 참조하여 동정하는 과정에서의 오류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기타 그룹의 기록들로부터 특정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햇수는 오늘날 연령 표현에서처럼 기점을 포함하여 기산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다만 기년에서 '후'라는 표현은 기점을 제외하고 기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현행 삼국시대 연력표를 검증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the records on the reign style and the calendrical data presented in the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epigraph of the Three Kingdoms (Silla, Goguryeo, and Baekje) period in Korea (B.C. 57 - A.D. 935) to verify the chronological tables of the period that are currentl...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49)

  1. Ahn, Y. S., Mihn, B. -H., & Kim, S. -H., 2014, Collection of the Astronom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Ltd. (Paju) 

  2. Ahn, Y. S., Han, B. S., Sim K. J., & Song, D. J., 2009b, Chronological Table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Ltd. (Paju) 

  3. Ahn, Y. S., Lee, Y. B., Lee, Y. S., & Han, B. S., 2009a, Chronological Tabl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Ltd. (Paju) (AHN09) 

  4. Ahn, Y. S., Sim, K. J., Song, D. J., Han, B. S., & Yang, H. -J., 2009c, Chronological Tables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Ltd. (Paju) 

  5. Beijing Astronomical Observatory (BAO), 1988, Complete Catalogue of Ancient Astronomical Records of China (中國古代天象???集), Jiangsu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江蘇科學技術出版社) (Nanjing) 

  6. Chang, D. -I., 2012, The Calendar of the Early Goryeo, The Journal of Korean Medieval History, 33, 165 

  7. Chong, S. J., 1995, The Formative Era of Work of Art in the Ninth Century - Examined Through the Death of Budha, The Historical Journal, 28, 617 

  8. Chun, W. -J., 2016, The rubbing of the inscription on the of Gwanggaeto the Great (廣開土王陵碑文) 'shinmyo year Jo (辛卯年 條)' The consideration of study - Focusing on the existing study and the Seokmoon (釋文) -, The East Asian Ancient Studies, 43, 57-88 

  9. Classics Research Center (CRC), 2008, New Edition of the Samguksagi: 1, 2, Shinseowon (신서원) (Seoul) 

  10. Eom, G. -P., 2016, A Study on the Letter and Style of Pyeonum Priest Stupa in the Silsangsa temple, Jeonbuk Sahak (전북사학), 49, 27 

  11. Han, B. S., 2002, Arrangement of Chronological Tables on Korea: Volume I, Yeungnam University Press (Gyeongsan) (HAN02) 

  12. Hong, S. H., 2017, Study on the Production Age and Background of the seven-branched Sword, Dongyeon (동연), 1, 53 

  13. Institute of Korean Ancient Society (IKAS), 1995, Annotated Translation of Korean Ancient Epigraph: Volume I, II, III, Oh-Jeong Press Inc (五政印刷株式會社), (Seoul) 

  14. Jeon, D., 2016a, A Study on the Basic Original Text of Samguksagi "Goguryeobongi" and Its Completion - Fourced on the Records before the Reign of King Gwanggaeto -, The Oriental Studies, 64, 59 

  15. Jeon, D. J., 2009, New Light Shed on the Battle of Gwansanseong Fortress, The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 34, 31 

  16. Jeon, D. -J., 2015, A Study on the Basic Original Text of the Middle and Late Period Records of the Samguksagi Sillabongi and it's Completion, The Daegu Historical Review, 120, 133-186 

  17. Jeon, D. -J., 2016b, A Study on the Basic Original Text of the Samguksagi Beakjebongi - focused on the citation records from Chinese history books and domestic materials -, The Historical Journal, 53, 49 

  18. Jun, Y. H., 2020, Reexamination of the Astronomical Records in Samguk sagi that Depended on Chinese Sources,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42, 29 

  19. Jung, W. Y., 1998, The Koguryo Chronology Inscribed on a Metal and Stone Monument,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5, 48 

  20. Ki, K. -R., 2016, Types and Deciphering of the Goguryeo Rolling Cloud Pattern Roof-end Title with Inscriptions excavated from the Jian Area, The KoguryoBalhae Yonku (고구려발해연구), 56, 39 

  21. Kim, I., 2007, Examination on the Problems of the Baekje Calendar System and Sexagenary Cycle Day, in Encyclopedia of the Cultural History of the Baekje: Volume 11, edited by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Gongju), pp.349-385 

  22. Kim, I., 2012, The Koguryo Calendar System and the Sexagenary Cycle Calendar Records in Fifth-Century Epigraphy, Dongbuga Yeoksa Nonchong (동북아역사논총), 36, 53-94 

