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의 농도에 따른 DOPC 리포좀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DOPC Liposome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7 no.1, 2011년, pp.55 - 60  

원두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김선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임규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박수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DOPC 리포좀의 안정성에 대한 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증류수, phosphate buffer, 그리고 phosphate bufferd saline으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염의 추가에 따른 리포좀의 입자크기 및 제타전위 등 기본적인 물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에 앞서 희석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리포좀을 각각 제조시 용매로 40배와 80배로 희석하였고 그 결과 같은 용매로 희석시킬 경우 40배 희석까지는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증류수로 제조한 리포좀을 증류수, phosphate buffer, 그리고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희석하였고, phosphate buffer로 제조한 리포좀은 phosphate buffer, 그리고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희석하여 염 농도 증가에 따른 리포좀의 입자크기 및 제타전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리포좀 분산액 내에 존재하는 염의 양이 증가할수록 리포좀의 입자크기가 약간씩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제타전위 또한 염의 양이 증가할수록 0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리포좀의 입자크기와 제타전위는 리포좀의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좋은 요소이며 또한 리포좀 제조시의 용매와 다른 조건의 염농도는 리포좀 입자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DOPC liposomes were prepared with distilled water, phosphate buffer and phosphate buffered sali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lt on the stability of DOPC liposome. The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like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of liposome were measured after adding the s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리포좀이 실제 생체 내 시스템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는지, 불안정하다면 그에 대한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염이 리포좀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리포좀을 증류수, phosphate buffer, 그리고 phosphate bufferd saline으로 제조 및 희석하여 리포좀의 입자크기 및 제타전위 등 기본적인 물성에 변화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 리포좀 분산액을 희석함으로써 발생하는 입자크기 및 제타전위 등의 변화를 통하여 리포좀의 안정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증류수, phosphate buffer, 그리고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제조한 리포좀을 각각 40배, 80배 희석한 후 입자크기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질세포간 지질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각질층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bricks and mortar'로 설명된다. 각질층은 크게 각질세포와 각질세포간 지질로 구성되며, 각질세포간 지질은 주로 인지질,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등으로 구성되며 세포막과 유사한 전형적인 이중막(Bilayer)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중막 구조의 피부지질은 생화학적․물리적 피부 방어 기능을 수행하는 일차 방어선으로 피부 건강을 좌우하게 된다[1-3].
DOPC 리포좀의 안정성에 대한 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염의 추가에 따른 기본적인 물성 변화를 알아본 결과는 무엇인가? 증류수로 제조한 리포좀을 증류수, phosphate buffer, 그리고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희석하였고, phosphate buffer로 제조한 리포좀은 phosphate buffer, 그리고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희석하여 염 농도 증가에 따른 리포좀의 입자크기 및 제타전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리포좀 분산액 내에 존재하는 염의 양이 증가할수록 리포좀의 입자크기가 약간씩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제타전위 또한 염의 양이 증가할수록 0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리포좀의 입자크기와 제타전위는 리포좀의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좋은 요소이며 또한 리포좀 제조시의 용매와 다른 조건의 염농도는 리포좀 입자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리포좀의 특징은? 따라서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고 활성 물질을 피부로 전달하기 위한 피부 전달시스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4-9], 그 대표적인 예가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 리포좀이다. 리포좀은 인지질이 수용액 상에서 자발적으로 형성하는 생체막과 유사한 지질 이중층의 소포체이며 그 내부 공간에는 친수성 물질들을 담지할 수 있으며, 이중막 사이에는 소수성 물질들을 담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리포좀은 인지질로 이루어져 생체 내에서 분해가 가능하며 독성이 적고, 리포좀의 지질, 표면전하, 콜레스테롤의 함량 등에 따라 크기 및 형태 등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쉽게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리포좀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다[1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 J. Cork, The importance of skin barrier function. J. Dermatol. Treat., 8, S7 (1997). 

  2. M. Matsumoto, H. Sugiura and M. Uehara, Skin barrier function in patients with completely healed atopic dermatitis. J. Dermatol. Science, 23(3), 178, (2000). 

  3. H. Clive, The stratum corneum: structure and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Dermatologic Therapy, 17, 6 (2004). 

  4. Skin delivery systems: transdermals, dermatologicals, and cosmetic actives, Wiley-blackwell, United states, New Jersey (2006). 

  5. N. Aarti, N. K. Yogeshvar, and H. G. Richard, Transdermal drug delivery: overcoming the skin's barrier function, Pharmaceutical Science & Technology Today, 3(9), 318 (2000). 

  6. C. S. Amnon and B. Shafir, Transdermal drug delivery using microemulsion and aqueous systems: Influence of skin storage conditions on the in vitro permeability of diclofenac from aqueous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11(1), 55 (2006). 

  7. M. A. E. Mustafa, Y. A. Ossama, F. N. Viviane, and M. K. Nawal, Deformable liposomes and ethosomes: Mechanism of enhanced skin delivery,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22(1), 60 (2006). 

  8. M. A. E. Mustafa, Y. A. Ossama, F. N. Viviane, and M. K. Nawal, Lipid vesicles for skin delivery of drugs: Reviewing three decades of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32(1), 1 (2007). 

  9. B. Godin and E. Touitou, Transdermal skin delivery: Predictions for humans from in vivo, ex vivo and animal model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59(11), 1152 (2007). 

  10. D. Meisner and M. Mezei, Liposome ocular delivery system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16(1), 75 (1995). 

  11. A. A. Gabizon, Liposome circulation time and tumor targeting: implications for cancer chemotherapy,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16(2), 285 (1995). 

  12. H. Y. Yu and H. M. Liao, Triamcinolone permeation from different liposome formulations through rat skin in vitro,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127(1), 1 (1996). 

  13. Y. Maitani, Y. Aso, A. Yamada, and S. Yoshioka, Effect of sugars on storage stability of lyophilized liposome/DNA complexes with high transfection efficiency,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56(1), 69 (2008). 

  14. F. Nacka, M. Cansell, and B. Entressangles, In vitro behavior of marine lipid-based liposomes. Influence of pH, temperature, bile salts, and phospholipase A2, Lipids, 36(1), 35 (2001). 

  15. W. W. Sulkowski, D. Pentak, K. Nowak, and A. Sulkowska,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cholesterol content and pH on liposome stability, Journal of Molecular Structure, 744(3), 73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