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저널 빅딜계약의 효율성 분석 연구
A Study for the Efficiency Analysis on Big Deals of Electronic Journal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7 no.4, 2013년, pp.187 - 210  

김정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해외정보실) ,  이응봉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컨소시엄을 통한 공동구매의 이점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학술 연구활동에 필요한 광범위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저널 빅딜계약의 혜택에 대한 실증적 분석 및 검증작업을 통한 정보이용 효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전자저널 빅딜계약에 참가하고 있는 규모가 큰 기관과 규모가 작은 기관의 그룹 간 정보이용 효율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여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아울러 전자저널 빅딜계약 참가기관의 그룹별 정보획득과 정보이용 결과에 대한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기관 그룹 간 차이에 대한 불만사항들을 해소하고 나아가 장기적인 안목에서 현재의 빅딜계약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sumption through e-journal consortia makes researchers locate and use academic resources and information extensively with comparatively cheap costs. This study analyzed and investigated substantive benefits of the big deal contracts for e-journal subscriptions in terms of efficient inform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저널 빅딜계약에 참가하고 있는 규모가 큰 기관과 규모가 작은 기관의 그룹 간 정보이용 효율성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연구 문제를 비구독 학술저널의 지출비용( $ )당 이용가능 정보의 가치, 학술저널 타이틀 단위 지출 비용, 다운로드한 논문건당 지출비용의 평균값, 구독 학술저널과 비구독 학술저널의 다운로드한 논문건당 지출비용, 구독 학술저널과 비구독 학술저널의 지출비용 비율, 구독 학술저널과 비구독 학술저널의 다운로드한 논문 건수 비율로 설정하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자저널 빅딜계약의 혜택에 대한 실증적 분석 및 검증작업을 통한 정보이용 효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전자저널 빅딜계약 참가 기관의 그룹별 정보획득과 정보 이용 결과에 대한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컨소시엄 지출비용만을 기준으로 반복되고 있는 기관 그룹 간 차이에 대한 불만사항들을 해소하고 나아가 장기적인 안목에서 현재의 빅딜계약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자저널 빅딜계약의 혜택에 대한 실증적 분석 및 검증작업을 통한 정보이용 효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전자저널 빅딜계약 참가 기관의 그룹별 정보획득과 정보 이용 결과에 대한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컨소시엄 지출비용만을 기준으로 반복되고 있는 기관 그룹 간 차이에 대한 불만사항들을 해소하고 나아가 장기적인 안목에서 현재의 빅딜계약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연구 문제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 수준을 밝히기 위해서 비구독 학술저널 지출비용($)당 이용가능 정보의 가치, 학술저널 타이틀 단위의 지출비용, 다운로드한 논문건당 지출비용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계량적 통계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저널 빅딜계약이란? 전자저널 빅딜계약은 출판사가 많은 수의 전자저널을 묶음형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대개 1년 이상의 다년 계약으로 고정 인상률을 가진다. 학술저널 가격위기와 인터넷의 등장으로 온라인으로 서비스 방식을 전환해야 할 필요에 의해 출판사와 도서관 모두에게 윈-윈(win-win)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시작하였다.
ICOLC에는 어떤 국가들이 참여하고 있나? ICOLC에는 미국의 OhioLINK(Ohio Library and Information Network), 영국의 NESLi2 (National Electronic Site Licence Initiative 2), 캐나다의 CRKN(Canadian Research Knowledge Network), 뉴질랜드의 EPIC(Electronic Purchasing In Collaboration), 호주의 ERA(Electronic Resources Australia), 대만의 CONCERT (Consortium On Core Electronic Resources in Taiwan), 일본의 JUSTICE(Japan Alliance of University Library Consortia for E-Resources), 우리나라의 KESLI(Korean Electronic Site License Initiative) 등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 와 규모의 도서관 컨소시엄이 참여하여 활동하 고 있다. 
전자저널 빅딜계약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전자저널 빅딜계약은 출판사가 많은 수의 전자저널을 묶음형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대개 1년 이상의 다년 계약으로 고정 인상률을 가진다. 학술저널 가격위기와 인터넷의 등장으로 온라인으로 서비스 방식을 전환해야 할 필요에 의해 출판사와 도서관 모두에게 윈-윈(win-win)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시작하였다. 이후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전자형태의 학술저널을 단기간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대규모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수단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상준, 김정환. 2011. 전자저널 빅딜 계약의 연구 동향과 대안 탐색. 정보관리연구, 42(1): 85-111.(Kim, Sang-Jun, & Kim, Jeong-Hwan. 2011. "Seeking Alternative Models and Research Trends for Big Deals in the Electronic Journal Consortium."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2(1): 85-111.) 

