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속산화물 전극을 사용한 고 에너지밀도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 energy density hybrid capacitor using metal oxide electrode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28 no.3, 2011년, pp.329 - 334  

윤홍진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  신윤성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종대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an asymmetric hybrid capacitor were investigated using $LiFePO_4$ as the positive electrode and active carbon fibers(ACF) as the negative electrode. The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a nonaqueous hybrid capacitor were characterized by constant current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를 커패 시터의 양극으로 사용하여 슈퍼 커패시터의 낮은 에너지밀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해질과 바인더 종류를 변화 하면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을 제작하고 이에 따른 전기화학 성능변화를 관찰하고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전극소재로의 활용성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고용량의 금속산화물 소재를 커패시터 전극에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금속산화물 전극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LiFePO4를 커패 시터의 양극으로 사용하여 슈퍼 커패시터의 낮은 에너지밀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해질과 바인더 종류를 변화 하면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을 제작하고 이에 따른 전기화학 성능변화를 관찰하고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전극소재로의 활용성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를 제작하기 위하여 고용량의 금속산화물 소재를 커패시터 전극에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금속산화물 전극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LiFePO4를 커패시터의 양극으로 사용하여 슈퍼 커패시터의 낮은 에너지밀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해질과 바인더 종류를 변수로 하여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을 제작하고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 하여 금속산화물이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원리는? 화석연료의 고갈, 환경문제 등이 현안 문제로 대두되면서 신재생에 너지 개발 분야의 성장과 관련 기술력은 국력과 에너지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 되고 있다. 저에너지밀도 특성의 재래식 커패시터 (Condensor)의 단점을 보완한 고출력 충·방전이 가능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는 활성탄과 같이 상대적으로 전기 전도성이 좋으며 비표면적이 매우 큰 다공성 물질을 양극과 음극의 전극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전기 이중층 원리에 따라 축전되는 전하의 양을 극대화한 것이다 [2]. 에너지 저장장치로 주목받고 있는 이와 같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는 높은 충·방전 효율, 반영구적인 사이클 수명, 높은 출력 밀도를 제공한다[3,4].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제작에 대해, 최근 어떤 사례가 있는가? 이에 따라 고에너지 밀도와 고출력밀도 특성을 겸비한 신뢰 성과 안전성이 높은 차세대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개발이 진행되고 에너지의 지속성과 효율성에 있어서 에너지 밀도와 출력밀도의 두 측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요구 되어 지고 있다. 최근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제작 과정 중 한쪽 전극을 리튬염이 포함 되어 있는 금속산화물을 전극 물질로 사용하는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은 기존의 커패 시터 보다 높은 에너지밀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14].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는 전기자동차, 철도차량, 태양광 및 풍력발전설비등 기기의 에너지 절감과 자연 에너지의 효과적인 활용을 목적으로 한 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술로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고용량의 금속산화물 소재를 커패시터 전극에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금속산화물 전극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LiFePO4를 커패시터의 양극으로 사용하여 슈퍼 커패시터의 낮은 에너지밀도를 보완하고자 한 본 실험에서는 LiFePO4가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또한 전해질과 바인더 종류를 변수로 하여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을 제작하고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 하여 금속산화물이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iFePO4 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비축전용량은 0.87F/cm2 로 우수한 비축전용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높은 에너지 밀도 178 Wh/kg와 출력 밀도 1,068 W/kg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EABF4 전해질보다는 LiPF6 전해질에서 우수한 전기화학성능을 보였고, PTFE 바인더 보다는 PVDF 바인더에서 전기화학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 E. Conway, Transition from 'Supercapacitor' to 'Battery' Behavior i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J. Electrochem. Soc., 138, 1539(1991). 

  2. X. W. Huang, Z. W. Xie, X. Q. He, H. Z. Sun, C. Y. Tong, and D. M. Xi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using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pyrolytic treatment of sugar as their electrodes, Synth. Met., 135, 235(2003). 

  3. B. E. Conway, "Electochemical Superconducts: sientific fundmentals and technological appliaction", Kluwer Academic, New York, 105(1999). 

  4. C. Y. Kang, M. G. Kang, and J. D. Lee, Preparation of mesoporous carbon using ion exchange, J. Kor. Oil Chem. Soc., 26, 328(2009). 

  5. T. Aida, I. Murayama, K. Yamada, and M. Morita, Analyses of capacity loss and improvement of cycle performance for a high-voltage hybrid electrochemical capacitor, J. Electrochem. Soc., 154, 798(2007). 

  6. I. H. Kim, and K. B. Kim,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hydrous ruthenium oxide thin-film electrodes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 applications, J. Electrochem. Soc., 153, 383(2006). 

  7. M. S. Wu, Y. A. Huang, C. H. Yang, and J. J. Jow, Electrodeposition of nanoporous nickel oxide film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s, Int. J. Hydrogen Energy, 32, 4153(2007). 

  8. B. E. Conway, and W. G. Pell, Doublelayer and pseudocapacitance types of electrochemical capacitors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development of hybrid devices, J. Solid State Electrochem., 7, 637(2003). 

  9. S. W. Woo, K. Dokko, and K. Kanamura, Composite electrode composed of bimodal porous carbon and polypyrrole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s, J. Power Sources, 185, 1589(2008). 

  10. B. C. Kim, J. M. Ko, and G. G. Wallace, A novel capacitor material based on Nafion-doped polypyrrole, J. Power Sources, 177, 665(2008). 

  11. J. Zhang, L. B. Kong, B. Wang, Y. C. Luo, and L. Kang, In-situ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polyaniline composite films for electrochemical supercapacitors, Synth. Met., 159, 260(2009). 

  12. Y. G. Wang, and Y. Y. Xia, A new concept hybrid electrochemical surpercapacitor Carbon/ $LiMn_{2}O_{4}$ aqueous system, Electrochem. Commun., 7, 1138(2005). 

  13. S. B. Ma, K. W. Nam, W. S. Yoon, X. Q. Yang, K. Y. Ahn,K. H. Oh, and K. B. Kim, A novel concept of hybrid capacitor based on manganese oxide materials, Electrochem. Commun., 9, 2807(2007). 

  14. J. H. Yoon, H. J. Bang, J. Prakash, and Y. K. Sun, Comparative study of $Li[Ni_{1/3}Co_{1/3}Mn_{1/3}]O_{2}$ cathode material synthesized via different synthetic routes for asymmetric electrochemical capacitor applications, Matt. Chem. Phy., 110, 222(2008). 

  15. M. S. Lee, Y. S. Sing, and J. D. Lee, Effect of pore structure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EDLC, J. Kor. Oil Chem. Soc., 27, 310(2011). 

  16. H. J. Yoon, C. H. Lee, and J. D. Lee,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DLC with various activated carbons, J. Kor. Oil Chem. Soc., 28, 225(2011). 

  17. C. Y. Kang, Y. S. Sin, and J. D. Lee,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sopore carbon fiber for EDLC electrode, Korean Chem. Eng. Res., 49, 10(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