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배형성기 발육 이상으로 유치열이나 영구치열에서 정상보다 많이 발생하게 된 치아를 과잉치라 한다. 과잉치는 형태에 따라 정상 치아와 형태가 비슷한 보충치(supplementary tooth)와 형태가 다른 흔적치(rudimentary tooth)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과잉치는 흔적치의 형태를 가지며 보충치는 드물게 나타난다. 보충치는 상악 측절치 부위에서 호발하며 정상 전치와 유사한 형태와 크기를 갖기 때문에 진단시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미맹출 과잉치는 상악 전치의 맹출 장애 및 전위, 치간 이개, 치근 흡수, 낭종 형성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진단하고 치아 배열 상태 및 치아 발육 단계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3 증례는 상악 측절치부에 편측 혹은 양측으로 보충치 형태의 과잉치를 갖는 증례로서 맹출 관찰 및 외과적 발거, 교정 치료 및 레진 수복을 통해 치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pernumerary teeth are in excess of the normal number of teeth in either the primary or permanent dentitions. They are classified into supplemental teeth resembling those of the normal series and rudimentary teeth with abnormal shapes, according to their form. Most of the supernumerary teeth are 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상악 측절치 부위에 편측 혹은 양측으로 발생한 보충치를 가진 3명의 환아를 외과적 발거 및 교정치료를 통해 치료한 내용과 정기적인 발육과정 관찰을 통한 보충형 과잉치의 관리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 이 이론에 따르면 치배가 갈라져 두 개의 같거나 다른 크기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그 결과 두 개의 같은 크기의 치아로 분화하거나 정상 치아와 비정상 치아로 각각 분화한다. 이와 비슷하게 나타나는 쌍생치(gemination)와 같이 불완전하게 분리되는 현상이 이 이론을 뒷받침한다. 대부분의 문헌에서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치판의 과활성으로 인한 과잉치의 발생을 지지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보충형 과잉치의 병인론으로 치배의 분열이 가장 유력하다고 생각하고 있다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잉치의 발생빈도는? 치아 발육의 첫 단계, 즉 치배 형성이 제대로 안 되었거나 너무 과도하게 이루어진 경우 치아결손이나 과잉치 등의 치아 수의 이상이 초래된다. 과잉치는 유치열에서 0.3-0.8%, 영구치열에서는 1.0-3.5%의 발생빈도를 보인다1). 성별에 따른 과잉치의 발병률은 유치열기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영구치열기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2배 정도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Primosch는 과잉치를 어떻게 분류했는가? 성별에 따른 과잉치의 발병률은 유치열기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영구치열기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2배 정도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981년 Primosch는 과잉치를 치아와 형태가 비슷한 보충치(supplementary tooth)와 형태가 다른 흔적치(rudimentary tooth)로 구분하였고, 흔적치를 다시 원뿔형(conical form), 결절형(tuberculated form), 구치형(molariform)으로 구분하였다3).
영구치열에서 과잉치는 상악 측절치를 포함해서 어디에서 발생할 수 있는가? 보충치는 정상 치아와 같은 모양으로 드물게 나타나며 양측성의 증례는 현재까지 몇 개의 증례만이 보고되고 있다4-8). 상악 측절치에서 주로 발생하며 중절치, 소구치, 대구치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하악에서도 발견된다6-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대한소아치과학회 : 소아.청소년치과학, 제4판, 신흥인터내셔널, 서울, 62-63, 2007. 

  2. Patchett CL, Crawford PJM, Cameron AC, et al. : The management of supernumerary teeth in childhood - a retrospective study of practice in Bristol Dental Hospital, England, and Westmead Dental Hospital, Sydney, Australia. Int J Paediatr Dent, 11:259-265, 2001. 

  3. Primosch RE : Anterior supernumerary teethassessment and surgical intervention in children. Pediatr Dent, 3:204-215, 1981. 

  4. Stafne EC : Supernumerary upper central incisors. Dental Cosmos, 73:976-980, 1931. 

  5. Steelman R, Wilson C, Nelson S : Maxillary incisor duplica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1: 523, 1991. 

  6. Rock WP : A case of bilateral supplemental central incisors. Int J Paediatr Dent, 1:155-158, 1991. 

  7. Trotman CA, McNamara T : Four maxillary incisors: a case report. Spec Care Dentist, 14:112-115, 1994. 

  8. Mopager V, Sudha P, Anegundi RT, et al. : Supplemental premolars in a 13 year old child-a case report. Indian Soc Pedod Prev Dent, 20:169-172, 2002. 

  9. 정내정, 김정욱, 이상훈 : 하악 전치부에 양측성으로 발생한 과잉치의 치험례,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8:142-145, 2001. 

  10. 김성희, 박종하, 양연미 등 : 하악 전치부에 발생한 과잉치.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1:52-58, 2004. 

  11. Melnik AK : Orthodontic movement of a supplemental maxillary incisor through the midpalatal suture area.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04:85-90, 1993. 

  12. Camilleri S : A case of bilateral supplemental maxillary central incisors. Int J Paediatr Dent, 13:57-61, 2003. 

  13. Robertson NR, Jones ML, Roberts WR : Bilateral supplemental laterals: an unusual transplantation approach. Br J Orthod, 11:21-23, 1984. 

  14. Liu JF : Characteristics of premaxillary supernumerary teeth: a survey of 112 cases. J Dent Child, 62:262-265, 1995. 

  15. Tinn CA : Excess, deficiency, and gemination in the deciduous and permanent dentitions of school children. Br Dent J, 68:236-238, 1940. 

  16. Baackman B, Wahlin YB : Variations in number and morphology of permanent teeth in 7-year-old Swedish children. Int J Paediatr Dent, 11:11-17, 2001. 

  17. von Arx T : Anterior maxillary supernumerary teeth: a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Aust Dent J, 37:189-195, 1992. 

  18. Sedano HO, Gorlin RJ : Familial occurrence of mesiode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7: 360-361, 1969. 

  19. Hattab FN, Yasin OM, Rawashdeh MA : Supernumerary teeth: report of three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Dent Child, 61:382-393, 1994. 

  20. Humerfelt D, Hurlen B, Humerfelt S : Hyperdontia in children below four years of age: a radiographic study. J Dent Child, 52:121-124, 1985. 

  21. Hussein NNN, Majid ZA : Dental anomalies in the primary dentition: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with the permanent dentition. J Clin Pediatr Dent, 21: 15-19, 1996 

  22. Lee CK, King NM, Lo EC, et al. :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imary maxillary incisor with a talon cusp and the permanent successor: a study of 57 cases. Int J Paediatr Dent, 17:178-185, 2007. 

  23. Lee CK, King NM, Lo EC, et al. : Management of supplemental permanent maxillary lateral incisors in association with talon cusp on the primary predecessors: a report of 3 cases. J Dent Child, 75:59-63, 2008. 

  24. Solares R, Romero MI : Supernumerary premolars: a literature review. Pediatr Dent, 26:450-457, 2004. 

  25. Rubenstein LK, Lindauer SJ, Isaacson RJ, et al. : Development of supernumerary premolars in an orthodontic popula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1:392-395, 1991. 

  26. Hurlen B, Humerfelt D : Characteristics of premaxillary hyperodontia. A radiographic study. Acta Odontol Scand, 43:75-81,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