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식품에서 Campylobacter jejuni 검출을 위한 real-time PCR과 배지배양법의 비교검증
Comparison of Real-Time PCR and Culture Methods for Dete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in Various Food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1, 2011년, pp.119 - 123  

천정환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  현지연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  황인균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미생물팀) ,  곽효선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미생물팀) ,  한정아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미생물팀) ,  김무상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역학조사팀) ,  김종현 (질병관리본부 장내세균과) ,  송광영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  서건호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선택배지를 활용한 배지배양법과 realtime PCR의 C. jejuni 검출능력을 비교하였다. 소시지, 쇠고기 분쇄육, 무순에 C. jejuni를 접종하고 Hunt broth로 증균배양 하였으며, mCCD agar와 Preston agar에 배양액을 획선도말하여 미호기적으로 배양하였다. 동시에 증균배양액에서 1 mL을 채취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real-time PCR은 쇠고기 분쇄육과 소세지에서 두 가지 선택배지와 비교하여 동일한 검출력을 보였으나 무순에서는 훨씬 더 많은 양성을 검출하였다(p<0.05). 두 배지간의 비교에서는 Preston agar와 mCCD agar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는 민감도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real-time PCR은 표준검출법인 배지배양법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우수한 민감도를 지닌 신속검출기법인 것으로 사료되며, 배지배양법에 앞서 선별검사로 사용할 경우 시간, 비용, 노동력 절감에 있어서 매우 유효한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erformances of culture methods using two selective media and real-time PCR were evaluated for dete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C. jejuni) in various food samples. Sausage, ground beef, and radish sprouts inoculated with C. jejuni were enriched in Hunt broth and then streaked onto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품에서 real-time PCR과 배지배양법을 비교검증하여 real-time PCR이 표준화된 검출법인 배지배양법에 비해 어느 정도의 민감도와 신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비교평가 하였다. 동시에 국내외의 다양한 공인 검출법에서 사용되고 있는(9,10,18,22) 활성탄 함유배지인 modified cefoperazone charcoal deoxycholate (mCCD) agar와 혈액함유배지인 Preston agar의 검출능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mpylobacter spp.이란 무엇인가? Campylobacter spp.는 그람 음성의 미호기성 세균으로서 인체에 감염되어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이다(1,2). Campylobacter spp.
C. jejuni 선택배지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C. jejuni 선택배지는 크게 나누어 혈액을 첨가한 배지와 혈액 대신 활성탄을 첨가한 배지로 분류되며, 혈액이나 활성탄 등은 산소독성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한다(10-13). 멸균된 혈액은 가격이 비싸고 쉽게 얻기 힘들기 때문에, 최근에는 혈액 대신 활성탄을 첨가한 배지를 선호하고 있다(14,15).
Campylobacter spp.종 중 가장 빈번하게 식중독을 일으키는 종은 무엇인가? 로 인한 식중독 사고는 전세계적이며, 특히 북미와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Salmonella에 의한 감염증보다 발생빈도가 많을 정도로 문제가 되고 있다(3-5). 가장 빈번하게 식중독을 일으키는 종은 Campylobacter jejuni(C. jejuni)로서 전체 Campylobacter 감염증의 약 90% 이상을 차지한다(3). 일반적으로 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ark CE, Sanders GW. Occurrence of thermotolerant campylobacters in fresh vegetables sold at farmers' outdoor markets and supermarkets. Can. J. Microbiol. 38: 313-316 (1992) 

  2. Frost JA, Gillespie IA, O'Brien SJ. Public health implications of Campylobacter outbreaks in England and Wales, 1995-9: Epidemiological and microbiological investigations. Epidemiol. Infect. 128: 111-118 (2002) 

  3. Brandl MT, Haxo AF, Bates AH, Mandrell RE. Comparison of survival of Campylobacter jejuni in the phyllosphere with that in the rhizosphere of spinach and radish plants. Appl. Environ. Microb. 70:1182-1189 (2004) 

  4. Shin SY, Kim KY, Park JH. Survival of Campylobacter jejuni under aerobic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16-923 (1998) 

  5. Lee YD, Park JH. Selective dete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C. coli, Arcobacter butzleri and Helicobacter pylori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34-1139 (2002) 

  6. Karenlampi R, Hanninen ML. Survival of Campylobacter jejuni on various fresh produce. Int. J. Food Microbiol. 97: 187-195 (2004) 

  7. Sahin O, Kobalka P, Zhang Q. Detection and survival of Campylobacter in chicken eggs. J. Appl. Microbiol. 95: 1070-1079 (2003) 

  8. Belanger AE, Shryock TR. Macrolide-resistant Campylobacter: the meat of the matter. J. Antimicrob. Chemoth. 60: 715-723 (2007) 

  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safefood.kfda.go.kr/RS/food_menu.jsp, Accessed Dec. 10, 2009. 

