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차 청태전 제조용 미생물의 분리
Isolating Microorganisms to Ferment Traditional Cheongtaejeon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2, 2011년, pp.190 - 197  

박정숙 (광주여자대학교 대체의학과) ,  조정일 (조선이공대학 식품영양조리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ungtaejeon is a traditional tea introduced in the age of the Three States and is the only "Don-cha" culture in the world that survived on the southwestern shore of Korea. To restore Chungtaejeon and to make the tea with consistent quality, the microorganisms involved in traditional type ferment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녹차의 과잉생산과 일부 녹차제품의 잔류농약 검출 파동과 겹쳐 중국 보이차를 필두로 한 발효차 선호 경향으로 녹차 소비량이 급감되고 있는 현실에서 외국산 발효차를 대체할 우수한 전통 발효차의 개발 및 상품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우수한 발효균을 적용한 청태전 차의 속성 발효와 균일한 품질의 차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청태전 차의 발효와 관련된 균을 분리하였고 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태전 차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태전이란 무엇인가? 이때 자연 발생적으로 생기는 효모, 곰팡이의 작용에 의해서 차의 맛과 향이 결정되며 대체적으로 발효차는 일반 녹차에 비해 맛이 부드러우며 누구나 부담없이 섭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효중에 증가 되는 페놀화합물(Heo 등 2007)과 플라보노이드류가 발효차의 기능성도 높여주므로 다양한 맛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증대와 함께 발효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청태전은 1940년대 까지 장흥, 강진, 해남 등 남해안 지방에서 제조되 던 한국 전통 고형차이다. 1940년 일본에 조선의 단차를 소개한 책에는 전차, 단차와 함께 청태전(靑苔錢)이란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諸岡 & 家入 1991).
우리나라에서 제조되는 차 대부분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제조되는 차의 대부분은 불 발효차인 녹차 이며 반 발효차의 경우에는 사찰을 중심으로 극히 일부 제조되고 있으며 상품화는 녹차에 비해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녹차의 과잉생산과 일부 녹차제품의 잔류농약 검출 파동과 겹쳐 중국 보이차를 필두로 한 발효차 선호 경향으로 녹차 소비량이 급감되고 있는 현실에서 외국산 발효차를 대체할 우수한 전통 발효차의 개발 및 상품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전통적 방식으로 제조한 3년차 및 5년차 청태전에서 미생물을 분리한 결과 모두 고초균만이 관찰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미생물에 대하여 colony 모양과 그람염색반응, 현미경 관찰 등을 바탕으로 이 균은 그람양성의 간균으로 전형적인 고초균으로 판단되었다. 이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미생물들은 사멸하고 고초균 만이 내성포자를 형성하여 잔존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고초균이 청태전 발효 미생물로서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諸岡 存, 家入一雄. 1991. Joseon Dynasty Tea and Zen. Borimsa. pp 3-35 

  2. Chun JU. 2009. Change in traits related to surface color of differently fermented tea products. J. Korean Tea Soc., 15(1):77-83 

  3. Heo BG, Park YS, Chon SU, Lee SY, Cho JY, Gorinstein S.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aerial parts of Korean salad plants. BioFactors, 30(2):79-89 

  4. Hong JG, Yang CS. 2006. Effect of putified green tea catechins on cytosolic phospholipase A2 and arachidonic acid release in human gastrointestinal cancer cell line. J. Food Sci. Biotechnol, 15(5):799-804 

  5. Jung EH. 2002. Haracteristics of Korean Fermented Tea Culture-Focusing on the Literature of Old Tea Folk Songs, Tea Poetry and Anthologies- Masters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and Industry Sungshin Women's University. pp 14-20 

  6. Jung YS. 1990. Korea tea culture. Broad flat rock. pp 210-215 

  7. Krieg NR, Holt JG. 1984.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pp 215- 232. 

  8. Lee KH. 2003. A study on the tea drinking manners and customs history in Korea. Masters degree thesis. Mokpo University. pp 11-12 

  9. Lee SO. 2006. A study on the Chungtaejeon tea. Masters degree thesis. Mokpo University. pp 1-10 

  10. Park YS, Lee MK, Ryu HH, Heo BG. 2008a. Content analysis of Chungtaejeon tea and green tea produced in Jangheung district. J. Korean Comm. Live Sci., 19(1):55-61 

  11. Park YS, Lee MK, Ryu HH, Heo BG. 2008b. Physical and chemical ingredient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Chung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3):391-396 

  12. Park YS, Lee MK, Ryu HH, Heo BG. 2008c. Rapid producing process of tea, Chungtaejeon with fermenter and its characteristics. J. Life Science & Natural Resources, 30(1):9-16 

  13. Park YS, Ryu HH, Lee MK, Park YJ, Heo BG. 2009a. Differential sensory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nents of Doncha tea prepared at different harvesting date. J. Korean Tea Soc., 15(2):87-92 

  14. Park YS, Ryu HH, Lee MK, Kim HJ, Heo BG. 2009b. Maturation effects of Don tea on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1):32- 37 

  15. Ryu HH. 2007. Changes in taste quality and main component in Chungtaejeo tea by plucking date. Master degree thesis. Mokpo University. pp 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