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모시잎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1, 2011년, pp.83 - 90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미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아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모시잎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in vivo에서 5주령 된 흰쥐 수컷 24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 식이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5% 모시잎 분말 첨가군(HFC-RL)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10% 모시잎 분말 첨가군(HFC-RH)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모시잎 분말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대조군(HFC)이 가장 낮았으며, 모시잎 분말 급여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이효율은 10% 모시잎 분말첨가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 식이군(N)의 식이효율 수준과 유사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지방조직의 무게는 10% 모시잎 분말 첨가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 식이군(N)보다 오히려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혈청 중 AST, ALT, ALPLDH 활성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저하되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과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증가되었으나, 모시잎 분말 첨가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감소되어진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되어진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는 5%와 10%의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10% 모시잎 분말을 급여하였을 경우 감소효과가 커 정상 식이군(N)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간조직 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대조군(HFC)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 지방조직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모시잎 분말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은 모시잎 분말의 첨가 급여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급여한 모시잎 분말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모시잎 분말에 다량 함유된 식이섬유소와 클로로필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축적을 억제하여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와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 대사성 합병률과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그 외에 어떠한 생리활성 성분이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amie (Boehmeria nivea) leaf powder on improvements in lipid metabolism in serum, liver and adipose tissue, and the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for 4 weeks to induce a hyperlipidemic and obese model rat. Mal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시잎의 효능 검증을 위하여 모시잎 분말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 효과 및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SE for 6 rats in each group.
  • 4)Total extractable (TE-) LPL activity was measured in deoxycholate extracts of mesenteric or epididymal adipose tissue of ra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는 질병 발생 추이와 사망 원인에 영향을 미쳐 비만 인구가 늘어나고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과 같은 순환기계 질환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2008년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사망원인이 암,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순으로 나타났다(2).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으로는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비만, 가족력, 흡연, 스트레스 및 성격 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고지혈증은 심혈관계 질환 중 관상동맥 질환의 가장 중요한 독립인자로 알려져 있다(3).
고지혈증을 유발하는 식이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고지혈증을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 중 식이요인의 영향이 크다고 알려져 있으며(4) 그 요인으로는 고지방, 고당질, 포화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등이 있다. Watts 등(5)은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게 6개월 동안 식이지방과 콜레스테롤 섭취를 감소시킨 결과,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철저한 식사요법을 한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의 경우는 동맥경화증의 협착이 저하되고 병변 부위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한방에서 모시풀의 뿌리를 뭐라고 부르는가? 모시풀(Boehmeria nivea, ramie)은 쐐기풀과(Uritic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줄기의 껍질을 벗겨 옷을 만드는 섬유재료로 이용하고, 뿌리와 잎은 음식으로 이용하거나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8). 한방에서 뿌리는 저마근(苧麻根)이라 하고, 잎은 저마엽(苧麻葉)이라 하며 청열, 지혈, 해독, 산어 등에 효능이 있으며, 객혈, 토혈, 하혈, 옹종, 혈뇨, 항문의 부종과 동통, 타박상 등을 치료하는데 쓰인다고 알려져 있다(9). 모시풀과 같은 약용식물의 잎에는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과 같은 영양 성분이 풍부하고 carotenoids, flavonoids와 같은 페놀성 화합물들이 다량 존재하며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들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10), Kim 등(8)의 연구에서는 모시잎의 폴리페놀 계통 물질이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폐암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1-1351159-000027-10: pp. 24-2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Seoul, Korea (2008)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General statistics 10154: p.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eoul, Korea (2008) 

  3. Krauss RM. Triglycerides and atherogenic lipoproteins: rationale for lipid management. Am. J. Med. 105: 58S-62S (1998) 

  4. Janes PJ, Leith CA, Pederson RA. Meal-frequency effects on plasma hormone concentrations and cholesterol synthesis in human. Am. J. Clin. Nutr. 57: 868-874 (1993) 

  5. Watts GF, Lewis B, Brunt TNH, Lewis S, Coltart DJ, Smith DR, Mann JI, Swan AV. Effects on coronary artery disease of lipid lowering diet of diet plus cholestyramine. in the St. Thomas, atherosclerosis regression study (STARS). Lancet 339: 563-569 (1992) 

  6. Golan M, Fainaru M, Weizman A. Role of behavior modification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with the parents as the exclusive agent of change. Int. J. Obesity 22: 1217-1224 (1998) 

  7. Poller L. Fiber and diabetes. Lancet 24: 434-435 (1970) 

  8. Kim IS, Park KS, Yu HH, Shin MK. Antioxidant activities and cell viability against cancer cells of Adenophora remotiflora lea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384-394 (2009) 

  9. Bae KH.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sa. Paju, Korea. pp. 74-75 (2000) 

  10.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2006) 

  11. Park MR.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2010) 

  12. Kim SI. Sensory and instrumental texture properties of songpyuns and mosipulpyuns according to the cooking condition during storage. MS thesi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Busan, Korea (1992) 

  13. Lee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keum (pan-fired) ramie leaves powder added muffin.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2008) 

  14. Yoon SJ, Jang MS. Characteristics of quality in jeolpyeon with different amounts of rami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36-641 (2006) 

  15. Son M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oehmeria nivea (L.) gaudich.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2007) 

  16. Reeves PG, Nielson FH, Fahey Jr GC.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e of Nutrition ad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1993) 

  17. Friedwald W, Levy R, Fredrickson D.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972) 

  18. Rosenfeld L. Lipoprotein analysis. Arch. Pathol. Lab. Med. 113: 1101-1110 (1989) 

  19.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957) 

