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arbon Tetrachloride로 유발된 Rat의 간장과 신장 손상시 헛개나무 추출액의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s of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CCl_4$ Induced Liver and Kidney Damage in Rats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28 no.1 = no.78, 2011년, pp.20 - 27  

김홍태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대동 (구미 가나동물병원) ,  구세광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김주완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임미경 (경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  오태호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이근우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venia dulcis Thunb (HDT) has been known folk medicine and has been used as therapeutic drug in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Also it has been used as a detoxifying agents for alcoholic poisoning and promoting diuresis.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on therapeutic effect of Hovenia dulc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rat에서 사염화탄소 투여 후 헛개나무 열수 추출물의 투여가 급성 간 및 신장 손상 시에 어떤 치료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 열수 추출액이 rat에서 사염화탄소(CCl4)투여로 유발된 급성 간 손상 및 신장 손상시의 치료효과를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헛개나무의 한방에서의 이용은 어떻게 되는가? 또한 헛개나무는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식물로 본초강목에 따르면 열매는 갈색으로 은은한 향기 및 단맛을 함유하고 있고 목재는 건축재나 가구재, 악기재, 조각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44).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숙취해소, 구토, 구갈, 대소변불통, 류마티즘 및 사지마비의 치료에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41,42), 특히 열매는 주독해소, 이뇨의 증진효과(17,29)가 탁월하다고 전해지고 있다.
헛개나무에 대해 설명하라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는 지구자 나무 또는 괴조, 호깨나무, 호로깨나무라고도 하며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서 우리나라 중부이남 표고 50~800 m에서 자라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또한 헛개나무는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식물로 본초강목에 따르면 열매는 갈색으로 은은한 향기 및 단맛을 함유하고 있고 목재는 건축재나 가구재, 악기재, 조각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44).
헛개나무에 함유된 간독소 해독물질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헛개나무에 함유된 간독소 해독 물질로는 ampelopsin(4)이, antisweet 물질로 hoduloside, jujuboside(38)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헛개나무 열매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과 조성(34,35,36,37,39) 이외 간 보호작용(6,16,37), 항산화(10,33), 항미생물(10,33), 항암(8,20), 항돌연변이(8), 항균(3), 항미(34,35), 항당뇨(14), 저지혈증(8), 항고혈압(21), 알콜 해독작용(1,8,13,15,20) 등이 보고되어 있다. Hase 등(6)은 간 손상시 CCl4와 D-Galatosamine/Lipopoly-saccharide 단독투여 군에서 간 손상 효소 활성치는 헛개나무 메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이 감소시키고, 열수 추출물보다는 메탄올 추출물이 더 감소시키는 간 보호 작용에 관하여 보고하였고, Yoshikawa 등(34,35,36,37,39)은 간 보호 작용 및 histamine 분비억제 효과, 알콜의 근육이완 작용 억제효과 등에 관하여 보고하였으며, 임 등(22)은 에탄올을 10일간 투여한 쥐에서 직선 수로실험과 T-미로실험을 한 결과, 학습에 의하여 목표점 도달 소요시간이 유의성 있게 단축되고 대조군은 기억력 쇠퇴로 인하여 학습능력이 현저히 감소하나 헛개나무 열수 추출물을 계속 투여한 군에서는 에탄올 중독으로 저하된 학습능력에 유의성 있는 회복을 나타내어 헛개나무의 학습효과 증진 효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n SW, Kim YG, Kim MH, Lee BI, Lee SH, Kwon HI, Hwang B, Lee HY. Comparison of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and Alnun japonica Steub.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99; 7: 263-268. 

  2. ATSDR.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American Family Physician 1992; 46: 1199-1207. 

  3. Choi YJ, Lee HJ, Lee SS, Choi DH.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X): antifungal compuunds of Hovenia dulcis. Mokchae Konghak 2003; 31: 1-9. 

  4. Friedman M. Chemistry, biochemistry and dietary role of patato polyphenols. J. Agric. Food Chem 1997; 45: 1523-1540. 

  5. Gabriel LP, William RH.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Raban Press, New York 1982: 407-445. 

  6. Hase K, Ohsugi M, Xiong Q, Basnet P, Kadota S, Namba T. Hepatoprotective effect of Hovenia dulcis THUNB. on experimental liver injurie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or D-galactosamine/lipopoly-saccharide. Biol Pharm Bull 1997; 20: 381-385. 

