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인의 양생(養生)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Yangsaeng in Elders (Yangsaeng; Traditional Oriental Health Promo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1, 2011년, pp.72 - 79  

박영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서덕선 (동아메디병원) ,  권윤희 (대구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Yangsaeng in eld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907 elders in D metropolitan city. Measures were Yangsaeng,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and self esteem.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means and s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건강증진행위 개념과 유사한 동양의 전통적 건강관리 방법인 양생행위를 한국노인에게 적용하여 영향 요인을 찾는 기초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양생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Pender (1996)의 건강증진모형을 기초로 개인적 특성 요인인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행위관련인지 및 정서요인인 자기효능감과 의상관성 및 설명력을 파악하여 한국 노인에게 적합하고 쉽게 접근 가능한 건강유지와 증진방법을 확인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양생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양생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 동거상태, 자기효능감, 결혼상태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그리고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행위관련 인지, 정서에는 사회적지지, 지각된 유익성과 장애성, 자기효능감 등의 변수를 포함시켰다. 이러한 건강증진모형의 변수 요인은 Pender (1996)의 이론적 설명에 기초해서 양의 건강증진 개념과 유사한 양생행위의 결과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개인적 특성인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 행위와 관련된 자기효능감이 양생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기틀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증가율의 예상은 어떠한가? 2006년 한국 총인구조사 결과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9.5%이며, 이러한 증가는 앞으로도 지속되어 2018년에는 14%를 넘고 2030년에는 24.3%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여성 83.
2006년 한국 총인구조사 결과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은? 2006년 한국 총인구조사 결과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9.5%이며, 이러한 증가는 앞으로도 지속되어 2018년에는 14%를 넘고 2030년에는 24.3%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65세 이상의 고령인구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한 부분은? 5세, 전체 80.1세로 연장되었지만 건강수명은 69세에 불과하므로(National Statistic organization Office, 2009),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건강문제는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가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며 정책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H. G., Shin, Y. H., & Gu, B. S. (2000). A study of Gigong-yangsaeng (Good life) and the old-health car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1, 177-187. 

  2. Choi, E. K. (2004). Relationship between actual health and Yangseng of the elderly in urbani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3. Choi, I, H. (2003). A study on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aged in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 576-585. 

  4. Hang, M. H. (2000). Structural model for self care and well-being of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5. Jeon, B. C.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Journal of Yonsei, 11, 107-129. 

  6. Jeon, E. Y., & Suh, B. D. (2004).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6, 38-46. 

  7. Jung, H. Y., Park, H. S., & Park, S. Y. (2009). A study on Yangsaeng for health promotion of aged women in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49-58. 

  8. Kim, A. J. (2004). Development of a tool in measuring Yangsae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 Kim, S. Y. (2003).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ly people: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5, 171-181. 

  10. National Statistic Organization Office. (2009). Korea social index. Retrieved September 2, 2009, from http://www.kosis. kr/html/Interstatic/research/do02.jsp?vwcd MT_CTITLE&listedMT_CTITLE_E 

  11. Oh, H. S. (1993).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 617-630. 

  12. Park, S. O., Back, H. J., Kim, C. M., Moon, J. H., Choi, S. Y., Kim, J. S., et al. (2003). A study 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ealth-promoting lifestyle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 144-156. 

  13.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and nursing (3rd ed.). Norwalk, CT; Appletion & Lange. 

  14. Pender, N. J. (1999, October). Health promotion and nursing. Paper presented at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llege of Nursing,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5. Pender, N. J., & Pender, A. R. (1986).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intention to engage in health behaviors. Nursing Research, 35, 15-18. 

  1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Sakisian, C. A., Prohaska, T. R., Wong, M. D., Hirsch, S., & Mangione, C. M.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for aging and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 911-915. 

  18. Seo, H. M. (2001). Constructi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odel in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Sherere,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 validity.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67. 

  20. Shin, Y. S., & Kim, E. H. (2009). A study o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anxiety about aging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179-188. 

  21. Sohn, S. Y. (2006). Relation of rural elderly people'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o their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 176-185. 

  22.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 93-100. 

  23. Sung, J. S., & Park, C. S. (2005).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7, 71-78. 

  24.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 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108-116. 

  25. Wang, M. J., Cho, S. J., Cho, Y. H., Park, I. H., Kho, J. E., Choi, H. J., et al. (2010). Community nursing. Seoul: Hyunmoon publishing C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