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들레 뿌리로부터 Pancreatic lipase 저해 물질의 분리
Pancreatic Lipase Inhibitors in the Roots of Taraxacum ohwianum, a Herb Used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8 no.1, 2011년, pp.53 - 58  

김태완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태훈 (대구한의대학교 한약재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선한 울릉도 민들레 뿌리를 70% ethanol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n-hexane, EtOAc, n-BuOH로 순차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상대적으로 높은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나타낸 EtOAc 분획에 대해 Toyopearl 및 $C_{18}$겔을 활용한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5종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3,5-di-O-caffeoylquinic acid, chicoric acid, caffeic acid, protocatechuic aldehyde, luteolin 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중 3,5-di-O-caffeoylquinic acid 는 $IC_{50}$ 값이 $65.1\;{\pm}0.7\; {\mu}M$로 가장 강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tartaric acid의 수산기에 2분자의 caffeic acid가 결합한 chicoric acid 의 IC50 값$126.3{\pm}2.3{\mu}M$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민들레 뿌리의 EtOAc 가용부에에 존재하는 caffeic acid 유도체가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활성은 caffeic acid가 결합한 quinic acid 및 tatrtaric acid 등의 구성화합물에 따라 다름이 시사되었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의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pancreatic lip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울릉도에 자생하는 민들레 뿌리의 식물 화학적 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tivity-guided isolation from an ethylacetate-soluble fraction of a 70% (v/v) ethanolic extract from the roots of Taraxacum ohwianum, using a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assay, resulted i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ve phenolic metabolites of previously known structure; these were 3,5-d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공전에는 민들레의 어린순, 어린잎, 뿌리부위를 식품의 주원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수록하고 있으며, 일본 한약도감에는 소염, 항균, 이뇨, 유즙분비 촉진, 적출심장에 대하여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15,16). 본 실험에서 사용한 울릉 민들레는 서양민들레의 왕성한 번식력에 밀려 토종 민들레를 찾아보기 힘든 현실에서 울릉도 자생 민들레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고 우수성을 알리고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검증이 전무한 울릉도 민들레 뿌리의 70% ethanol 추출물로부터 3종의 cafffeic acid 유도체 및 2종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의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팀도 천연물 유래의 항비만 선도물질 개발의 일환으로 천연소재 및 천연물에 생물전환기법을 적용하여 pancreatic lipase 저해제를 분리하여 그 효능에 대해 보고하였다(11-13).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로 부터 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천연물질을 탐색하고자 국내의 자생식물을 대상으로 lipase 저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그중에서 우수한 저해능을 나타낸 민들레 뿌리의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활성물질 탐색을 수행하였다.
  • 따라서 최근에는 부작용이 없는 천연소재로부터 pancreatic lipase 저해제를 저해 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다수의 연구팀에 의해 진행 되고 있으며(9), Platycodin grandiflorum, Salvia officinalis, Salacia reticulate, oolong차로부터 지방분해 효소를 억제하는 활성성분이 보고되었다(10). 본 연구팀도 천연물 유래의 항비만 선도물질 개발의 일환으로 천연소재 및 천연물에 생물전환기법을 적용하여 pancreatic lipase 저해제를 분리하여 그 효능에 대해 보고하였다(11-13).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로 부터 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천연물질을 탐색하고자 국내의 자생식물을 대상으로 lipase 저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그중에서 우수한 저해능을 나타낸 민들레 뿌리의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활성물질 탐색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b)Orlistat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소득수준의 향상 및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식생활, 식습관 등 라이프스타일이 빠르게 서구화됨에 따라 만성질환이나 성인병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원인 중의 하나가 비만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은 섭취에너지와 소비에너지의 불균형에 의한 에너지 대사이상으로서, 결과적으로 지방세포에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로 정의되며 비만의 가장 큰 원인은 고에너지나 고지방을 함유한 음식의 섭취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한 체중의 증가나 체내 지방 축적이지만, 최근에는 신경내분비 계통의 이상, 약물, 유전적 요인 및 생화학적 이상반응에 의해서도 유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비만은 단순히 외형상의 문제 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와 더불어 고혈압,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심장질환, 뇌졸중, 관절염, 동맥경화, 암 등의 심각한 성인병을 유발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3,4).
대표적인 지방분해효소 저해제는 무엇인가? Pancreatic lipase는 triglyceride를 2-monoacylglycerol과 fatty acid로 분해하는 key enzyme으로 작용한다(5). 대표적인 pancreatic lipase inhibitor는 Streptomyces toxitricini로부터 유래된 lipstatin의 유도체인 tetrahydrolipstatin (orlistat)으로서, 현재 항비만 의약품으로서 시판중이며 섭취된 지방의 약 30%를 저해할 정도로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6,7). 그러나 이와 같은 효능에도 불구하고 orlistat은 위장 장애, 과민증, 담즙분비장애, 지용성 비타민 흡수억제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비만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소득수준의 향상 및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식생활, 식습관 등 라이프스타일이 빠르게 서구화됨에 따라 만성질환이나 성인병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원인 중의 하나가 비만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은 섭취에너지와 소비에너지의 불균형에 의한 에너지 대사이상으로서, 결과적으로 지방세포에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로 정의되며 비만의 가장 큰 원인은 고에너지나 고지방을 함유한 음식의 섭취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한 체중의 증가나 체내 지방 축적이지만, 최근에는 신경내분비 계통의 이상, 약물, 유전적 요인 및 생화학적 이상반응에 의해서도 유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비만은 단순히 외형상의 문제 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와 더불어 고혈압,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심장질환, 뇌졸중, 관절염, 동맥경화, 암 등의 심각한 성인병을 유발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ay GA, Popkin BM (1998) Dietary fat intake dose affect obesity. Am J Clin Nutr, 68, 1157-1173 