  7. Hetts SW. To die or not to die: an overview of apoptosis and its role in disease. JAMA 1998; 279: 300-307. 

  8. Hong YL, Kim MH, Ahn C, Lee HY, Kim JD.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Hovenia dulcis Thunb. J Agr Sci 2000; 11: 1-11. 

  9. HSDB. 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Online database produc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carbon tetrachloride. 2000. 

  10. Hwang EJ, Kwon HC, Jung CM, Moon HI, Kim SY, Zee OP, Lee KR.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from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sylvatica. Yakhak Hoeji 1999; 43: 423-428. 

  11.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the carcinogenic. Risk of chemicals to humans. Re-evaluation of some organic chemicals, hydrazine and hydrogen peroxide. Lyon, France 1999; 71: 1589-1999. 

  12. Janbaz KH, Gilani AH. Evaluation of the protective potential of Artemisia maritima extract on acetaminophen and $CCl_{4}$ induced liver damage. J Ethnopharmacol 1995; 47: 43-47. 

  13. Jeon TW, Lee ES, Lee YS, Han OK, Bae JC, Kim KJ, Kim HJ. Eliminatory effect of mixed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 and Gastodia Elata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2002; 16: 905-910. 

  14. Ji Y, Chen S, Zhang K, Wang W. Effects of Hovenia dulc is Thunb on blood sugar and hepatic glycogen in diabetic mice. Zhong Yao Cai 2002; 25: 190-191. 

  15. Kim MH, Chung YT, Lee JH, Park YS, Shin MK, Kim HS, Kim DH, Lee HY.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from Korea and Chi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0; 8: 225-233. 

  16. Kim OK.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of Hovenia dulcis Thunb on hepatotoxicity in carbon tetrachloride intoxic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 30: 1260-1265. 

  17. Kim TJ. Korean Resources Plants. 1st ed.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96: 72, 260. 

  18. Klaassen CD. Toxic responses of the liver. In: Casarett & Doull's Toxicology: The basic science of poisons, 5th ed. New York: McGraw-Hill. 1996: 403-416. 

  19. Kwak SD, Yang JH, Koh PO, Seo DL, Kang CB. Study on morphological changes and TUNEL reaction of apoptotic cells in mouse liver by apoptosis induction. J Biomed Lab Sci 2002; 8: 179-184. 

  20. Lee MK, Kim YG, An SW, Kim MH, Lee JH, Lee HY. Biological activities of Hovenia dulcis THUNB.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99; 7: 185-192. 

  21. Lee SE, Bang JK, Seong NS.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venia dulcis Thunb cortex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4; 12: 79-84. 

  22. Lim JP, Cui X, Song JM. Effect of fruits of Hovenia dulcis Thunb on learning ability of ethanol-induced ra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3; 11: 232-235. 

  23. McCay PB, Lai EK, Poyer JL, DuBose CM, Janzen EG. Oxygen- and carbon- centered free radical formation during carbon tetrachloride metabolism. Observation of lipid radicals in vivo and in vitro. J Biol Model. Critical reviews in Toxicology. 2003; 33: 105-136. 

  24. McCollister, Beamer W, Atchinson G. The absorption, distribution and elimination of radioactive carbon tetrachloride by monkeys upon exposure to low vapor concentrations. J Pharmacol Exp Ther 1987; 102: 112-124. 

  25. Park GS, Kim HH. Some functional properties of extracts from leaf and fruit stalk of Hovenia dulci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2000; 7: 291-296. 

  26. Reitman S, Flankel S.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1992; 40: 2287-2291. 

  27. Robbins B. The absorption, distribution and excretion of carbon tetrachloride in dogs under various conditions. J Pharm Exp Ther 1987; 37: 203-216. 

  28. Salminen WF Jr, Voellmy R, Roberts SM. Protection against hepatotoxicity by a single dose of amphetamine: the potential role of heat shock protein induction. Toxicol Appl Pharmacol 1997; 147: 247-258. 

