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레드와인의 첨가가 양념돈육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양념돈육은 물을 25% 첨가한 것(대조구), 물20%와 레드와인 5%를 첨가한 것(RW5), 물15%와 레드와인 10%를 첨가한 것(RW10), 그리고 물 10%와 레드와인 15%를 첨가한 것(RW15%) 등 네 종류의 양념돈육을 제조하였으며, 저장 중의 색깔, 경도, 탄력성, 씹힘성, pH, VBN 함량, TBARS 값, 총균수 및 관능특성을 실험하였다. 저장 중 $L^*$, $a^*$$b^*$값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저장 초기 $L^*$값은 RW10 및 RW15가 대조구 및 RW5보다 높았으나, 저장 말기에는 대조구 및 RW5가 RW10 및 RW15보다 높았다(p<0.05). 경도는 저장 10일째 RW5가 가장 낮았다(p<0.05). pH는 시료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VBN 함량은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저장 10일째 RW10 및 RW15가 대조구 및 RW5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TBARS 값은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여 저장 10일째 대조구, RW5, RW10 및 RW15가 각각 0.61, 0.45, 0.35 및 0.33 mg MA/kg을 나타내었다(p<0.05). 총균수는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RW5, RW10 및 RW15는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관능 특성 중 맛,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풍미는 저장 10일째 RW5가 가장 우수했다(p<0.05). 이상의 결과, 레드와인은 단백질 변패, 지방 산화,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서 양념육의 첨가제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d wine on the color,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and total bacterial number of pork meat stored at $4^{\circ}C$ for 10 days.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능성을 가진 육제품에 대한 연구들은 식물 추출물이나 분말을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고, 와인을 이용한 것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육의 조리, 소스의 제조 등에도 이용되고 있고, 다양한 생리 활성 기능을 나타내는 레드와인을 양념육에 첨가하여 10일 동안 냉장 저장하면서 품질 및 관능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레드와인의 첨가가 양념돈육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양념돈육은 물을 25% 첨가한 것(대조구), 물 20%와 레드와인 5%를 첨가한 것(RW5), 물 15%와 레드와인 10%를 첨가한 것(RW10), 그리고 물 10%와 레드 와인 15%를 첨가한 것(RW15%) 등 네 종류의 양념돈육을 제조하였으며, 저장 중의 색깔, 경도, 탄력성, 씹힘성, pH, VBN 함량, TBARS 값, 총균수 및 관능특성을 실험하였다.

가설 설정

  • 6) Values with diferent smal and capital leter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nd column are significantly diferent at p<0.05, respective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념육은 품질 유지와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엇을 첨가하는가? 이때 사용되는 양념은 맛 부여, 풍미 향상, 연육 효과, 조직감 부여, 보수력 증진, 이취 제거 등의 효과가 있다(Jeon et al 2002, Oh DH 1986). 그러나 양념육은 품질 유지와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BHA, BHT, propyl galate 등의 합성 항산화제(Macarthy et al 201, Minusi et al 2003), sorbic acid 같은 합성 보존료 (Montesinos- Herero et al 2009), 질산염 및 아질산염 같은 합성발색제(Youn et al 207)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유해성이 밝혀지면서(Casen RG 1995, Shahidi et al 1992) 소비자들은 이를 기피하게 되고, 따라서 천연의 보존료나 항산화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양념육에 사용되는 양념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념육은 식육에 식염, 조미료, 향신료 등으로 양념하고, 냉장 또는 냉동한 것으로 식육 함량이 60% 이상이어야 한다고 식품공전(KFDA 2002)에 규정되어 있다. 이때 사용되는 양념은 맛 부여, 풍미 향상, 연육 효과, 조직감 부여, 보수력 증진, 이취 제거 등의 효과가 있다(Jeon et al 2002, Oh DH 1986). 그러나 양념육은 품질 유지와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BHA, BHT, propyl galate 등의 합성 항산화제(Macarthy et al 201, Minusi et al 2003), sorbic acid 같은 합성 보존료 (Montesinos- Herero et al 2009), 질산염 및 아질산염 같은 합성발색제(Youn et al 207) 등을 사용하고 있다.
와인이 나타내는 생리 활성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히 와인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페놀 화합물은 와인의 색깔, 떫은 맛, 쓴 맛 등의 관능적 품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García-Marino et al 2010) 생리 활 성기능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와인이 나타내는 생리 활성은 LDL-chole- sterol 산화 억제(Frankel et al 193), 심장질환 억제(Modun et al 2008), 동맥경화 억제(Feijóo et al 2008), 알츠하이머나 파킨슨 같은 신경계질환 억제(Bastianeto et al 2000), 항암 작용(Jang et al 1997), 항산화 작용(Alonso et al 2002), 혈소판 응고 억제, 항염증 작용, HDL-cholesterol 증가(Opie & Le- cour 2007, Szmitko & Verma 2005), 항균 작용(Daglia et al 2010) 등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생리 활성 기능을 가진 레드와인을 동물성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양념육에 사용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onso AM, Dominguez C, Domonico A, Guillen Barroso CG (2002)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power of red and white wines by a new electrochemical method and its correlation with polyphenolic content. J Agric Food Chem 50: 3112-3115. 