  20. Zlatkis A, Zak B. Study of a new cholesterol reagent. Anal. Biochem. 29: 143-148 (1969) 

  21. Biggs HG, Erikson TM, Moorehead WR. A manual colorimetric assay of triglyceride in serum. Clin. Chem. 21: 437-441 (1975) 

  22. Nilsson-Ehle P, Schotz MC. A stable radioactive substrate emulsion for assay of lipoprotein lipase. J. Lipid Res. 17: 536-541 (1975) 

  23. Fried SK, Zechner R. Cachectin/tumor necrosis factor decreases activity. J. Lipid Res. 30: 1917-1923 (1989) 

  24. Iverius PH, Brunzell JD. Human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Change with feeding and relation to postheparin plasma enzyme. Am. J. Physiol. 249: E107-E114 (1985) 

  25. Dodge JA. Dietary fat and gastrointestinal function. Eur. J. Clin. Nutr. 48: S8-S16 (1994) 

  26. Pellizzon M, Busion A, Jen KL. Short-term weight cycling in aging female rats increase rate of weight gain but not body fat content. Int. J. Obesity 24: 236-245 (2000) 

  27. Kim AJ, Kim SY, Choi MK, Kim MW, Han MR, Chung KS.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fed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36-641 (2005) 

  28. Chai YM, Lim BK, Lee JY, Kim YH, Rhee SJ. Prepara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from oak wood (Quereus Mongolica) and its physiological function in rat fed high cholesterol diets. J. Korean Nutr. Soc. 36: 9-17 (2003) 

  29. Southgate DAT. Dietary Fiber-basic and Clinical Aspects. Plenum Press, New York, NY, USA. p.35 (1986) 

  30. Jayasooriya AP, Sakono M, Yukizaki C, Kawano M, Yamamoto K, Fukuda N.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powder on serum glucose levels and various lipid parameters in rats fed with cholesterol- free and cholesterol enriched diets. J. Ethnopharmacol. 72: 331-336 (2000) 

  31. Despres JP. Abdominal obesity as important component of insulin- resistant syndrome. Nutrition 19: 452-459 (1993) 

  32. Plaa GL, Charbonneau M.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Raven Press, New York, NY, USA. pp. 839-870 (1994) 

  33. Lim SS, Kim MH, Lee JH.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liver function body lipid and bile acid of hyperlipidemic rat. Korean J. Nutr. 30: 797-802 (1997) 

  34. Ki HY, Song SW, Ha CS, Han SS. Effects of the population density on growth and various physiological values of spraguedawely rats. Korean J. Anim. 9: 71-82 (1993) 

  35. Kim HK. Obesity and fat metabolism. J. Korean Soc. Study Obes. 9: 63-65 (2000) 

  36. Lampe JW. Health effects of vegetables and fruit: Assessing mechanism of action in human experimental studies. Am. J. Clin. Nutr. 70: 475S-490S (1999) 

  37. Kim CM, Heo MY, Kim HP, Sin KS, Pachaly P.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of Umbelliferae plants. Arch. Pharm. Res. 14: 87-92 (1991) 

  38. Story JA. The role of dietary fiber in lipid metabolism. Adv. Lipid Res. 18: 229-246 (1981) 

  39. Anderson JW, Bridges SR. Plant fiber metabolites alter hepatic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Diabetes 30: 133-139 (1981) 

  40. Jang JY, Lee MK, Kim MJ, Cho SY. Effect of fiber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diet-induced cholesterol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11-1216 (1998) 

  41. Doi K, Kojima T, Fujimoto Y. Mulberry leaf extract inhibits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rabbit an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Biol. Pharm. Bull. 23: 1066-1071 (2000) 

  42. Park SH, Jang MJ, Hong JH, Rhee SJ, Choi KH, Park MR. Effects of mulberry leaf extract feeding on lipid status of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3-50 (2007) 

  43. Lim SS, Jung HO, Jung BM. Effect of Ixeris sonchifolia H.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Nutr. Soc. 30: 889-894 (1997) 

  44. Jennings CD, Boleyn K, Bridges SR, Wood PT, Anderson JW. A comparison of the lipid-lowering and intestinal morphological effects of cholestyramine, chitosan and oat gum in rats. Proc. Soc. Exp. Biol. Med. 189: 13-20 (1988) 

  45. Thomas M, Leelamma S, Kurup PA. Effect of blackgram fiber (Phaseolus mungo) on hepatic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 activity, cholesterogenesis and cholesterol degradation in rats. J. Nutr. 113: 1104-1108 (1983) 

  46. Vahouny GV, Roy T, Gallo LL, Story JA, Kritchevsky D, Cassidy M. Dietary fibers . Effects of chronic intake on cholesterol absorption and metabolism in the rat. Am. J. Clin. Nutr. 33: 2182-2191 (1980) 

  47. Han JS, Han YB. The effect of high fat diet and dietary fibe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3: 541-547 (1994) 

  48. Lee JJ, Chun CS, Kin JG, Choi BD. Effect of fasting refeeding on rat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lipogenesis: Influence of food restriction during refeed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71-478 (2000) 

  49. O'Brien KD, Gordon D, Deeb S, Ferguson M, Chait A. Lipoprotein lipase is synthesized by macrophage-derived foam cells in human coronary atherosclerotic plaques. J. Clin. Invest. 89: 1544-1550 (1992) 

  50. Kusunoki M, Tsutsumi K, Iwata K, Yin W, Nakamura T, Ogawa H, Nomura T, Mizutani K, Futenma A, Utsumi K, Miyata T. NO-1886 (ibrolipim), a lipoprotein lipase activator, increases the expression of uncoupling protein 3 in skeletal muscle and suppreses fat accumulation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rats. Metabolism 54: 1587-1592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