  10. Corry JE, Post DE, Colin P, Laisney MJ. Culture media for the isolation of campylobacters. Int. J. Food Microbiol. 26: 43-76 (1995) 

  11. Bolton FJ, Hutchinson DN, Coates D. Blood-free selective medium for isol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from feces. J. Clin. Microbiol. 19: 169-171 (1984) 

  12. Moran L, Kelly C, Madden RH. Factors affecting the recovery of Campylobacter spp. from retail packs of raw, fresh chicken using ISO 10272-1:2006. Lett. Appl. Microbiol. 48: 628-632 (2009) 

  13. Gun-Munro J, Rennie RP, Thornley JH, Richardson HL, Hodge D, Lynch J. Laboratory and clinical evaluation of isolation media for Campylobacter jejuni. J. Clin. Microbiol. 25: 2274-2277 (1987) 

  14. Peterz M. Comparison of Preston agar and a blood-free selective medium for dete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in food. J. Assoc. Off. Anal. Chem. 74: 651-654 (1991) 

  15. Karmali MA, Simor AE, Roscoe M, Fleming PC, Smith SS, Lane J. Evaluation of a blood-free, charcoal-based, selective medium for the isolation of Campylobacter organisms from feces. J. Clin. Microbiol. 23: 456-459 (1986) 

  16. Line JE, Stern NJ, Lattuada CP, Benson ST. Comparison of methods for recovery and enumeration of Campylobacter from freshly processed broilers. J. Food Protect. 64: 982-986 (2001) 

  17. Bolton FJ, Sails AD, Fox AJ, Wareing DR, Greenway DL. Dete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in foods by enrichment culture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J. Food Protect. 65: 760-767 (2002) 

  18. Josefsen MH, Lubeck PS, Aalbaek B, Hoorfar J. Preston and Park-Sanders protocols adapted for semi-quantitative isolation of thermotolerant Campylobacter from chicken rinse. Int. J. Food Microbiol. 80: 177-183 (2003) 

  19. Sachse K. Specificity and performance of diagnostic PCR assays. Methods Mol. Biol. 216: 3-29 (2003) 

  20. Yang C, Jiang Y, Huang K, Zhu C, Yin Y. Application of realtime PCR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in poultry, milk, and environmental water. FEMS Immunol. Med. Mic. 38: 265-271 (2003) 

  21. Hyeon JY, Hwang IG, Kawk HS, Park JS, Heo S, Choi IS, Park CK, Seo KH. Evaluation of an automated ELISA and real-time PCR by comparing with a conventional culture method for the detection of Salmonella spp. in steamed pork and raw broccoli sprouts.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9: 506-512 (2009) 

  22.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Chapter7 Campylobacter. Available at: http://www.fda.gov/Food/ScienceResearch/LaboratoryMethods/BacteriologicalAnalyticalManualBAM/UCM072616. Accessed June 3 2010. 

  23. Lee JH, Song KY, Hyeon JY, Hwang IG, Kwak HS, Han JA, Chung YH, Seo KH. Comparison of standard culture method and real-time PCR assay for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processed and un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30: 410-418 (2010) 

  24. Han SR, Hyeon JY, Kim HY, Park JS, Heo S, Shin HC, Seo KH. Evaluation of conventional culture methods and validation of immunoassays for rapid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dairy and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8: 616-622 (2008) 

  25. Seo KH, Brackett RE. Rapid, specific detection of Enterobacter sakazakii in infant formula using a real-time PCR assay. J. Food Protect. 68: 59-63 (2005) 

  26. Best EL, Powell EJ, Swift C, Grant KA, Frost JA. Applicability of a rapid duplex real-time PCR assay for speci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directly from culture plates. FEMS Microbiol. Lett. 229: 237-241 (2003) 

  27. Chon JH, Hyeon JY, Hwang IG, Kwak HS, Han JA, Chung YH, Song KW, Seo KH. Comparison of standard culture method and real-time PCR for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food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355-360 (2010) 

  28. Evans MR, Ribeiro CD, Salmon RL. Hazards of healthy living: bottled water and salad vegetables as risk factors for Campylobacter infection. Emerg. Infect. Dis. 9: 1219-1225 (2003) 

  29. Hussain I, Shahid Mahmood M, Akhtar M, Khan A. Prevalence of Campylobacter species in meat, milk and other food commodities in Pakistan. Food Microbiol. 24: 219-222 (2007) 

  30. Luber P, Brynestad S, Topsch D. Quantification of Campylobacter species cross-contamination during handling of contaminated fresh chicken parts in chicken in kitchens. Appl. Environ. Microb. 72: 66-70 (2006) 

  31. Malorny B, Paccassoni E, Fach P, Bunge C, Martin A, Helmuth R. Diagnostic real-time PCR for detection of Salmonella in food. Appl. Environ. Microb. 70: 7064-7052 (2004) 

  32. Cai T, Jiang L, Yang C, Huang K. Application of real-time PCR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from seafood in eastern China. FEMS Immunol. Med. Mic. 46: 180-18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