  2. Bastianetto S, Zheng WH, Quirion R (2000) Neuroprotective abilities of resveratrol and other constituents against nitric oxide-related toxicity in cultured hipopocampal neurons. Brit J Pharmacol 131: 711-720. 

  3. Buege AJ,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In Methods in Enzymology, Gleischer, S. and Parker, L. (ed.), Academic Press Inc., New York, Vol. 52, pp 302-310. 

  4. Cassen RG (1995) Use of sodium nitrite in cured meat today. Food Technol 49: 72-80. 

  5. Cho SH, Park BY, Yoo YM, Chae HS, Wyi JJ, Ahn CN, Kim JH, Lee JM, Kim YK, Yun SG (200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bulgogi containing ginseng saponi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30-36. 

  6. Choi WS, Lee KT (2002) Quality changes and shelf-life of seasoned pork with soy sauce or Kochujang during chill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240-246. 

  7. Daglia M, Stauder M, Papetti A, Signoretto C, Giusto G, Canepari P, Pruzzo C, Gazzani G (2010) Isolation of red wine components with anti-adhesion and anti-biofilm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Food Chem 119: 1182-1188. 

  8. Devatkal SK, Narsaiah K, Borah A (2010)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f kinnow rind, pomegranate rind and seed powders in cooked goat meat patties. Meat Sci 85: 155-159. 

  9. Feijoo O, Moreno A, Falque E (2008) Content of trans- and cis-resveratrol in Galician white and red wines. J Food Composition Anal 21: 608-613. 

  10. Frankel EN, Kanner J, German JB, Parks E, Kinsella JE (1993) Inhibition of oxida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by phenolic substances in red wine. Lancet 341: 454-457. 

  11. Garcia-Marino M, Hernandez-Hierro JM, Rivas-Gonzalo JC, Escribano-BailOn MT (2010) Colour and pigment composition of red wines obtained from co-maceration of Tempranillo and Graciano varieties. Anal Chem Acta 660: 134-142. 

  12. Hah KH, Joo ST, Park GB, Sung NJ, Lyou HJ, Park KH, Kim IS, Jin SK (2005) Changes in taste compounds of seasoned pork with Korean traditional sauces during aging. Korean J Anim Sci Technol 47: 857-866. 

  13. He J, Santos-Buelga C, Silva AM, Mateus N, de Freitas V (2006) Isol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new anthocyanin-derived yellow pigments in aged red wine. J Agric Food Chem 54: 9598-9603. 

  14. Hong YP, Lee EJ (2007) Effect of relative humidity under various packaging treatments on quality of grape fruit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Hort Sci Technol 25: 47-53. 

  15. Hood DE, Riordan EB (1973) Discoloration in pre-packed beef. J Food Technol 8: 333-348. 

  16. Huang B, He JS, Ban XQ, Zeng H, Yao XC, Wang YW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bovine and porcine meat treated with extracts from edible lotus(Nelumbo nucifera) rhizome knot and leaf. Meat Sci 87: 46-53. 

