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 Transglutaminase를 이용하여 제조된 쌀 혼합 전두부의 이화학적 및 물성 평가
Physicochemical and Rheological Evaluation of Rice-Whole Soybean Curds Prepared by Microbial Transglutaminas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5, 2011년, pp.738 - 746  

진익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전통 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 연구센터)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전통 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bial transglutaminase(MTGase)를 이용하여 쌀 가수분해물과 초미세 생대두 분말을 혼합하여 전두부를 제조한 후 조직감, 동적점탄성, 단백질 결합패턴 및 미세구조를 평가하였다. 40%(w/v) 쌀 용액을 Termamyl 효소처리($85^{\circ}C$, 20분) 하였을 때 점조도 값 및 환원당 함량이 각각 $1.27\;Pa{\cdot}s^n$, 9.0%로 나타났다. MWSP 18~22% 농도에서 MTGase 효소로 응고시킨 전두부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MWSP 22% 첨가구에서 전형적인 두부의 조직감을 얻었으며, 쌀 가수분해물 7.5% 첨가구의 경우 경도 639.6 dyne/$cm^2$, 탄성 0.96으로 나타났다. MTGase 5%의 첨가 조건에서 MWSP 18~22% 농도에 따라 동적점탄성을 측정한 결과 MWSP 22% 첨가 경우 반응 6분 이내 G'(5.1 Pa) 및 G''(9.0 Pa)값으로 높게 나타났다. MWSP 22% 첨가구에서 시간에 따른 SDS-PAGE 상에서 대부분의 콩 단백질은 30분 이내에 중합되어 고분자중합체를 형성하였으며, 쌀 가수분해물이 첨가된 경우에도 대부분의 콩 단백질들이 중합되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쌀이 첨가된 전두부의 미세구조는 균일한 입자로 채워진 네트워크 구조를 보였으나 냉장저장 2일 후에는 쌀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더욱 거칠어진 표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anufactured rice-whole soybean curd by a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ase) with a mixture of hydrolyzed rice and micronized whole soybean powder (MWSP) and analyzed its rhe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texture, viscoelasticity, protein cross-linking, and surface structure. A 40% rice suspen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미세 생대두 분말과 단백질 중합효소인 MTGase를 응고제로 사용하여 젤라틴과 쌀 가수분해물 첨가량에 따른 쌀이 첨가된 전두부를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한 물성을 평가하였다.
  • 근래에 들어 쌀의 기능적 우수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쌀의 혈압조절기능(20), 당뇨병예방(21), 암 예방 효과(22), 돌연변이 억제효과(23), 쌀의 식이섬유 함량이 정상 혈당에 미치는 영향(24) 등이 밝혀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쌀 소비를 증진시키고자 쌀을 초미세 생대두 분말과 혼합하여 전두부 제조를 최적화하였으며, 쌀의 첨가량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쌀 분말을 액화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시킨 후 전두부 제조에 첨가하여 맛과 조직감이 우수한 쌀이 첨가된 전두부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 젤라틴은 콜라겐 단백질을 가수분해 하여 얻어지는 고분자 단백질로서 우수한 겔 형성능을 가지고 있다. 전두부의 젤라틴 첨가는 단백질 결합효소 사용량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25), 본 연구에서는 전두부 제조에 겔화성이 우수한 젤라틴을 첨가하여 효소 사용량을 최소화 하며 조직감이 우수한 전두부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대두의 수용성 단백질을 추출한 후 응고시켜 압착 성형한 두부는 단백질, 필수지방산, 필수아미노산 등 영양성분 및 식이섬유 및 이소플라본 등 기능성성분을 함유한 식물성 단백질 식품으로 동양에서 널리 소비되고 있다(1). 두부에 관한 최근 연구로는 두부 제조 시 품질과 수율에 미치는 요인(2), 구기자(3), 허브(4), 키토산(5) 등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증진시킨 두부 제조, soy protein isolate의 gelation 강화(6) 등의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두부 제조 시 품질과 수율의 단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두부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단점으로는 두부 제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비지와 압착 시 빠져나가는 수용성 영양성분들의 손실을 들 수 있으며, 화학적 응고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 생산 과정 중 발생하는 폐수(순물) 등이 있다. 두부 제조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비지와 순물은 일부 식품 및 생물소재 활용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7,8), 대부분이 사료로 이용되거나 폐기되는 현실이다.
두부는 어떤 성분을 함유한 식품인가? 대두의 수용성 단백질을 추출한 후 응고시켜 압착 성형한 두부는 단백질, 필수지방산, 필수아미노산 등 영양성분 및 식이섬유 및 이소플라본 등 기능성성분을 함유한 식물성 단백질 식품으로 동양에서 널리 소비되고 있다(1). 두부에 관한 최근 연구로는 두부 제조 시 품질과 수율에 미치는 요인(2), 구기자(3), 허브(4), 키토산(5) 등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증진시킨 두부 제조, soy protein isolate의 gelation 강화(6) 등의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ong HN, Jung K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soybean by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75-482. 

