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 배양시 부착기질 크기에 따른 저서성 미세조류 Nitzschia sp.의 성장 특성
Effect of Attachment Substrate Size on the Growth of a Benthic Microalgae Nitzschia sp. in Culture Condition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2 no.2, 2009년, pp.91 - 95  

오석진 (부경 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  윤양호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해양기술학부) ,  산본민차 (히로시마대학 대학원 생물권과학연구과) ,  양한섭 (부경 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서성 미세조류의 성장에 미치는 부착기질의 영향을 알기 위해 서로 다른 크기의 glass bead를 첨가하여 저서성 미세조류 Nitzschia sp.(진해만 클론)의 성장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glass bead의 크기는 0.09-0.15 mm(G1), 0.25-0.50 mm(G2), 0.75-1.00 mm(G3) 그리고 1.25-1.65 mm(G4)이며, glass bead를 첨가하지 않는 대조구도 설정하였다. Nitzschia sp.의 가장 높은 성장속도(0.37/day)와 최대세포밀도($9,232{\pm}840$ cells/mL)는 가장 작은 크기의 glass bead를 첨가한 G1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성징속도와 최대세포밀도는 glass bead 크기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G4의 성장속도와 최대세포밀도는 각각 0.24/day와 $6,397{\pm}524$ cells/mL였다). 더욱이 대조구의 성장속도는 실험구 G1에서 G3의 성장속도보다 상당히 낮았다. 이 결과에서 Nitzschia sp.와 같은 저서성 미세조류를 위한 부착기질은 성장속도 뿐만 아니라 세포밀도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착미세조류의 생리실험을 위해서는 예비실험으로 부착기질의 유무 및 대상 종에 적합한 부착입자의 크기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ttachment substrate on the growth of benthic microalgae,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growth of benthic microalgae Nitzschia sp. (Jinhae Bay strain) with additions of glass beads in different sizes. The glass beads used in this study are 0.09-0.15 mm (G1), 0.25-0.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부착용 기질의 유무와 입자크기에 따라 저서성 미세조류의 성장특성을 파악하고 부착기질의 중요성을 고찰하여 앞으로의 저서성 미세조류의 생리실험 설계에 기본적인 기초지식을 제공하자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rand, L.E., Guillard, R.R.L. and Murphy, L.S., 1981, "A method 

  2. Cahoon, L.B., Nearhoof, J.E. and Tilton, C.L., 1999, "Sediment 

  3. de Brouwer, J.F.C. and Stal, L.J., 2002, "Daily fluctuations of 

  4. Decho, A.W., 1990, "Microbial exopolymer secretions in ocean 

  5. Edgar, L.A. and Pickett-Heaps, J.D., 1984, "Diatom locomotion", 

  6. Fukami, K., Murata, N., Morio, Y. and Nishijima, T., 2002, 

  7. Guillard, R.R.L. and Ryther, D., 1962, "Studies of marine planktonic 

  8. Kim, K.R. and Ki, J.H., 1987, "Studies on chemical and biological 

  9. Kawamura, T., 2004, "Ecology of benthic diatoms", Nippon Suisan Gakkaishi, Vol. 70, 788-789. 

  10. Kawamura, T. and Hirano, R., 1992, "Seasonal changes in benthic 

  11. Lee, J.-B., Choa, l.-H. and Koh, H.-B., 1999, "Community 

  12. McIntyre, H.L., Geider, R.J. and Miller, D.C., 1996. "Microphytobenthos: 

  13. Oh, S.J., Park, D.-S., Yang, H.-S., Yoon, Y.H. and Honjo, T., 

  14. Oh, S.J., 2008, "Nutrient uptake kinetics of Nitzschia sp. for 

  15. Ruangdej, U. and Fukami, K., 2004, "Stimulation of photosynthesis 

  16. Smith, D.J. and Underwood, G.J.C., 1998, "Exopolymer production 

  17. Staats, N., Stal, L.J., de Winder, B. and Mur, L.R., 2000, "Oxygenic 

  18. Stal, L.J. and de Brouwer, J.F.C., 2003, "Biofilm formation by 

  19. Suzuki, M. and Yamamoto, T., 2005, "Effects of grain size of 

  20. Watermann, F., Hillebrand, H., Gerdes, G, Krumbein, W.E. and 

  21. Yamamoto, T., Oh, S.J. and Goto I., 2004, "Effects of temperature, 

  22. Yoon, Y.H., 2000,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nutrient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