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정적, 동적 선자세 균형 대칭성과 보행 기능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atic, Dynamic Standing Balance Symmetry and Walking Function in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4 no.2, 2012년, pp.73 - 81  

김중휘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measure the standing balance symmetry of stroke patients using a force-plate with computer system,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nding balance symmetry and that of the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48 patients with st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를 선발하여 모집하고, 환자에 일반적 특성들을 얻기 위한 기초 평가들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들에게 실험의 절차와 진행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주었다. 먼저 모든 대상자들의 기능적 균형척도인 BBS와 기능적 보행 척도인 10 m 보행 속도, mMAS를 측정하여 자료를 얻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컴퓨터 시스템이 연결된 힘판 장치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선자세에서 신체중심이 나타내는 정적, 동적 균형의 특성 및 균형의 대칭성을 측정하고 이를 기능적 균형과 보행 능력을 반영하는 척도들과 비교하여 뇌졸중 환자의 정적 및 동적 균형의 대칭성과 기능적 균형과 보행 능력과의 상관관계의 특성들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들이 기능적 활동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상당한 불편과 어려움을 느낀 이유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은 뇌졸중 이후 발생하는 운동적, 감각적, 지각적, 인지적인 문제들로 인해 선자세 균형을 제어하는 데 있어 상당한 어려움 가지며, 균형 수행과 보행 수행 시 환측으로 체중을 옮기는 능력에 문제를 보인다. 이로 인해 뇌졸중 환자들은 기능적 활동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상당한 불편과 어려움을 느낀다.
부동성이란 무엇인가? Nichols2는선자세균형의기능은선자세의대칭성(symmetry), 부동성(steadiness),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이 상호 의존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이라고 하였으며, Nardone 등3은 대칭성은 하지 간의 동일한 체중 분배이고, 부동성은 두 발 사이에 압력 중심을 유지한 상태에서 최소의 동요를 가지고 선택된 자세를 유지하는 능력이며, 동적 안정성은 외부의 흔들림에 대하여 자세 유지를 위하여 반응하거나 보행처럼 스스로 신체중심을 흔드는 과정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그들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가 있는 환자들은 이러한 모든 균형의 요소들이 비정상이며, 이들 중 한 가지라도 기능 소실이 발생하게 된다면 다른 모든 균형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
동적 안정성이란 무엇인가? Nichols2는선자세균형의기능은선자세의대칭성(symmetry), 부동성(steadiness),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이 상호 의존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이라고 하였으며, Nardone 등3은 대칭성은 하지 간의 동일한 체중 분배이고, 부동성은 두 발 사이에 압력 중심을 유지한 상태에서 최소의 동요를 가지고 선택된 자세를 유지하는 능력이며, 동적 안정성은 외부의 흔들림에 대하여 자세 유지를 위하여 반응하거나 보행처럼 스스로 신체중심을 흔드는 과정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그들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가 있는 환자들은 이러한 모든 균형의 요소들이 비정상이며, 이들 중 한 가지라도 기능 소실이 발생하게 된다면 다른 모든 균형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ochstenbach J, Donders R, Mulder T et al. Long-term outcome after stroke: a disability-orientated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996;19(3):189-200. 

  2. Nichols DS. Balance retraining after stroke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Phys Ther. 1997;77(5):553-8. 

  3. Nardone A, Godi M, Artuso A et al. Balance rehabilitation by moving platform and exercises in patients with neuropathy or vestibular deficit.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2):1869-77. 

  4. Yu E, Abe M, Masani K et al. Evaluation of postural control in quiet standing using center of mass acceleration: comparison among the young, the elderly, and people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8;89(6):1133-9. 

  5. Mansfield A, Danells CJ, Inness E et al. Between-limb synchronization for control of standing bal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Clin Biomech. 2011;26(3):312-7. 

  6. Januario F, Campos I, Amaral C. Rehabilitation of postural stability in ataxic/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Disability & Rehabilitation. 2010;32(21):1775-9. 

  7. Srivastava A, Taly AB, Gupta A et al. Post-stroke balance training: role of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technique. J Neurol Sci. 2009;287(1-2):89-93. 

  8. Carver T, Nadeau S, Leroux A. Relation between physical exertion and postural stability in hemiparetic participants secondary to stroke. Gait Posture. 2011;33(4):615-9. 

  9. Sackley CM. The relationships between weight-bearing asymmetry after stroke,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1990;6(4):179-85. 

  10. Rode G, Tiliket C, Boisson D. Predominance of postural imbalance in left hemiparetic patients. Scand J Rehabil Med. 1997;29(1):11-6. 

  11. Manor B, Hu K, Zhao P et al. Altered control of postural sway following cerebral infarction: a cross-sectional analysis. Neurology. 2010;74(6):458-64. 

