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저널 빅딜 계약의 연구 동향과 대안 탐색
Seeking Alternative Models and Research Trends for Big Deals in the Electronic Journal Consortium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42 no.1, 2011년, pp.85 - 111  

김상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도서관 및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정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빅딜 계약이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전자저널 컨소시엄 유지를 위한 예산 확보가 학술도서관의 최대 이슈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빅딜 계약의 대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빅딜 계약의 현황, 장단점, 문제점에 대한 대응을 토대로 빅딜 계약을 대체하는 다양한 모델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빅딜 계약의 대안을 OA 기반, 이용량 기반, 컨소시엄 개선 기반, 출판사 주도, 기타 등으로 살펴본 후 KESLI를 위해 단기적으로 Cost division 형식이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다 강화된 컨소시엄을 기반으로 Single(bloc) payment 형식이나 National licene 형식을 지향하는 '컨소시엄 비용 재배분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컨소시엄 비용 재배분 모델'은 최근 1년분의 각종 데이터를 기초로 PDF와 HTML 다운은 3배의 가중치를 부여하되 나머지 14개 요소는 각 요소별 0.5점부터 5점까지로 총 100점 만점으로 합산해 자관 총점의 순위에 따라 국가 단위로 협상된 KESLI 총액을 10, 20, 30 등급으로 확정해 최종 협상된 금액에 맞게 다시 배분하여 구독액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a workable alternative to replace a big deal related to the journal budget for the maintenance of academic libraries with the largest issue on the E-journal consortium. The contents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it. It ha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streng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종 OA 모델은 저널 중심의 학술커뮤니케이션 대안 모델로 상업출판사가 제시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빅딜 계약의 직접적 대안은 아니지만 중장기적으로 OA 모델이 조속히 확산되어 정착되면 빅딜 계약이 감소될 것임은 분명하다. 따라서 넓게 보아 OA 기반 모델도 컨소시엄 단위로는 어렵지만 개별 기관 입장에서 빅딜 계약의 대안이 될 수도 있고 OA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서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팀은 KESLI 컨소시엄 참여 도서관들이 자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절차와 방법으로 변경하기 위해 Cost division 모델처럼 복합 요소를 종합한 ‘컨소시엄 비용 재배분 모델’3)을 출판사의 수용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컨소시엄 참여 도서관 사이에 변경에 대해 합의만 되면 일부 국가 예산 지원을 받아 시행가능 하다고 판단하여 이를 대안 모델로 제시한다.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과 필요성에 따라 도서관 자료구입비 부족이라는 근본적 문제의 실천 가능한 해결을 위해 빅딜 계약의 대안을 찾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빅딜 계약의 현상을 분석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고 출판사들이 수용 가능한 새로운 가격 모델을 모색하여 도서관 주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구체적 목표이다. 위 연구 목적과 목표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우선 전자저널 빅딜 계약의 현황을 분석하고, 장단점과 함께 문제점에 대한 다양한 대응을 정리하며, 빅딜 계약을 대체하는 다양한 가격 모델에 대한 시도를 알아보고, KESLI에서 실천 가능한 빅딜 계약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 연구범위로 한다.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과 필요성에 따라 도서관 자료구입비 부족이라는 근본적 문제의 실천 가능한 해결을 위해 빅딜 계약의 대안을 찾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빅딜 계약의 현상을 분석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고 출판사들이 수용 가능한 새로운 가격 모델을 모색하여 도서관 주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구체적 목표이다.
  • 이 모델은 컨소시엄 조건을 참여 도서관 수와 금액에 따라 국가를 대표해 할인율을 협상하여 국가내 전체 가격을 결정한 후 단일하게 출판사에 구독료를 지불해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모든 도서관 이용자에게 보편적 접근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컨소시엄 참여 도서관과 비참여 도서관 지불액을 전체로 보고 연말에 이용통계를 반영해 사전에 정해진 최소액 이상과 최대액 이하로 국가 전체의 비용을 협상에 따라 지불하게 된다(Rightscom Ltd.
  • 이러한 빅딜 계약의 대안 모델 외에도 이용통계를 감안한 대행사의 가격 부과 방식이나 아카이브 권한 대신 접속에 비용을 지불하는 등 여러 가지 대안 모델이 있을 수 있어 분류의 편의상 앞에서 언급한 네 가지 유형 외에는 기타 모델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대안 모델의 검토를 거쳐 KESLI 상황에 적합한 대안 모델을 후속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저널 컨소시엄이란? 전자저널 컨소시엄은 개별 도서관에 의한 인쇄저널 수집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도서관이 모여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공동구매 형태의 구매력을 높여 가격상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도서관 사이에 상호 의존관계를 맺는 것이다. 국내 학술커뮤니케이션계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KESLI 전자저널 컨소시엄이 출발한지 10여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그동안 국내 도서관계에는 KESLI로 인한 여러 가지 긍정적 변화의 모습도 많았다.
국내 도서관계에서 KESLI로 인한 부정적 모습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 학술커뮤니케이션계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KESLI 전자저널 컨소시엄이 출발한지 10여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그동안 국내 도서관계에는 KESLI로 인한 여러 가지 긍정적 변화의 모습도 많았다. 그러나 대형 상업출판사를 중심으로 한 전자저널 구독이 늘면서 매년 늘어나는 전자저널 구독료에 못 미치는 도서관 예산으로 인해 도서관과 사서는 컨소시엄 갱신과 자료구입비 집행에 고민이 늘 있어 왔다.
Gold OA 모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요구되는가? Gold OA 모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공재원 지원기관의 역할과 책임이 요구되며, 그 때까지는 빅딜 계약이 새 가격 모델과 경쟁하면서 계속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Gold OA가 되려면 국제적 합의를 요하므로 현실적 채택 가능성이 낮아 컨소시엄 전체적으로 합의하기는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상준. 2010. 전자저널 컨소시엄의 당면과제와 해결방안 모색. 정보관리연구 , 41(4): 93-118. 

