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과.제빵 학원의 교육환경과 수강생의 전공인식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 Student's Major Recogni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at the Bakery & Confectionery Institut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1, 2011년, pp.63 - 71  

김형준 (위덕대학교 외식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different levels of learning satisfaction concerning bakery and confectionery institute students in relation to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60 students enr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주·포항 및 울산지역의 제과·제빵 학원에 등록한 수강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제과·제빵 학원의 교육환경에 대한 수강생의 평가와 함께 본인의 전공에 대한 인식이 학원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 또한 연구결과를 통해 제과·제빵 사설학원의 교육 환경 및 교육과정이 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개선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울산 및 경주, 포항 인근지역의 제과·제빵 학원에 등록한 수강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제과·제빵 분야에 학원의 교육환경과 전공인식이 학원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분석하고자 하였다.
  • 제과·제빵 학원의 교육환경이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가를 인식하고 나아가 학원생들의 높은 학습만족도를 달성하기 위해 최적의 교육과정을 확립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과·제빵 분야는 어떻게 세분화되었나? 최근 직업의 구조는 전문화된 직능집단이 분화되면서 전문화가 가속화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지식과 창의력을 갖춘 전문 인력이 창의적 생산을 상호 보완하는 인력구조로 전환되었다(Lee 등 2010). 특히 제과·제빵 분야는 제과, 제빵 외에 커피(바리스타), 케이크 데커레이션, 설탕공예 등으로 세분화되었고 매스컴을 통한 일련의 방송은 관련 수요 증가에 일조를 하였다.
학원교육은 어떤 기회를 제공하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Kim(2005)은 학원이 학교의 연장교육기관이며 이런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동시에 자기개발과 재능을 발전시키는 학습의 장으로서 역할을 한다고 보고 하였으며, 일반 전문 학원의 원장들은 학원의 역할이 고등학교나 대학교의 교육에서 미치지 못하는 부분을 충족시키는 보완기능을 가진 다고 하였다(Han 2004). 따라서 학원의 교육 목표는 급속한 시장변화에 따른 높은 수준과 기술을 반영해야 하며(Park 등 2008), 이러한 배경에서 학원교육은 평생교육차원은 물론 다양한 연령층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며, 높은 수준의 직업 기능의 습득, 예술적 욕구 만족 등 여러 가지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을 한다(Kim 2005).
본 연구에서 제과·제빵 학원에 등록한 수강생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학원의 교육환경과 전공인식이 학습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주요 결과는? 첫째, 제과·제빵 분야에 교육환경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환경, 교수법으로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전공인식은 교과목인식, 사회적인식으로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앞에서 도출된 요인과 일반적인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분석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교수법과 교과목인식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차이를 보인 모든 요인에 대해 남성이 여성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전공인식요인의 교과목 인식은 20대가, 사회적 인식은 10대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교육환경요인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강 과목간의 차이에서는 전공인식요인의 교과목인식, 교육환경요인의 교수법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카이 스퀘어 검증을 활용한 수강생의 수강 목적과 인구통계학적 변수 간 분석결과, 수강 목적에 차이를 보인 변수로는 성별, 연령, 학력, 직업 및 수강 과목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출된 요인들의 요인점수를 기초로 하여 학원의 교육환경(학습환경, 교수법), 전공인식(교과목 인식, 사회적 인식)이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월간베이커리, 2008. 02, 대한제과협회. pp 154-156 

  2. An KS, Baek HG. 2009. Influence of ubiquitous characteristic factor of the digital textbook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4(1):85-105 

  3. Baek KS. 2010. A study on auricular propriety criteria of social needs in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1):195-218 

  4. Chang KW, Lee HK, Jeong HJ. 2008. Major part of a student's learning whether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the department of the school. korea J. Soc Hygienic Sciences, 14(2):137-146 

  5. Choi JH. 2010. Curriculum satisfaction of music education major in Korea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8:149-171 

  6. Ding C, Hall A. 2007. Gender ethnicity and grade differences in perceived of school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33:159-174 

  7. Han JS. 2004. A study on the market segmentation of bakery according to the customers characteristics. Masters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pp 12-14 

  8. Han YJ. 2008. Influence of Major specializing of high schools students specializing in cooking on course maturity. Masters degree Thesis. Dong-A University. pp 20-22 

  9. Hwang CH, Kim YS. 2004.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ditions and student satisfaction of a food stylist.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0(3):51-64 

  10. Huebner ES, Mccullough G. 2000. Correlates of school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3:331-335 

  11. Jeon YM. 2010. A study on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parents on the effect of cooking programs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1):137-151 

  12. Kang YS, Lee EJ. 2006. A study on the Impart of the major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in Jeon-buk a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15:1-22 

  13. Kim AR. 2005.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the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students of food service & culinary art.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1(1):105-118 

  14. Kim KI, Kim YB. 2001. A study the logic relation subject training thread education environment the research the satisfaction to sleep regarding an evaluation. Kyonggi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5:19-40 

  15. Lee IS, Lee KL. 2010.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on career decisions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food.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1):50-60 

  16. Na TK, Choo SY. 2009.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the laboratory facilities for the practical educational of culinary arts majors in the continuity of educational experiences.: Focusing on the Y University in Chung-buk province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5(2):255-267 

  17. Na TK, Lee DK. 2010. Culinary art students'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a culinary laboratory a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focus on the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2):185-198 

  18. Na YS, Kang GH, Jeng JH, Lee JH. 1999.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culinary department of college.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5(2):31-56 

  19. Pyo JS. 2003. Recognition of management by teachers and students on curriculum of culinary training in high schools. Masters degree Thesis. Chung-buk University. p 1-2 

  20. Park KT, Baek JO. 2008.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 of cooking education institute on study satisfaction and registration: focused on Busan area.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4(3):156-164 

  21. Park L. 2009. A study on the career planning and ap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ing in food preparation.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 1-2 

  22. Seo HJ, Cho HY, Lee JH.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environment for reemployment of cooking schools on the job satisfaction.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1):280-29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