  2. Bray GA, Popkin BM (1999) Dietary fat affects obesity rate. Am J Clin Nutr, 70, 572-573 

  3. Freedman DS, Serdula MK, Perey CA, Whitle L (1997) Obesity levels of lipids and glucose, and smoking among Navajo adolescents. J Nutr, 127, 2120-2127 

  4. Rexrode KM, Manson JE, Hennekens CH (1996)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Curr Opin Cardiol, 11, 490-495 

  5. Bitou N, Nimomiya M. Tsjita T, Okuda H (1999) Screening of lip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Lipids, 34, 441-445 

  6. Drent ML, Larsson I, William-Olsson T, Quaade F, Czubayko F, Von Bergmann K, Strobel W, Sjotro L, Van der Veen EA (1995) Orlistat (RO 18-0647), a lipase inhibitor, in the treatment of human obesity: a multiple dose study. Int J Obesity, 19, 221-226 

  7. Hadvay P, Lengsfeld H, Wolter H (1988)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in vitro by covalent inhibitor tetrahydrolipstatin, Biochem J, 256, 357-361 

  8. Peter C, Williams G (2001) Drug treatment of obesity: from past failures to future successes. Br J Clin Pharmacol, 51, 135-141 

  9. Yamamoto M, Shimura Y, Iyoh M Egawa, S Ionue (2000) Anti-obesity effects of lipase inhibitor CT-II, an extract from edible herbs, Nomame Herba, on rats fed a high-fat diet. Int J Obesity, 24, 758-764 

  10. Birari RB, Bhutani KK (2007) Pancreatic lipase inhibitors from natural sources: unexplored potential. Drug Dicov Today, 12, 879-889 

  11. Lee EM, Lee SS, Chung BY, Cho JY, Lee IC, Ahn SR, Jang SJ, Kim TH (2010)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by C-glucosidic flavones isolated from Eremochloa ophiuroides. Molecules, 15, 8251-8259 

  12. Hong JY, Shin SR, Bae MJ, Bae JS, Lee IC, Kwon OJ, Jung JW, Kim YH, Kim TH (2010) Pancreatic lipase inhibitor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cultivated mountain ginseng (Panax ginseng). Korean J Food Preserv, 17, 727-732 

  13. Kim TH, Kim JK, Ito H, Jo C (2011) Enhancement of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curcumin by radiolytic transformation. Bioorg Med Chem Lett. 21, 1512-1514 

  14. Kang BS (2000) Bonchohak, 6th edition, Young Lim Sa, Seoul, Korea. 

  15. Namba T (1993) The encyclopedia of Wakan-yaku with color pictures vol 1, 68-71, Hoikusha, Osaka, Japan. 

  16. Hwang KH, Park TK (2006)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Taraxacum mongolicum on monoamine oxidase. Korean J Pharmacogn, 37, 229-234 

  17. Kim JH, Kim HJ, Park HW, Youn SH, Choi DY, Shin CS (2007) Development of inhibitors against lipase and alpha-glucosidase from derivatives of monascus pigment. FEMS Microbiol Lett, 276, 93-98 

  18. Zhu X, Zhang H, Lo R (2004)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f extract of Artichoke (Cynara scolymus L.)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J Agric Food Chem, 62, 7272-7278 

  19. Vett M, Strack D, Czygan F-C, Wray V, Witte L (1991) Di-E-caffeoyl-meso-tartaric acid in the barren sprouts of Equisetum arvense. Phytochemistry, 30, 527-529 

  20. Kwon YS, Won HM, Kim CM (2000) Flavonoids from Indigofera pseudo-tinctoria stem. Korean J Pharmacogn, 31, 280-283 

  21. Xu M, Zhang Z, Fu G, Sun J, Yang M, Liu Z, Han J, Guo D (2007)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sis of protocatechuic aldehyde and its phase I and II metabolites in rat. J Chromatogr, 856, 100-107 

  22. Markham KR, Ternai B, Stanley R, Geiger H, Marbry TJ (1978) Carbon-13 NMR studies of flavonoids-III: Naturally occurring flavonoid glycosides and their acylated derivatives. Tetrahedron, 34, 1389-1397 

  23. Jung HA, Islam MD, Kwon YS, Jin SE, Son YK, Park JJ, Sohn HS, Choi JS (2010)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three major aldose reductase inhibitors from Artemisia montana. Food Chem Toxicol, In press. 

  24. Lee BI, Nugroho A, Bachri MS, Choi J, Lee KR, Kim WB, Lee KT, Lee JD, Park HJ (2010) Anti-ulcerogenic effect and HPLC analysis of the caffeoylquinic acid-rich extract from Ligularia stenocephala. Biol Pharm Bull, 33, 493-497 

  25. Satake T, Kamiya K, An Y, Oishi Nee Taka T, Yamamoto J (2007) The anti-thrombotic active constituents from Centella asiatica. Biol Pharm Bull, 30, 935-9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