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에서 기능평가와 보행 및 균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 Between the Fugl-Meyer Motor Assessment and Walking and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1, 2011년, pp.59 - 69  

배원식 (상계백병원 물리치료실) ,  이건철 (경남정보대학 물리치료과) ,  남형천 (경북전문대학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correlations among Fugl-Meyer Assessment Scale, walking velocity, walking asymmetry and balance ability. Methods :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0 stroke patient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 the Sanggye Paik, Ilsan Pai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결과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변화하게 되면 상반된 결과를 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일반적 특성이 동일한 상황에서 결과를 제시하였다.
  • FM 평가도구의 임상적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행 속도, 비대칭 및 균형 정도를 구분하는 것보다는 동시에 고려하는 측정도구로서의 활용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특성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FM 평가도구와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 및 균형 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평가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물리치료를 받는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FM 평가도구와 보행 및 균형 능력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이란 무엇인가? 보행은 신체의 중력 중심이 좌우, 상하로 움직이면서 부드럽고 규칙적으로 공간에서 몸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관절들의 기능과 많은 근육들의 협응 능력이 필요하며 양 하지의 협조성을 요구하는 몸 전체의 복잡한 움직임이다(Ryerson과 Levit, 1997). 따라서 보행은 균형 능력, 하지 기능의 회복 정도, 일상생활 능력, 독립적 이동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다(Dettmann 등, 1987).
뇌졸중 환자는 운동 능력에 어떤 문제가 있는가?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는 비대칭적인 자세, 균형 반응의 장애, 보행 능력의 저하, 그리고 섬세한 기능을 수행하는 운동 능력 상실 등과 같은 많은 문제를 가지기 때문에 발병 전에 비해 일상생활 활동이 감소하게 되며, 사회적으로도 고립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Carr와 Shepherd, 1985; Mayo 등, 1996). 일상생활 활동이 감소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보행 능력의 제한과 관련이 있다(Guralnik 등, 2001).
보행 능력의 측정을 통해 어떤 것들을 평가할 수 있는가? 보행 능력의 측정은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으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보행 측정을 통해서 분속수(cadence), 보행주기(gait cycle), 입각기(stance time), 유각기(swing time), 활보장(stride length), 보폭(step length), 보행속도(velocity), 보행 수행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Bohannon, 1992; Friedman, 1990; Kollen 등, 2006). 양적 측면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보행 속도(walking speed)가 대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병조, 이현옥, 안소윤. 노력성 호흡운동에 의한 편마비환자의 보행 비대칭율 개선.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4):633-43. 

  2. 김유철, 박미연, 장순자 등.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대한재활의학회지. 1992;16(4):443-51. 

  3. 김진국. 급성 뇌경색 환자의 기능회복에 관한 예비적 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 1992;10(3):298-307. 

  4. 안승헌, 박창식, 이현주.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기능 수행 및 보행검사를 위한 평가도구의 비교: BBS, TUG, Fugl-Meyer, MAS-G, C-MGS, MBI.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7;14(3):64-71. 

  5. 이승원, 신원섭, 인태성 등. 부하자극이 만성뇌졸중환자의 정적 균형, 근육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9;21(1):19-25. 

  6. 이영정, 권오윤, 이충휘 등. 뇌졸중 환자에서 Fugl-Meyer 평가척도와 보행속도, Timed Up & Go 검사와의 상관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4;11(1):1-17. 

  7. 정한신, 윤정규. 편마비 환자의 골반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6;13(3):41-8. 

  8.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2006. 

  9. Anderson TP.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 complete stroke. In F. J. Kottke, & J. F. Lehmann (Eds.). Krusen'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4th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1990 

  10. Bohannon RW. Walking after stroke: comfortable versus maximum safe speed. Int J Rehabil Res. 1992;15(3):246-8. 

  11. Carr JH, Shepherd RB, Nordholm L et al.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1985;65(2):175-80. 

  12. Dettmann MA, Linder MT, Sepic SB. Relationships among walking performance, pos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assessments of the hemiplegic patient. Am J Phys Med. 1987;66(2):77-90. 

  13. Friedman PJ. Spatial neglect in acute stroke: the line bisection test. Scand J Rehabil Med. 1990;22(2):101-6. 

  14. Fugl-Meyer AR, Jaasko L, Leyman I et al.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erformance. Scand J Rehabil Med. 1975;7(1):13-31. 

  15. Garland SJ, Ivanova TD, Willems DA et al.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al mobility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2):1753-9. 

  16. Giulliani C, Genova PA, Purser KE et al. Limb trajectory in non-disabled subjects under two conditions of external constraint compared with non-paretic limb of subjects with hemiparesis. Neuroscience Abstracts. 1993;19:990. 

  17. Gladstone DJ, Black SE, Danells CJ. The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critical review of its measurement propertie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2;16(3):232-40. 

  18. Goldie PA, Evans OM, Matyas TA. Deficit and change in gait velocity during rehabilit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6;77(10): 1074-82. 

  19. Guralnik JM, Balfour JL, Ferrucci L et al. Progressive versus catastrophic loss of the ability to walk: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mobility loss. J Am Geriatr Soc. 2001;49(11):1463-70. 

  20. Harrt M, Geurts AC, Huidekoper SC et al.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 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 :886-95. 

  21. Hesse S, Bardeleben A, Chaler J et al. Influence of walking speed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and energy consumption during treadmill walking of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1):1547-50. 

  22. Hsu AL, Jan MH, Tang PF. Analysis of Impairments Influencing Gait Velocity and Asymmetry of Hemiplegic Patients After Mild to Modera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8):1185-93. 

  23. Kollen B, Kwakkel G, Lindeman E. Hemiplegic gait after stroke: Is measurement of maximum speed required? Arch Phys Med Rehabil. 2006;87(3):358-63. 

  24. Lennon S. Gait re-education based on the Bobath concept in two patients with hemiplegia following stroke. Phys Ther. 2001;81(3):924-35. 

  25. Pang MY, Harris JE, Eng JJ. A community-based upper-extremity group exercise program improves motor function and performance of functional activitie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6;87(1):1-9. 

  26. Mauritz KH. Gait training in hemiplegia. Eur J Neurol. 2002;9(1):23-9. 

  27. Mayo NE, Kirkland S, Neville D et al. Hospitalization and case-fatality rates for stroke in Canada from 1982 through 1991. The Canadian collaborative study group of stroke hospitalization. Stroke. 1996;27(7):1215-20. 

  28. Nadeau S, Arsenault AB, Bourbonnais D et al. Analysis of the clinical factors determining natural and maximal gait speeds in adults with a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1999;78(2):123-30. 

  29. de Oliveira CB, de Mediros IR, Forta NA et al. Balance control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main tools for evaluation. J Rehabil Res Dev. 2008;45(8):1215-26. 

  30. Richards CL, Dumas F, Malouin F et al. Gait velocity as an outcome measure of locomotor recovery after stroke. In: Craik RL, Oatis C. Gait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St-Louis; Mosby, 1995. 

  31. Roth EJ, Merbitz, C, Mroczek K et al. Hemiplegid gait. Relationships between walking speed and other temporal parameters. Am J Phys Med Rehabil. 1997;76(2):128-33. 

  32. Ryerson, S, Levit, K. Functional movement reeducation.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97. 

  33. Shelton FD, Reding M, Volpe BT. Motor impairment as a predictor of functional recovery and guide to rehabilitation treatment after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1;15(3):229-37. 

  34. Wall JC, Turnbull GI. Gait asymmetries in residual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1986;67(8): 55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