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씀바귀의 지질강하 및 항산화효과
Effects of Ixeris dentata ext. on Lowering Lipid and Anti-oxidation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1, 2011년, pp.55 - 60  

이은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씀바귀추출물이 비만을 유도한 흰쥐의 지질강하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혈장 유리지방산과 triglyceride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씀바귀추출물 투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혈장 내 total cholesterol 농도와 LDL-cholesterol 농도는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모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HDL-cholesterol농도는 처리군 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장 total cholesterol과 triglyceride량은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 농도는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 모두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GSH-Px, SOD 및 CAT의 활성치는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NF-${\alpha}$, Apo-B, Apo-E 및 Leptin의 gene expression은 씀바귀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낮은 expression을 나타내었다. ${\beta}$-actin expression에 대한 TNF-${\alpha}$, Apo-B, Apo-E 및 Leptin의 gene expression의 비율은 TNF-${\alpha}$와 Apo-E는 대조군보다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Apo-B 및 Leptin의 비율은 대조군을 비롯한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씀바귀 추출물은 지질강하 및 항산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시사해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effects of Ixeris dentata EtOH ext. on lowering lipid levels and anti-oxidation activity, hyperlipidemic rats were treated with Ixeris dentata EtOH ext. and lipid levels and anti-oxdation activity were measured. The Ixeris dentata EtOH ext. groups showed low concentration of plasma 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씀바귀의 비만억제 및 항산화 효과를 생체시험을 통해 알아보기 위하여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흰쥐에게 씀바귀 추출물을 장기간 급여한 후, 혈액 및 간장의 지질구성, thioba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량, 항산화계 효소들의 활성 및 간장내 지질관련 유전자들에 대해 생화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검토를 실시했다.
  • 씀바귀추출물이 비만을 유도한 흰쥐의 지질강하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혈장 유리지방산과 triglyceride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씀바귀추출물 투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또한 β-Actin에 대한 TNF-α, Apo-B, Apo-E 및 Leptin의 gene expression 비율(Table 7)도 씀바귀추출물의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술한 각 처리군 별 혈장 및 간장의 지질구성 및 농도의 변동경향과 잘 부합되어 씀바귀의 지질강하효과를 확인해 주었다

가설 설정

  • a,b : Means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a,b,c : Means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씀바귀의 주요 구성 물질은 무엇인가? 씀바귀(Ixeris dentata)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이, 1979)이며, 민간요법에서 진정, 최면, 해열, 조혈, 건위, 소화불량, 폐렴, 간염, 타박상, 종기 및 식욕촉진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Hukuta, 1988). 씀바귀의 주요 구성 물질은 aliphatics, triterpenoids(Arai et al., 1963) 및 sesquiterpene glucoside 등으로 밝혀졌다(Seto et al., 1986).
씀바귀추출물이 비만을 유도한 흰쥐의 지질강하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씀바귀추출물이 비만을 유도한 흰쥐의 지질강하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혈장 유리지방산과 triglyceride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씀바귀추출물 투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혈장 내 total cholesterol 농도와 LDL-cholesterol 농도는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모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HDL-cholesterol농도는 처리군 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장 total cholesterol과 triglyceride 량은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 농도는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 모두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GSH-Px, SOD 및 CAT의 활성치는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NF-α, Apo-B, Apo-E 및 Leptin의 gene expression 은 씀바귀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낮은 expression을 나타내었다. β-actin expression에 대한 TNF-α, Apo-B, Apo-E 및 Leptin의 gene expression의 비율은 TNF-α 와 Apo-E는 대조군보다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Apo-B 및 Leptin의 비율은 대조군을 비롯한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씀바귀 추출물은 지질강하 및 항산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시사해준다.
씀바귀는 민간요법에서 어떻게 이용되는가? 씀바귀(Ixeris dentata)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이, 1979)이며, 민간요법에서 진정, 최면, 해열, 조혈, 건위, 소화불량, 폐렴, 간염, 타박상, 종기 및 식욕촉진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Hukuta, 1988). 씀바귀의 주요 구성 물질은 aliphatics, triterpenoids(Ara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rai, Y.Y., M. Kusumoto, K. Nagao and H. Shiojima. 1963. Composite constituents: Aliphatics and triterpenoids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s of Ixers debilis and I. dentata. Yakugaku Zasshi 103:356-359. 

  2. Arner, P., T. Pollare, H. Lithell and J.N. Livingston. 1987. Defective insulin receptor kinase in human skeletal muscle in obesity and type 2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Diabetologia 30:437-443. 