  12. Nardone A, Godi M, Grasso M et al. Stabilometry is a predictor of gait performance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patients. Gait Posture. 2009;30(1):5-10. 

  13. Caldwell C, Macdonald D, Macneil K et al. Symmetry of weight distribution in normals and stroke patients using digital weigh scales.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1986;2(3):109-16. 

  14. Dickstein R, Dvir Z, Ben Jehosua E et al. Automatic and voluntary lateral weight shifts in rehabilitation of hemiparetic patients. Clin Rehabil. 1994;8(2):91-9. 

  15. Lee WA, Deming L, Sahgal V. Quantitative and clinical measures of static standing balance in hemiparetic and normal subjects. Phys Ther. 1988;68(6):970-6. 

  16. de Oliveira CB, De Medeiros I, Frota N et al. Balance control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Main tools for evaluation. J Rehabil Res Dev. 2008;45(8):1215-26. 

  17. Ikai T, Kamikubo T, Takehara I et al. Dynamic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2003;82(6):463-9. 

  18. Mansfield A, Danells CJ, Inness E et al. Between-limb synchronization for control of standing bal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Clin Biomech. 2011;26(3):312-7. 

  19. Ibuki A, Bach T, Rogers D et al. The effect of tone-reducing orthotic devices on soleus muscle reflex excitability while standing in patients with spasticity following stroke. Prosthet Orthot Int. 2010;34(1):46-57. 

  20. Di Fabio RP, Badke MB. Influence of cerebrovascular accident on elongated and passively shortened muscle responses after forward sway. Phys Ther. 1988;68(8):1215-20. 

  21. Cheng JS, Yang YR, Cheng SJ et al. Effects of combining electric stimulation with active ankle dorsiflexion while standing on a rocker board: A pilot study for subjects with spastic foot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10;91(4):505-12. 

  22. Chern JS, Lo CY, Wu CY et al. Dynamic postural control during trunk bending and reaching in healthy adults and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2010;89(3):186-97. 

  23. Garland SJ, Stevenson TJ, Ivanova T. Postural responses to unilateral arm perturbation in young, elderly, and hemiplegic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0):1072-7. 

  24. Sackley C, Baguley B.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with the balance performance monitor: two single-case studies. Clin Rehabil. 1993;7(3):189-95. 

  25. Lee DJ, Kim SY, Song C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alance test, functional movement, visual perception test and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9;21(2);39-45. 

  26. Smith PS, Hembree JA, Thompson ME. Berg balance scale and functional reach: determining the best clinical tool for individuals post acute stroke. Clin Rehabil. 2004;18(7):811-8. 

  27.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Walking speed over 10 metres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 Rehabil. 2001;15(4):415-21. 

  28. Loewen SC, Anderson BA. Predictors of stroke outcome using objective measurement scales. Stroke. 1990;21(1):78-81. 

  29. Kim JH, Kim CS. Effects of plastic AFO and shoes on static standing balance in hemiplegic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1;13(2):381-97. 

  30. Kim JH, Kim CS.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standing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5;17(3):351-67. 

  31. Bohannon RW, Larkin PA. Lower extremity weight bearing under various standing conditions in independently ambulatory patients with hemiparesis. Phys Ther. 1985;65(9):1323-5. 

  32. Geurts AC, de Haart M, van Nes IJ et al. A review of standing balance recovery from stroke. Gait Posture. 2005;22(3):267-81. 

  33. Cameron D, Bohannon RW, Garrett GE et al. Physical impairments related to kinetic energy during sit-to-stand and curb-climbing following stroke. Clin Biomech. 2003;18(4):332-40. 

  34. Desrosiers J, Noreau L, Rochette A et al. Predictors of handicap situations following post-stroke rehabilitation. Disability & Rehabilitation. 2002;24(15):774-85. 

  35. Forster A, Young J. Incidence and consequences offalls due to stroke: a systematic inquiry. BMJ. 1995;311(6997):83-6. 

  36. Nyberg L, Gustafson Y. Patient falls in stroke rehabilitation: a challenge to rehabilitation strategies. Stroke. 1995;26(5):838-42. 

  37. Robinson CA, Shumway-Cook A, Ciol MA et al. Participation in community walking following stroke: subjective versus objective measures and the impact of personal factors. Phys Ther. 2011;91(12):1865-76. 

  38. Pollock C, Eng J, Garland S. Clinical measurement of walking balance in people post stroke: a systematic review. Clin Rehabil. 2011;25(8):693-708. 

  39. Kim HW, Kim SM, Park RJ. The effects of task-oriented functional training on stand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3;15(4):923-36. 

  40. Di Fabio RP, Badke MB, McEvoy A et al. Kinematic properties of voluntary postural sway in patients with unilateral primary hemispheric lesions. Brain Res. 1990;513(2):248-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