  23. Kim, I., 2013, Silla Astronomy and Almanac on the Silla-bongi and Epigraphs, The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 42, 155 

  24. Kim, K. S., 2005, The Enthronement of King Dongseong and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Baekjae, Hanguk Sanggosa Hakbo (한국상고사학보), 50, 5 

  25. Kim, Y. -K. & Cho, B. -H., 2016, Review on the Studies of Cheon Namsaeng's Epitaph,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 22, 7 

  26. King Sejong Memorial Association (KSMA), 1996, Korean Translation of the Samguksajeolyo, Shinheung Press Co. (Seoul) 

  27. Kwaak, S. -H., Kwon, D., Kwen, E. -J., Park, C., Byon, I., Shin, J.-W., Yang, E. -G., & Lee, S. H., 2015, Ancient Korean Epigraphy in China,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ress (Seongnam) 

  28. Lee, D. H., 1984a, A Study on the Genealogy of Bagje Kings from the Late Hanseong (漢城) Era to Wungjin (熊津),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 45, 1 

  29. Lee, E. S., 1978, Korean Astronomical Almanac: Volume II, Jeonpagwahaksa (전파과학사) (Seoul), pp.168-185 

  30. Lee, E. S., 1984b, The Stone Biography of King Muryong of Paekche and Yuan-Jia-Li-Fa, The Dong Bang Hak Chi (동방학지), 43, 39 

  31. Lee, E. S., 1985, Principle Analysis of the Calendar, Mineumsa (민음사) (Seoul) 

  32. Lee, H. J., 2014, Chronological Table of the Orient, Tamgudang (탐구당) (Seoul) 

  33. Lee, K., 2008, A Study of Solar Eclipse Record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408 

  34. Lee, K. -W., Ahn, Y. S., & Mihn, B. -H., 2012, Verification of the Calendar Days of the Joseon Dynasty, JKAS, 45, 85 

  35. Lee, K. -W., Ahn, Y. S., & Mihn, B.-H., 2016, Analysis of Reign Style and Calendar Day Presented in the Epigraphys of the Goryeo Dynasty, PKAS, 31, 1 

  36. Lee, S. -H., 2015, A Study on the Inscription on the Gilt Bronze Plate Excavated from Shinpo-si Temple Site, Wooden Documents and Inscriptions Studies, 14, 227 

  37. Lee, Y. B., Ahn, Y. S., Yim, I. S., & Kim, D. B., 2011, The Solar Eclipse Map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Ltd. (Paju), pp.674-675 

  38. Mihn, B. -H., Lee, K. -W., Ahn, Y. S., Ahn, S.-H., & Lee, Y. S., 2014, Analysis of Sambok in Korea, PKAS, 29, 1 

  39. Park, B. -R., 1988, On the Stele of Myonghwalsan-Sansong Fortress, Misuljaryo (미술자료), 41, 57 

  40. Park, C. & La, D., 1994, Confirmation and Historical Consequences of Astronomical Records in Samguksagi, The Korean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16, 167 

  41. Park, H. -E. & Ahn, Y. S., 2019, Korean Astronomical Almanac for the Year 2020, SMBook (Seoul) 

  42. Park, H. -E., Mihn, B. -H., & Ahn, Y. -S., 2017, Operation of A Lunisolar Calendar in Korea and Its Calculation Method, PKAS, 32, 407 

  43. Park, K., 2013, Calendar Publication and Local Science in Joseon Korea, The Korean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35, 69 

  44. Park, S -R., 1978, Development of Calendars and Reign Titles in Early Koryo Dynasty, Journal of Korean Studies, 4, 135 

  45. Stephenson, F. R., 2013, Astronomical Records in the Samguk Sagi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Earliest Times to A.D. 668, Korean Studies, 37, 171 

  46. Song, Y. J., 1966, Some era-names of the Sam-Kooks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inscription of stone monuments, Historical Science (력사과학), 4, 12 

  47. Xu, X. Q., 1992, Xinbian zhongguo sanqiannian liri jian- suobiao (新?中?三千年?日?索表), People's Education Press (人民?育出版社) (Beijing) (XU92) 

  48. Xue, Z. & Yi, O., 1961, A Sino-Western Calendar for Two Thousand Years 1-2000 A.D., Shang-Wu Yin-Shu-Guan (商務印書館) (Beijing) 

  49. Yang, H. -J., Ahn, Y. -S., & Lee, K. -W., 2008, Analysis of Astronomical Almanac Data for National Standard Reference Data, PKAS, 23, 5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