  3. Bidlack, W.R. and A.L. Tappel. 1973. Damage to microsomal membrane by lipid peroxidation. Lipids 8:177-178. 

  4. Buege, J.A. and S.D. Aust.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In Fleischer S, Packer Leds Methods in enzymelogy (London Academic press). 52:302-309. 

  5. Castelli, W.P. 1986.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Framingham study. JAMA. 256:20. 

  6. Cho, J.S., H.Y. chung and H.S. Young. 1990. A preliminary study on hypo-cholesterolemic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some medical plants. Kor. J. Phamacogn. 21:153-155 (in Korean). 

  7. Choi, J.S., H.S. Young and, B.W. Kim. 1991. Hypoglycemic and hypolipodemic effects of Ixeris dentata in diabetes rats. Arch Pham Res. 13:269-270. 

  8. Flohe, L., R. Becker, R. Brigelius, E. Lengfelder and F. Otting. 1992. Convenient assays for superoxide dismutase. CRC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p. 287-293. 

  9. Hong, S.g., D.M. Jeong, K.Y. Kim and E.H. Hwang. 2010. The composition of root of Ixeris dentata var. albiflora Nakai and cell viabil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its extract. Kor. J. Nutr. 43:105-113 (in Korean). 

  10. Hukuda, J. 1988. Apply revised illustrated medicinal plant of the world. Hokuryukan, Tokyo. p. 1068. 

  11. Ishikawa, T. and M. Suzukawa. 1997. Effect of tea flavonoid supplementation on the susceptibility of low-density lipoprotein to oxidative modification. Am. J. Clin. Nutr. 66:261-266. 

  12. Johnson, L.H. and L.A. Hakan Borg. 1988. A spectro phto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atalase activity in small tissue samples. Analytical Biochemistry p. 331-336. 

  13. Kim, M.J., J.S. Kim, D.M. Jeong, S.S. Ham and C.Y. Yu. 2002. Effect of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of root extract from Ixeris dentata Naki. Korean J. Medicinal Sci. 10:222-229. 

  14. Kissebah, A.H., S. Alfarsi, P.W. Adams and V. Wynn. 1976.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adipose tissue and liver in the pathogenesis of endogenous hypertriglyceridemia in man. Diabetologia 12:563-571. 

  15. Kolterman, O.G., J. Insel, M. Saekow and J.M. Olefsky. 1980. Mechanism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obesity. J Clin Invest. 65:1272-1284. 

  16. Langanier, S. and B.P. Yu. 1987. Anti-lipoperoxidation action of food restriction. Biochem. Biophys. Res. Comm. 145:1185-1202. 

  17. Lee, C.B. 1979. wonsaeg hankook kijeung sigmool dogam. Academi. p. 150. 

  18. Lee, E., M.Y. Choi and H.S. Oh. 2000. Effects of Powdered Siho (Bupleuri Radix) on serum and liver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 fed high oxidized fat. Kor. J. Nutrition 33:502-506 (in Korean). 

  19. Lee, E. 2003. Effects of powdered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on serum and Liver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fed high oxidized fat. J. Kor. Soc. Food Sci. Nutr. 32:926-930 (in Korean). 

  20. Levander, O.A., D. PDeLoach, C. Morris and P.B. Moser. 1983. Platelet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s an index of selenium status in rats. J. Nutr. 113:55-63. 

  21. Nielsen, S. and M.D. Jensen. 1997. Obesity and cardivascular disease is body structure a factor. Curr. Opin. Lipidol. 8:200-204. 

  22. Ohkawa, H., N. Ohishi and K. Yagi.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351-358. 

  23. Seto, M., T. Miyasa and S. Fukushima. 1986. Sesquiterpene lactones from Ixeris dentata Nakai. Chem. Pham. Bull. 34:4170-4176. 

  24. Saito, M. 1988. Interaction between lipid peroxide formation and nutritional status. J. JPN Soc. Nutr. Food Sci. 41: 343-349. 

  25. Takayama, S., C.R. Kahn, K. Kubo and J.E. Foley. 1988. Alterations in insulin receptor autophosphorylation in insulin resistance: correlation with altered sensitivity to glucose transport and antilipolysis to insulin. J. Clin. Endocrinol. Metab. 66:992-999. 

  26. Ueda, H. and K. Tanoue. 2000. Growth-depressing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quillaja and tea saponins in chicks as influenced by diet composition. Anim. Sci. J. 71:393-399. 

  27. Vergroeson, A.T. 1997. Physiological effects of dietary linoleic acid. Nutr. Rev. 35: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