  2. Shen CF, Man LD, Buzzel RI, Man JM. 1991. Yield and quality of tofu as affected by soybean and soymilk characteristics (glucono-delta-lactone coagulant). J Food Sci 56: 109-112. 

  3. Koh KM. 2009.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 life of tofu prepared with Lycii fructus powder. M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Jeonnam, Korea. 

  4. Jeon MK. 2005. Studies on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herb.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5. Lee JH. 1996. Studies on effects of chitosan addition on soybean curd and whey.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6. Oscar C, Sandara EH, Helen JA, Isobel DS, John RM. 1994. Gelation enhancement of soy protein isolate using the Maillard reaction and high temperature. J Food Sci 59: 872-875. 

  7. Bae EA, Kwon TW, Moon GS. 1997. Isoflavone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 curd and their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71-375. 

  8. Mok CK, Ku KH, Park DJ, Kim NS, Sohn HS. 1995. Ultrafiltration of soybean cooking water for the production of soy oligosacchar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81-184. 

  9. Lee J, Choe E. 2002. Physical properties of micronized full fat soyflour for packed whole-tofu (chundubu) manufacture. Food Sci Biotechnol 11: 165-171. 

  10. Joo SI, Kim JE, Lee SP. 201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ole soybean curd prepared by microbial transglutaminase. Food Sci Biotechnol 20: 437-444. 

  11. Kim WJ, Um BY, Chung SS, Chung MS. 2002.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on textural properties of soy gel. Food Sci Biotechnol 8: 65-67. 

  12. Metussin R, Alli I, Kermasha S. 1994. Micronization effects on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tofu. J Food Sci 57: 418-422. 

  13. Lee SM, Hwan IK. 1997. Texture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s prepared with different coagulants and compositions of soybean-curd whe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3: 78-85. 

  14. Lu JY, Carter E, Chung RA. 1980. Use of calcium salt for soybean curd preparation. J Food Sci 45: 32-34. 

  15. Ando H, Adachi M, Umeda K, Matsuura A, Nonaka M, Uchio R, Tanaka H, Motoki M. 1989.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novel transglutaminase derived from microorganisms. Agric Biol Chem 53: 2613-2617. 

  16. Faergemand M, Otte J, Qvist KB. 1997. Enzymatic crosslinking of whey protein by a $Ca^{2+}$ -independent microbial transglutaminase from Streptomyces lydicus. Food Hydrocolloids 11: 19-25. 

  17. Santos M, Torne JM. 2009. Recent patents on transglutaminase production and applications: a brief review. Recent Pat Biotech 3: 166-174. 

  18. Yasir SB, Sutton KH, Newberry MP, Andrews NR, Gerrard JA. 2007. The impact of transglutaminase on soy proteins and tofu texture. Food Chem 104: 1491-1501. 

  19. Son SM. 2001. Rice based meal for prevention of obesity and chronic disease. Korea J Community Nutr 6: 862-867. 

  20. Saito Y, Nakamura K, Kwato A, Imayasu S. 1992.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in sake and its by-products. Nippon Nogeikagaku Kaishi 66: 1081-1087. 

  21. Wolevera TM, Katzman-Relle R, Jenkins AL, Vuksan V, Josse RG, Jenkins DJ. 1994. Glycaemic index of 102 complex carbohydrate foods in patients with diabetes. Nutr Res 14: 651-669. 

  22. Yun HJ. 2004.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antioxidative activity.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3. Chun HS, Kim IH, Kim YJ, Kim KH. 1994. Inhibitory effect of rice extract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e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88-194. 

  24. Lee C, Shin JS. 2002. The effect of dietary fiber content of rice on the postprandial serum glucose response in normal subject. Korean J Food Nutr 15: 173-177. 

  25. Joo SI. 2009. Production of whole soybean curd using transglutaminase and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6. Kelessidis VC, Maglione R. 2006. Modeling rheological behavior of bentonite suspensions and Casson and Robertson-Stiff fluids using Newtonian and true shear rates in Couette viscometry. Powder Technol 168: 134-147. 

  27. Luchsinger WW, Coonesky RA. 1962. Reducing power by the dinitrosalicylic acid method. Anal Biochem 4: 364-347. 

  28. Lee SH.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y milled soaked rice flour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and reparation of rice manju using them.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9. Park YK, Seog HM, Nam YJ, Shin DH. 198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milled ric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504-510. 

  30. Shih FF, Daigle K. 1997. Use of enzymes for the separation of protein from rice flour. Cereal Chem 74: 437-441. 

  31. Marco C, Rosell CM. 2008. Effect of different protein isolates and transglutaminase on rice flour properties. J Food Eng 84: 132-139. 

  32. Lee HA. 2005 Characteristics of emulsion-gel formed by microbial transglutaminase.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