  17. Jang M, Cai L, Udeani GO, Slowing KV, Thomas CF, Beecher CWW, Fong HHS, Fransworth NR, Kinghorn AD, Metha RG, Moon RC, Pezzuto JM (1997)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 natural product derived from grapes. Science 275: 218-229. 

  18. Jeon MS, Sohn KH, Chae SH, Park HK, Jeon HJ (2002)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prepared under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2-38. 

  19. Jin SK, Kim IS, Hah KH, Park KH, Kim IJ, Lee JR (2006) Changes of pH, acidity, protease activity and microorganism on sauces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159-165. 

  20. Kim HJ, Hwang EY, Im NK, Park SK, Lee IS (2010) Antioxidant activities of Rumex crispus extracts and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pork.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45-451. 

  21. Kim IS, Jin SK, Kang SN, Hur IC, Choi SY (2009) Effect of olive-oil prepared tomato powder and refining lycopen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raw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9: 334-339. 

  22.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Code. Munyoungsa, Seoul. pp 212-251. 

  23. Lee SH, Jeong EJ, Jung TS, Park L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soning sauces prepared with Geranium thunbergii Sieb. et Zucc. and Crataegi fructus and the quality changes of seasoned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7-63. 

  24. Lindahl G, Enfalt AC, von Seth G, Joseli A, Hedebro-Velander I, Andersen HJ, Braunschweig M, Andersson L, Lundstrom K (2004) A second mutant allele (V1991) at the PRKAG3 (RN) locus-II. Effect on colour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Meat Sci 66: 621-627. 

  25. Macarthy TL, Kerry JP, Kerry JF, Lynch PB, Buckley DJ (2001) Assessment of the antioxidation potential of natural food and plant extracts in fresh and previously frozen pork patties. Meat Sci 57: 177-184. 

  26. Minussi RC, Rossi M, Bologna L, Cordi L, Rptilio D, Pastore GM, Duran N (2003) Evaluation compounds and total antioxidant potential of commercial wine. Food Chem 82: 409-416. 

  27. Modun D, Music I, Vukovic J, Brizic I, Katalinic V, Obad A, Palada I, Dujic Z, Boban M (2008) The increase in human plasma antioxidant capacity after red wine consumption is due to both plasma urate and wine polyphenols. Atherosclerosis 197: 250-256. 

  28. Montesinos-Herrero C, del Rio MA, Pastor C, Brunetti O, Palou L (2009) Evaluation of brief potassium sorbate dips to control postharvest Penicillium decay on major citrus species and cultivars. Postharvest Biol Technol 52: 117-125. 

  29. Oh DH (1986) Studies on the quality of cured meat in the processing. Ph D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pp 34-38. 

  30. Opie LH, Lecour S (2007) The red wine hypothesis: from concepts to protective signalling molecules. Eur Heart J 28: 1683-1693. 

  31. Park KS, Lee KS, Youn DH, Moon YH, Park HS, Jung IC (2007) Changes in the quality of ground pork loin adding olive and soybean oil during cold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96-901. 

  32. Savage AWJ, Warriss PD, Jolly PD (1990)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the proteins in drip from stored pig meat. Meat Sci 27: 289-303. 

  33. Shahidi F, Janita PK, Wanasundara PD (1992) Phenolic antioxidants. Critical Rev Food Sci Nutr 32: 67-103. 

  34. Stone H, Sidel ZL (1985) Sensory Evaluation Practice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p. 45. 

  35. Szmitko PE, Verma S (2005) Antiatherogenic potential of red wine: Clinician update.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88: 2023-2030. 

  36. Turner EW, Patnter WD, Montie EJ, Basserkt MW, Struck GM, Olson FC (1954) Use of 2-thiobarbituric acid reagent to measure rancidity of frozen pork. Food Technol 8: 326-330. 

  37. Youn DH, Moon YH, Jung IC (2007) Changes in quality of pork patty containing red wine cold storage. Korean J Life Sci 17: 91-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