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추장 및 김치용 고춧가루의 입도별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by Particle Size of Red Pepper Powders for Pepper Paste and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5, 2011년, pp.725 - 730  

오승희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국립농업과학원 전통한식과) ,  김현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초롱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수민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영 (국립농업과학원 전통한식과) ,  유선미 (국립농업과학원 전통한식과) ,  김행란 (국립농업과학원 전통한식과)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준수 (국립농업과학원 전통한식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운 고추와 맵지 않은 고추를 이용하여 고추장 및 김치용으로 분쇄된 고춧가루의 입도별 분포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색도, ASTA값캡사이신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품종에 관계없이 고추장용 고춧가루에서는 $425{\sim}300\;{\mu}m$의 크기가 가장 많았고 이를 기준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커질수록 그 함량이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용 고춧가루에서는 $1000\;{\mu}m$ 이상의 입도를 가지는 고춧가루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고추장용보다 입도분포가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고춧가루의 색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색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색도 값(Hunter Lab)이 증가하였다. ASTA값 역시 크기가 작을수록 높은 값을 보였다. 입도별 시료의 capsaicinoids 함량은 전반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증가하여 색도와 ASTA값의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입도별 고춧가루의 물리적 특성은 고춧가루의 품질평가 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보다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red pepper powders of Hanbando and Cheongyang cultivars by particle size. Two types of powder samples for pepper paste and Kimchi were prepared, and capsaicinoid contents, Hunter Lab color values, and ASTA values by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추장 및 김치용으로 분쇄되어 사용되는 고춧가루의 입도 분포 특성과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매운 고추인 청양품종과 맵지 않은 고추인 한반도품종을 이용하여 고춧가루를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입도분포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색도, ASTA 값 및 capsaicinoids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oid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고추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는 크게 capsaicin, vit C, 유리당 및 유기산 등의 내적요인과 착색도의 외적요소로 구분되어 품질평가의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는데, 고춧가루의 색은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는데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4).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oid는 항균작용, 항암효과 및 항비만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한국산 고추의 품종 및 재배 지역에 따른 품질특성이 보고되었다(5,6).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고추와 같은 식품을 분쇄할 때 절단이나 전단력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이유는?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고추를 분쇄하기 위하여 치형롤이 사용되는데 치형 롤은 압축력과 전단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분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7). 고추와 같이 섬유질이 많이 포함한 식품들은 압축력이나 충격력에 의하여 쉽게 분쇄되지 않으므로 절단이나 전단력을 이용하면 효과적이다. 분쇄기를 이용하여 건고추 분쇄 시 롤 분쇄기의 분쇄조건이 고춧가루의 미분쇄능과 분쇄효율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8)이라 보고되었으나 분쇄과정에 따른 고춧가루의 입도 분포 및 분포별 품질 평가 요소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고추의 품질을 평가하는 내적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고추는 생고추의 상태로 소비 되지만 대부분 건조 후 보관하면서 고춧가루로 만들어져 식품첨가용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는데(2), 현재 한국인의 고추 소비량은 주요 고추 소비국인 헝가리 200 g, 미국 50 g, 일본 20 g과 비교하여 평균 40~100배로 높아 세계에서 가장 많이 고추를 소비하는 실정이다(3). 고추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는 크게 capsaicin, vit C, 유리당 및 유기산 등의 내적요인과 착색도의 외적요소로 구분되어 품질평가의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는데, 고춧가루의 색은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는데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4).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oid는 항균작용, 항암효과 및 항비만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한국산 고추의 품종 및 재배 지역에 따른 품질특성이 보고되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wang SY, An YH, Shin GM. 2001. A study on the quality of commercial red pepper powder. Korean J Food Nutr 14: 424-428. 

  2. Ku KH, Kim NY, Park JB, Park WS. 2001.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231-237. 

  3. Yoon JM, Ji JJ, Lim SC, Lee KH, Kim HT, Jeong HS, Lee JS. 2010. Changes in selecte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s depending on cultiv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31-736. 

  4. Lee HD, Lee CH. 1992. Studies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red pepper by color measurement. Korean J Dietary Culture 7: 105-112. 

  5. Jung MR, Hwang YH, Kim HY, Jeong HS, Park JS, Park DB, Lee JS. 2010. Analyses of capsaicinoids and ascorbic acid in pepper (Capsicum annum L.) breeding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05-1709. 

  6. Yu RN, Kim JM, Han IS, Kim BS, Lee SH, Kim MH, Cho SH. 1996. Effects of hot taste preference on food intake pattern, serum lipid and antioxidative vitamin levels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5: 338-345. 

  7. Kang WS, Yang SK, Mok HK, Rhee HI. 1999. An analysis for particulate characteristic in red pepper milling using ceramic and metal corrugation rollers. KSAM 4: 234-249. 

  8. Kang WS, Yang SK, Mok HK, Rhee HI. 2000. Effect of the increment of shear stress on particulate characteristic in red-pepper milling using ceramic and gray-iron grooved rollers. KSAM 6: 266-271. 

  9. Sung JM, Han YS, Jeong JW.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red pepper during frozen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7: 1-8. 

  10. Attuquayefio VK, Buckle KA. 1987. Rapid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HPLC analysis of capsaicinoids in capsicum fruits and oleoresins. J Agric Food Chem 35: 777-779. 

  11. Choi SM, Jeong YS, Park KY. 2000. Comparison of quality of red pepper powders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51-1257. 

  12. Kim S, Park JH, Wang IK. 2002. Quality attributes of various varieties of Korean red pepper powders (Capsicum annuum L.) and color stability during sunlight exposure. J Food Sci 67: 2957-2961. 

  13. Todd PH, Beninger MG, Biftu T. 1977. Determination of pungency due to capsicum by gas-liquid chromatography. J Food Sci 42: 600-668. 

  14. Chai JY, Kim MS, Han IK, Lee SY, Yeo IH. 1994.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of pungent principles in red pepper. J Korean Soc Anal Sci 7: 541-545. 

  15. Chung BS, Kang KO. 1985. The changes of capsaicin contents in fresh and processed red pepp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14: 409-418. 

  16. Shin HH, Lee SR. 1991.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d pepp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96-300. 

  17. Yun HK, Kim KY, Kim YC, Lee JW, Kim IS, Yoo KC, Higashio H. 2002. Change of some constituents along with the fruit maturity in Capsicum species. Korean J Hort Sci Technol 43: 39-42. 

  18. Lee SM, Hwang IK. 1998. Changes of colors and pungent principles of red pepper powder with different seed contents and particle size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Dood Sci 14: 584-588. 

  19. Cho CW, Kim SW, Rho JH, Rhee YK, Kim KT. 2008.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saponin and acidic polysaccharide based on the red ginseng particle size. J Ginseng Res 32: 179-1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