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부프로펜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고체분산체 제조방법에 따른 물리화학적 성질 및 용출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Release Behavior of Ibuprofen Solid Dispersion with Cellulose Acetate Prepared with Various Method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5 no.2, 2011년, pp.113 - 118  

이은용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오명준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김세호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성경열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이영현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김수진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서한솔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이동원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강길선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체분산체는 난용성약물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기술로 용출특성을 고분자의 성질, 고분자의 함량 및 물리화학적 성질에 의하여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부프로펜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분무건조와 로터리 증발법을 사용하여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고체분산체의 표면성질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X선 회절기(X-RD)와 사치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결정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고체분산체의 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적외선 분광기(FTIR) 분석을 하였으며, 수분 친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분접촉각 측정을 하였다. 용출 특성은 인공정액(pH 6.8) 및 인공위액 (pH 1.2)에서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약물의 결정성은 고분자의 비율이 증가하면 결정성이 감소하였으며, 화학적 변화는 없었다. 수분 친화도는 고분자비율과 비례하였으며, 분무건조로 제조된 고체분산체의 경우가 조금 높은 수분 친화도를 가졌다. 용출실험 결과 인공위액에서는 고분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용출률이 증가하였으며, 인공장액에서의 용출속도는 고분자의 비율과 반비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lid dispersion is used to improve the solubility of water-insoluble drug. Release properties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ymer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lid dispersion. In this study the solid dispersions of ibuprofen and cellulose acetate were prepared using spray-drying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고체분산체의 제조 방법에는 용매증발법과 용융법이 있으며, 용매증발법은 진공건조 동결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법이 있다.본 실험에서는 고체분산체에 함유한 고분자의 함량 약물의 결정성 약물과 고분자의 상호작용 및 수분 친화도 변화에따른 약물의 용출률에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고분자의 비율과 제조방법을 달리하여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였다.6 고체분산체 제조 약물로 이부프로펜을시용하였으며 고분자로는 셈룸로오스 아세테이트를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이부프로펜의 고체분산체 제조에 있어 제조방법 및 고분자비율에 따라 고체분산체의 물리 화학적 성질 및 용줄률 변화를 관찰한 실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 Gunawan, G. P. Johari, and R. M. Shanker, Pharm. Res., 23, 967 (2006). 

  2. D. J. V. Drooge, W. L. J. Hinrichs, M. R. Visser, and H. W. Frijlink, Int. J. Pharm., 310, 220 (2006). 

  3. D. J. V. Drooge, K. Braeckmans, W. L. J. Hinrichs, K. Remaut, S. C. D. Smedt, and H. W. Frijlink, Macromol. Rapid Commun., 27, 1149 (2006). 

  4. V. B. Pokharkar, L. P. Mandpe, M. N. Padamwar, A. A. Ambike, K. R. Mahadik, and A. Paradkar, Powder Technol., 167, 20 (2006). 

  5. E. Rodier, H. Lochard, M. Sauceaum, J. J. Letourneau, B. Freiss, and J. Fages, Eur. J. Pharm. Sci., 26, 184 (2005). 

  6. R. Ghaderi, P. Artursson, and J. Carlfors, Pharm. Res., 16, 676 (1999). 

  7. M. Mahwshwari, A. R. Ketkar, B. Chauhan, V. B. Patil, and A. R. Paradkar, Int. J. Pharm., 261, 57 (2003). 

  8. C. S. Yong, S. H. Jung, S. M. Park, J. D. Rhee, and H. G. Choi, J. Kor. Pharm. Sci., 33, 57 (2003). 

  9. P. Santi, S. Nicoli, G. Colombo, R. Bettini, M. Artusi, S. Rimondi, C. Padula, P. Rizzo, and P. Colombo, Int. J. Pharm., 266, 69 (2003). 

  10. A. A. Bousfiha, A. Maaroufi, A. Abid, and S. Tahiri, J. de Pediatrie et de Puericulture, 16, 407 (2003). 

  11. M. K. Ghorab and M. C. Adeyeye, Pharm. Dev. Technol., 6, 305 (1994). 

  12. T. P. Shakhtshneider, M. A. Vasiltchenko, A. A. Polito, and V. V. Boldyrev, Int. J. Pharm., 130, 25 (1996). 

  13. E. Y. Lee, W. Kim, Y. K. Kim, S. Eom, H. J. Park, K. Y. Seong, S. H. Kim, S. J. Kim, D. L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in press (2011). 

  14. S. Y Lin and Y. Kawashima, Pharm. Res., 4, 70 (1987). 

  15. M. Jelvehgari, F. Atapour, and A. Nokhodchi, Arch. Pharm. Res., 32, 1019 (2009). 

  16. J. S. Cho, J. Y. Youn, B. S. Kim, J. M. Oh, M. S. Kim, G. Khang,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5, 242 (2008). 

  17. H. K. Lonsdale, U. Merten, and R. L. Riley, J. Appl. Poym. Sci., 9, 1341 (2003). 

  18. H. Ohya, H. Jicsih, and Y. Nrgish, J. Membrane Sci., 85, 1 (1993). 

  19. Y. H. Lee, D. S. Kim, W. Kim, Y. K. Kim, E. Shin, H. J. Park, E. Y. Lee, O. Y. Kim, D. L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723 (2009). 

  20. S. Ravisankar, M. Vasudevan, M. Gandhimathi, and B. Suresh, Talanta, 46, 1577 (1998). 

  21. J. S. Park, K. Jeong, J. H. Lee, Y. T. Kim, J. H. Park, S. I. Ahn, J. H. Mo, H. B. Lee, and G. Khang, J. Kor. Pharm. Sci., 38, 119 (2008). 

  22. J. H. Park, S. Kim, S. I. Ahn, J. H. Lee, Y. T. Kim, D. S. Kim, W. Kim, D. Lee, J. M. L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77 (2009). 

  23. C. Dahlberg, A. M. Fureby, M. Schuleit, and I. Furo, Eur. J. Pharm. Sci., 39, 125 (2010). 

  24. K. A. Levis, M. E. Lane, and O. I. Corrigan, Int. J. Pharm., 253, 49 (2003). 

  25. V. B. Pokharkar, L. P. Mandpe, M. N. Padamwar, A. A. Ambike, K. R. Mahadik, and A. Paradkar, Powder Technol., 167, 20 (2006). 

  26. G. R. Lloyd, D. Q. M. Craig, and A. Smith, Eur. J. Pharm. Sci., 48, 59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