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심층수로 배양한 해양미세조류 Tetraselmis sp. JK-46의 성분 조성 및 생리활성
Physiological Properties of Extract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etraselmis sp. JK-46 Cultured with Deep Seawater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4 no.1, 2011년, pp.1 - 7  

주동식 (한중대학교 외식산업학과) ,  김광우 (강릉대학교 식품과학과) ,  조순영 (강릉대학교 식품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etraselmis sp. JK-46 isolated from seawater from the East Sea. Deep seawater (DSW) had a greater effect on the growth of Tetraselmis sp. JK-46 than surface seawater (SSW). The crude protein, lipid, carbohydrate and ash contents of Tetraselmis sp. JK-46 cultured with DSW were 2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동해안 해양환경으로부터 미세조류를 분리하고, 분리된 미세조류를 해양심층수와 표층수로 배양하면서 해양심층수의 미세조류 배양에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해양심층수와 표층수로 배양한 미세조류의 성분을 비교하였고, 이들 성분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여 해양심층수의 미세조류 배양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조류가 생성하는 것은? 미세조류는 당질, 지질, 단백질, 색소, 비타민, 스테로이드및 기타 의약성분 등과 같은 유용성분뿐만 아니라 수소, 탄화수소, 생화학 연료 등의 다양한 물질들을 생산한다. 최근 국내외에서는 미세조류의 자원학적 잠재성에 대해 많은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생명공학의 새로운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Borowitzka, 1997; Kim et al.
해양심층수는 무엇인가? 한편, 해양심층수는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 m 이상의 깊은 곳에 있는 해수로서, 연중 수온이 2℃이하의 저온성과 해양식물의 생장에 필수적인 영양염류가 풍부하고 병원균이 거의 없는 청정성을 특징으로 하는 풍부한 해양자원이다(Korea ocean reserch lab. 2000; Takahashi, 2001).
해양심층수의 미세조류 배양에의 효과를 위해 강원도 동해안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강원도 동해안은 남서해안과 다른 해양환경으로 인해 구별된 해양생물군이 분포되어 있으며, 이는 해양에 존재하는 미세조류와 이들 미세조류의 생화학적 성상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OAC. Offic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1995.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69-74. 

  2. Borowitzka MA. 1997. Microalgae for aquaculture: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J Appl Phycol 9, 393-401. 

  3. Brown MR and Jeffrey SW. 1992. Biochemical composition of microalgae from the green algal classes Chlorophyceae and Prasinophyceae. 1. Amino acids, sugars and pigments. J Exp Mar Biol Ecol 161, 91-113. 

  4. Choi JS, Lee WK, Son BW, Kim DS, Choi HD, Choi JS, Jung JH, Im KS and Choi WC. 2000. Screening 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arine microalgae. Kor J Pharmacogn 31, 252-255. 

  5. Dionisi F, Golay PA, Elli M and Fay LB. 1993. Stability of cyclopropane and conjugated linoleic acids during fatty acid quantification in lactic acid bacteria. Lipids 34, 1107-1115. 

  6. Guillard RRL. 1975. Division rates. In: stein J.R.(ed), Handbook of phycological methods-culture methods and growth measure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S.A., 289-311. 

  7. Hatano T, Kagawa H and Okawa T. 1988. Two new flavonoids and other constituents in licorice wet: their relative astringency and radical scavening effect. Chem Pharm Bull 36, 2090-2097. 

  8. John DB. 1982. Clinical Laboratory Methods. Ninth Edition. The C.V. Mosby company. St. Louis, U.S.A., 294-296. 

  9. Joo DS and Lee EH. 1998. Searching of antimicrobial active compounds from microalgae. Kor Soc Life Sci 8, 173-180. 

  10. Jorian V. 1991. Antibiotics laboratory medicine, Williams & Wilkins, Baltimore. U.S.A., 17-105 

  11. Kim SK, Baek HC, Byun HG, Kang OJ and Kim JB. 2001. Bi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arine microalgae. J Kor Fish Soc 34,260-267. 

  12. Kim ML, Jeong JS, Lee MH and Lee GD. 2003. Effects of deep seawater and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Kor J Food Pres 10, 326-332. 

  13. Kim SS, Lee CK, Kang SS, Jung HA and Choi JS. 1997. Chlorogenic acid, an antioxidant principle from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iwayomogi that acts on DPPH radicak. Arch Pharm Res 20, 148-154. 

  14. Korea ocean reserch lab. 2000. feasibility study for the multipurpose development of deep ocean water resource. MOMAF Report UCM, 00903-2284. 

  15. Laurent D, Patrick G, Yaron A, Shoshana MA, Philippe B, Kotamballi NCM and Gokare AR. 2005. Microorganisms and microalgae as sources of pigments for food use: a scientific oddity or an industrial reality. Trends Food Sci Technol 16, 389-406. 

  16. Park EK, Seo MW and Lee CG. 2001. Effect of medium compositions for the growth and the astaxanthin production of Hamatococcus pluviati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9, 227-233. 

  17. Robles medina A, Molina grima E, Gimenez gimenez and Ibanez gonzalez MJ. 1998. Downstream processing of alg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Biotechnol Adv 16, 517-580. 

  18. Shimma Y, Tanaka H, Huruta Y, Shimma H and Ikeda K. 1984. Protein, carotenoid and mineral content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the sessile algae from Chikuma river. Bull Jap Soc 50, 1223-1227. 

  19. Takahashi M. 2001. It knows and the deep sea water. Doseo publi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3, 35-37. 

  20. Watanabe T, Kitajima C and Jujita S. 1983. Nutrition value of live organisms used in Japan for mass propagation of fish: A review. Aquaculture 34, 115-1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