  2. 김성진, 정은경, 한민혜. 2008. 전자저널 컨소시엄을 둘러싼 학술커뮤니케이션의 쟁점과 대응동향. 정보관리연구, 39(1): 27-52.(Kim, Sung-Jin, Jung, Eun-Kyung, & Han, Min-Hae. 2008. "Challenges and Recent Movements in Scholarly Communication Concerning Electronic Journal Licensing Consortia."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9(1): 27-52.) 

  3. 김정환, 이응봉. 2009. KESLI 컨소시엄의 주요이슈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0(3): 99-123.(Kim, Jeong-Hwan, & Lee, Eung-Bong. 2009. "A Study on Main Issue Analysis of the KESLI Consortium."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0(3): 99-123.) 

  4. 신은자. 2007. 학술지 빅딜판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378-389.(Shin, Eun-Ja. 2007. "Analysis and Proposals Concerning Big Deals of Scholarly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1): 378-389.) 

  5. 심원식. 2012. 빅딜, 오픈액세스, 구글학술검색과 대학도서관의 전자학술정보구독. 정보관리학회지, 29(4): 143-163.(Shim, Wonsik. 2012. "Big Deal, Open Access, Google Scholar and the Subscription of Electronic Scholarly Contents at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4): 143-163.) 

  6. 이소연. 2008. 새로운 학술커뮤니케이션 환경과 미래형 전자저널 컨소시엄 운영모형: KESLI를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39(1): 1-25.(Lee, So-Yeon. 2008. "A Business Model for Electronic Journal Licensing Consortia in an Emerging Scholarly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KESLI Case."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9(1): 1-25.) 

  7. 전혜영, 박수희. 2008. 전자저널 컨소시엄의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연구. 정보관리연구, 39(1): 53-82.(Jeon, Hae-Yeong, & Park, Soo-Hee. 2008. "A Study on Electronic Journal Consortium Stakeholder Needs Analysi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9(1): 53-82.) 

  8. 황옥경. 2004. 전자저널 라이선스 계약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199-228.(Hwang, Ok Gyung. 2004. "A Study on the Model License for Electronic Journ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1): 199-228.) 

  9. Amy Yeager. 2013. "ARL Academic Health Sciences Library Statistics 2010-2011." ARL Digital Publication. [online]. [cited 2013.5.31]. . 

  10. Best, R. D. 2009. "Is the "Big Deal" dead?" The Serials Librarian, 57(4): 353-363. 

  11. Blecic, D. B., Wiberley, S. E., & Fiscella, J. B. 2013. "Deal of No Deal? Evaluating Big Deals and Their Journal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4(2): 178-194. 

  12. Boissy, R. W. et al. 2012. "Is the Big Deal Dying?" Serials Review, 38(1): 36-45. 

  13. Bosch, S., & Henderson, K. 2012. "Periodicals price survey 2012." Library Journal, April 30. [online]. [cited 2013.5.7]. . 

  14. Bucknall, Tim. 2009. "A comparative evaluation of journal literature access options a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Interlending & Document Supply, 37(3): 140-142. 

  15. Bucknell, Terry. 2008. "Usage statistics for big deals: supporting library decision-making." Learned Publishing, 21(3): 193-199. 

  16. Prabha, Chandra. 2007. "Shifting from Print to Electronic Journals in ARL University Libraries." Serials Review, 33(1): 4-13. 

  17. Conyers, Angela, & Dalton, Pete. 2008. Assessing the value of the NESLi2 deals.: a report for JISC collections. JISC. [online]. [cited 2013.5.6]. . 

  18. Gargiulo, P. 2003. "Electronic journals and users: the CIBER experience in Italy." The Serials, 16(3): 293-298. 

  19. Ives, Gary, & Fallon, Steve. 2009. "Stung if you do, stung if you don't-the good and the bad of the big deal." Serials Librarian, 56(1): 163-167. 

  20. Schopfel, Joachim, & Leduc, Claire. 2012. "Big deal and long tail: e-journal usage and subscriptions." Library Review, 61(7): 497-510. 

  21. Kurata, K. M. et al. 2007. "Electronic Journals and their unbundled functions in scholarly communication: Views and utilization by scientific, technological and medical researchers in Jap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3: 1402-1415. 

  22. Tattersall, M. 2003. "Big deals: reflections on electronic journal acquisition 1996-2003." Serials, 16(2): 201-204. 

  23. Wolfe, Donna., Tafuri, Narda, Owen, Noella, Day, Rebecca, & Lesher, Marcella. 2009. "Smoking out the big deal: getting what you want without getting stung." Serials Librarian, 56(1): 116-121. 

  24. Wolverton, R. E., & Bucknall, T. 2008. "Are consortium "Big Deals'' cost effective?: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E-journal access mechanisms-workshop report." Serials Librarian, 55(3): 469-4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