  2. 김정환, 이응봉. 2009. KESLI 컨소시엄의 주요 이슈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 40(3): 99-123. 

  3. 신은자. 2007. 학술지 빅딜판매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1(1): 373 -389. 

  4. Baker, Gayle and Eleanor J. Read. 2008. "Vendor-supplied usage data for electronic resources: a survey of academic libraries." Learned Publishing, 21(1): 48-57. 

  5. Ball, David. 2004. "What's the 'big deal', and why is it a bad deal for universities?." Interlending and Document Supply, 32(2): 117-125. 

  6. Best, R. D. 2009. "Is the 'Big Deal' dead?" The Serials Librarian, 57(4): 353- 363. 

  7. Bevan, Simon, Pete Dalton, and Angela Conyers. 2005. "How usage statistics can inform national negotiations and strategies." Serials, 18(2): 116-123. 

  8. Bucknall, Tim. 2009. "A comparative evaluation of journal literature access options a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Interlending & Document Supply, 37(3): 140- 142. 

  9. Bucknell, Terry. 2008. "Usage statistics for big deals: supporting library decision -making." Learned Publishing, 21 (3): 193-199. 

  10. Cole, Louise. 2009. "The E-deal: keeping up to date and allowing access to the end user." Serials Librarian, 57(4): 399-409. 

  11. Cox, John and Laura Cox. 2006. Scholarly publishing practice: academic journal publisher's policies and practices in online publishing. ALPSP. [cited 2010.03.14]. . 

  12. Cox, John and Laura Cox.2008. Scholarly publishing practice, third survey 2008: academic journal publisher's policies and practices in online publishing. ALPSP. [cited 2010.03.14]. . 

  13. Fowler, David. 2009. "The bundling and unbundling of E-serials: introduction." Serials Librarian, 57(4): 350- 352. 

  14. Friend, Fred. 2010. A journal business model to replace the big deal? Learned Publishing, 23(1): 69-70. 

  15. Frontline Global Marketing Services Ltd. 2009. Consortium Purchasing Directory. [cited 2010.03.14]. . 

  16. Gatten, Jeffrey N. and Tom Sanville. 2004. "An orderly retreat from the big deal:is it possible for consortia?" D-Lib Magazine, 10(10). [cited 2010.03.08]. . 

  17. Gibbs, Nancy J. 2005. "Walking away from the 'big deal': consequences and achievements." Serials, 18(2): 89-94. 

  18. Harwood, Paul and Albert Prior. 2008. "Testing usage-based e-journal pricing." Learned Publishing, 21(2): 133-139. [cited 2010.04.11]. . 

  19. Ives, Gary and Steve Fallon. 2009. "Stung if you do, stung if you don't the good and the bad of the big deal." Serials Librarian, 56(1): 163-167. 

  20. Jackson, M. E. 2005. "The 'bigger deal' is OpenURL." Interlending & Document Supply, 33(3): 172-174. 

  21. Karasozen, B., A. Kaygusuz, and H. Ozen. 2007. "Patterns of e-journal use within the Anatolian University Library Consortium." Serials, 20(1): 37-42. 

  22. Kohl, David F. 2007. Ten Years of Big Deals. [cited 2010.03.08]. . 

  23. Kyrillidou, Martha and Les Bland. 2009. ARL statistics 2007-2008.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cited 2010.03.08]. . 

  24. Maron, Nancy L. and K. Kirby Smith. 2008. Current Models of Digital Scholarly Communication. Washington: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cited 2010.06.05]. . 

  25. Research Information Network. 2008. Activities, costs and funding flows in the scholarly communications system: key findings. [cited 2010.03.14]. . 

  26. Research Information Network. 2009. E-Journals: their use, value and impact. [cited 2010.03.14]. . 

  27. Rightscom Ltd. 2005. Business models for journal content: final report. London: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64p. 

  28. Rowse, Mark. 2003. "The consortium site license: a sustainable model?" Libri, 53: 1-10. 

  29. Russell, Ian. 2009. ALPSP survey of librarians: responding to the credit crunch - what now for librarians and libraries? [cited 2010.03.14]. . 

  30. Stange, K., K. Hormia-Poutanen, K. B. Gronvall, and Eeva Laurila. 2003. "Cost division models in BIBSAM and FinELib consortia." Serials, 16(3): 285-292. 

  31. Tattersall, M. 2003. "Big deals: reflections on electronic journal acquisition 1996-2003." Serials, 16(2): 201- 204. 

  32. Taylor-Roe, Jill. 2009. "To every thing there is a season: reflections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big deal' in the current economic climate." Serials, 22(2): 113-121. 

  33. Termens, M. 2008. "Looking below the surface: the use of electronic journals by the members of a library consortium." Library Collections, Acquisitions, & Technical Services, 32(2): 76-85. 

  34. Wolfe, Donna., Narda Tafuri, Noella Owen, Rebecca Day, and Marcella Lesher. 2009. "Smoking out the big deal: getting what you want without getting stung." Serials Librarian, 56(1): 116-121. 

  35. Wolverton, R. E. and T. Bucknall. 2008. "Are consortium 'Big Deals' cost effective?: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E-journal access mechanismsworkshop report." Serials Librarian, 55(3): 469-4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