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entaerytritol Triacrylate를 이용한 광경화용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합성과 경화필름 물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UV-Curable Six-Functional Urethane Acrylates Using Pentaerytritol Triacrylate and Their Cured Film Propertie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5 no.2, 2011년, pp.183 - 188  

문병준 (단국대학교 고분자시스템공학과, 광에너지소재연구센터) ,  황석호 (단국대학교 고분자시스템공학과, 광에너지소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산기를 함유한 3관능 아크릴레이트(PETA; pentaerytritol triacrylate)를 pentaerytritol과 acrylic acid의 축합반응으로 합성하였다. 최적반응 조건이 용매로 heptane이 사용되고 pentaerytritol과 acrylic acid의 몰비가 1:4일때, 최고수율의 3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그 후, 다양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PETA간 축합반응을 통해 여러가지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반응형 희석제를 광개시제와 함께 자외선 광경화한 후, 형성된 경화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방향족 벤젠고리를 포함하고 있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지방족 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에 비해 내후성이 취약하였으며, UA-2의 경우 연필경도 및 내스크레치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경화도가 가장 우수하였던 UA-l의 경우 내약품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밀착성의 경우 모든 조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며, 경화도가 가장 낮은 UA-3의 경우 물리적 특성이 가장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ntaerytritol triacrylate (PETA) was synthesized by a condensation reaction between pentaerytritol and acrylic acid. The highest yield of PETA was obtained when heptane was used as a solvent under the 1:4 mole ratio of pentaerytritol and acrylic acid. The 6-functional urethane acrylates(UA) were 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4관능의 알코올에 아크릴산을 축합반응하여 3개의 아크릴 관능기와 1개의 수산기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용매와 고수율을 얻기 위한 알코올과 아크릴산의 최적 몰비에 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합성된 아크릴 레이트 단량체를 다양한 2관능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광경 화가 가능한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으며, 광경화 후 형성된 필름의 물성 등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 V. Rao, D. S. Kanitkar, and A. K. Parab, Prog. Org. Coat., 25, 221 (1995). 

  2. C. E. Holye and J. F. Kinstle, Radiation Curing of Polymeric Material, Am. Chem. Soc., Washington, Chapter 28 (1989). 

  3. M. Uminski and L. M. Saija, Surf. Coat. Int., 6, 244 (1995). 

  4. J. Rayss, W. M. Podkodcielny, and J. Widomski, J. Appl. Polym. Sci., 49, 835 (1993). 

  5. A. H. Rodas, R. E. S. Bretas, and A. Reggianni, J. Mater. Sci., 21, 3025 (1986). 

  6. S. B. Lin, S. Y. Tsay, T. A. Spechhard, K. K. S. Hwang, J. J. Jezerc, and S. L. Cooper, Chem. Eng. Commun., 30, 251 (1984). 

  7. T. A. Spechhard, K. K. S. Hwang, S. B. Lin, S. Y. Tsay, M. Koshiba, Y. S. Ding, and S. L. Cooper, J. Appl. Polym. Sci., 30, 647 (1985). 

  8. M. A. Ali, M. A. Khan, and K. M. I. Ali, J. Appl. Polym. Sci., 60, 879 (1996). 

  9. J. W. Yoo and D. S. Kim, Polymer(Korea), 23, 376 (1999). 

  10. H. D. Kim, D. J. Lee, J. H. Choi, and C. C. Park, Polymer(Korea), 18, 38 (1994). 

  11. K. H. Lee and B. K. Kim, Korea Polym. J., 4, 1 (1996). 

  12. H. D. Kim, S. G. Kang, and C. S. Ha, J. Appl. Polym. Sci., 46, 1339 (1992). 

  13. Y. Otsubo, T. Amari, and K. Watanabe, J. Appl. Polym. Sci., 29, 4071 (1984). 

  14. T. Matynia, R. Kutyla, K. Bukat, and B. Pienkowska, J. Appl. Polym. Sci., 55, 1583 (1995). 

  15. M. Bajpai, V. Shukla, and A. Kumar, Prog. Org. Coat., 44, 271 (2002). 

  16. T. Maruno, S. Ishibashi, and K. Nakamura,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2, 3211 (1994). 

  17. W. Shi and B. Ranby, J. Appl. Polym. Sci., 51, 1129 (1994). 

  18. T. R. Williams, J. Appl. Polym. Sci., 31, 1293 (1986). 

  19. R. Bongiovanni and G. Malucelli, Prog. Org. Coat., 36, 70 (1999). 

  20. J.-M. Clacens, Y. Pouilloux, and J. Barrault, Appl. Catal. A-Gen., 227, 181 (2002). 

  21. Y. O. Bae, C. S. Ha, and W. J. Cho, Eur. Polym. J., 27, 2121 (1991). 

  22. F. Schofield, D. B. Judd, and R. S. Hunter, ASTM Bull., 110, 19 (1941). 

  23. R. S. Hunter, J. Opt. Soc. Amer., 38, 1094 (1948). 

  24. D. J. Park and W. J. Cho, Polymer(Korea), 14, 1 (1990). 

  25. J. K. Lim, D. K. Kim, and W. G. Kim, J. Korean Ind. Eng. Chem., 15, 360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