  29. Sanghachulbu. Jungyakdesajon. 1st ed. Sanghae: Sanghae science pub. 1985: 413-415. 

  30. Smith AF, Beckett GJ, Walker SW, Rae PWH. Liver function test. In: lecture notes on clinical biochemistry, 6th ed. Oxfor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1998: 113. 

  31. Venkateswaran S, Pari L, Viswanathan P, Menon VP. Protective effect of Livex, a herbal formulation against erythromycin estolate 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Ethnopharmacol 1997; 57: 161-167. 

  32. Weber LWD, Boll M, Stampfl A. Hepatotoxicity and mechanism of action of Haloalkanes: carbon tetrachloride as a toxicological model. Critical reviews in toxicology. 2003; 33: 105-136. 

  33. Yamahara J, Kobayashi G, Matsuda H, Katayama T, Fujimura H. Vascular dilatory action of Artemisia capillaris bud extracts and their active constituent. J Ethnopharmacol 1989; 26: 129-136. 

  34. Yoshikawa K, Nagai N, Yoshida M, Arihara S. Anti-sweet natural products. VIII. structures of hodulosides VI-X from Hovenia dulcis Thunb. var tamentella Makino. Chem Pharm Bull 1993; 41: 1722-1725. 

  35. Yoshikawa K, Tumura S, Yamada K, Arihara S. Antisweet natural products. VII. Hodulosides I, II, III, IV and V from the leaves of Hovenia dulcis Thunb. Chem Pharm Bull 1992; 40: 2287-2291. 

  36. Yoshikawa M, Murakami T, Ueda T, Matsuda H, Yamahara J, Murakami N. Bioactive saponins and glycosides. IV. four methyl-migrated 16, 17-seco-dammarane triterpene gylcosides from Chinese natural medicine, hoveniae semen seu fructus, the seeds and fruit of Hovenia dulcis THUNB: absolute stereostructures and inhibitory activity on histamine release of hovenidulciosides A1, A2, B1, and B2, Chem Pharm Bull 1996; 44: 1736-1743. 

  37. Yoshikawa M, Murakami T, Ueda T, Yoshizumi S, Ninomiya K, Murakami N, Matsuda H, Saito M, Fujii W, Tanaka T, Yamahara J. Bioactive constituents of Chinese natural medicines. III. absolute stereostructures of new dihydroflavonols, hovenitins I, II, and III, isolated from hoveniae semen seu fructus, the seed and fruit of Hovenia dulcis THUNB. (Rhamnaceae): inhibitory effect on alcoholinduced muscular relaxation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Yakugaku Zasshi 1997; 117: 108-118. 

  38. Yoshikawa M, Tumura S, Yamada K and Arihara T. Antisweet natural products. 7. Hodulosides I, II, III, IV and V from the leaves of Hovenia dulcis Thunb.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1992; 40: 2287-2291. 

  39. Yoshikawa M, Ueda T, Muraoka O, Aoyama H, Matsuda H, Shimoda H, Yamahara J, Murakami N. Absolute stereostructures of hovenidulciosides A1 and A2, bioactive novel triterpene glycosides from hoveniae semen seu fructus, the seeds and fruit of Hovenia dulcis Thunb. Chem Pharm Bull 1995; 43: 532-534. 

  40. 강정부, 이은석, 허주영. 사염화탄소의 투여가 쥐의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1. 임상증상 및 혈액화학치. 한국임상수의학회지 1997; 14: 268-272. 

  41. 박후연 외. 두산 세계 대백과사전. 제일출판사 1989: 105. 

  42. 안상욱, 김영길, 김민희, 이병익, 이상호, 권혁일, 황백, 이현용. 헛개나무와 오리나무 추출물의 간 해독작용 및 체내 알콜 분해능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999; 7: 263-268. 

  43. 장양욱, 최호열. 사염화탄소에 의한 신장 손상 - 기능적, 조직학적 및 효소 조직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북의대논문집 1983; 7: 85-96. 

  44. 최웅, 신동화, 장영상, 신재익. 식물성 천연 항산화물질의 검색과 그 항산화력의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1992; 24: 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