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기체 상태방정식을 적용한 열압축기 내부유동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for the Internal Flow of Thermal Vapor Compressor with real gas equation of state 원문보기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35 no.2, 2011년, pp.216 - 223  

강위관 ((주) Fluid & Thermal Engineering) ,  최두열 ((주) Fluid & Thermal Engineering) ,  신지영 (동의대학교 기계공학과) ,  김무근 (인제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열압축기는 고압 증기를 이용하여 저압 증기를 중간압으로 이송하는 일종의 이젝터이다. 이젝터에 대한 기존의 수치해석 연구는 대부분 작동유체를 이상기체로 취급하고 있으나 상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상기체 거동에서 크게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대신 Redlich-Kwong 방정식을 적용하여 열압축기 내부 유동을 수치 해석하였고, realizable k-${\epsilon}$ 모델과 SST k-${\omega}$ 모델을 비교한 결과 SST k-${\omega}$ 모델이 shock diamond 패턴과 박리 및 난류경계층을 잘 예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기체 상태방정식을 사용한 경우가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디퓨저 입구 부분과 디퓨저 목부분에서 에너지 손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디퓨저 출구부분에서 shock train에 의한 압력상승은 상대적으로 적으나 pseudo shock에 의한 압력상승은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VC is a kind of ejector which entrains low pressure working fluid by using the high pressure working fluid. While most papers relating with ejectors treat the working fluid as an ideal gas for convenience, the fluid doesn't behave as the ideal gas when phase change occurs. In this study, numer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주어진 시스템에 대하여 선행연구에서 주로 사용한 realizable k- ε모델과 SST k- ω 모델을 적용하여 어느 모델이 실제유동을 보다 잘 예측하는 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압축기는 무엇인가? 열압축기는 고압 증기를 이용하여 저압 증기를 중간압으로 이송하는 일종의 이젝터이다. 이젝터에 대한 기존의 수치해석 연구는 대부분 작동유체를 이상기체로 취급하고 있으나 상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상기체 거동에서 크게 벗어날 수 있다.
담수화기술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담수화기술은 크게 상변화(phase change)의 유무에 따라서 증발법과 역삼투법(reverse osmosis)으로 구분한다. 이중에서 증발법에 의한 생산량이전 세계 담수 생산량의 7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2005년 이전에 설치된 대부분의 증발식 담수 설비는 다단 플래쉬(multi-stage flash; MSF)방식이다.
Redlich-Kwong 방정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경계조건에서 내부 유동을 수치 해석한 결과는?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realizable-k- ε 모델과 SST k- ω 모델을 비교해 본 결과 SST k- ω모델이 상대적으로 shock diamond 패턴과 박리 및 난류경계층을 잘 예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동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 실제기체 상태방정식을 사용한 경우가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디퓨저 입구 부분과 디퓨저 목부분에서 에너지 손실이 많았다. 디퓨저 출구 부분에서 shock train에 의한 압력상승은 상대적으로 적으나 의사충격파에 의한 압력상승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실제기체 상태방정식을 사용한 경우 디퓨저 목에서 후단의 역압력 구배를 이겨낼 정도의 운동에너지가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사용한 경우보다 적기 때문에 낮은 압력에서 임계압력 지점이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UN water, "Coping with water scarcity, A strategic issue and priority system wide action", August 2006. 

  2. T. Ueda.,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eam ejectors", Jap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4, no. 13, pp. 124-130, 1961. 

  3. K. Matsuo, K. Sasaguchi, K. Tasaki and H. Mochizuki, "Investigation of supersonic air ejectors, Part 1. Perpormance in the case of zerosSecondary flow", Bulletin of the JSME, Series B, vol. 24, no. 198, pp. 2090-2097, 1981. 

  4. K. Matsuo, K. Sasaguchi, K. Tasaki and H. Mochizuki, "Investigation of supersonic air ejectors, Part 2. Effects of throat-area-ratio on ejector performance", Bulletin of the JSME, Series B, vol. 25, no. 210, pp. 1898-1905, 1982. 

  5. Amel Hemidi, Francois Henry, Sebastien Leclaire, Jean-Marie Seynhaeve, and Yann Bartosiewicz, "CFD analysis of a supersonic air ejector. Part I: Experimental validation of single-phase and twophase operation",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9, pp. 1523-1531, 2009. 

  6. Amel Hemidi, Francois Henry, Sebastien Leclaire, Jean-Marie Seynhaeve, and Yann Bartosiewicz, "CFD analysis of a supersonic air ejector. Part II: Relation between global operation and local flow feature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9, pp. 2990-2998, 2009. 

  7. T. Sriveerakul, S. Aphornratana, and K. Chunnanond, "Performance prediction of steam ejector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Part 1. validation of the CFD res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al Sciences, vol. 46, pp. 812-822, 2007. 

  8. T. Sriveerakul, S. Aphornratana, and K. Chunnanond, "Performance prediction of steam ejector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Part 2. flow structure of a steam ejector influenced by operating pressures and geome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al Sciences, vol. 46, pp. 823-833, 2007. 

  9. K. Pianthong, W. Seehanam, M. Behnia, T. Sriveerakul, and S. Aphornratana,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of ejector refrigeration system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echnique",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48, pp. 2556-2564, 2007. 

  10. K. Matsuo, Y. Miyazato, and Heuy-Dong Kim, "Shock train and pseudo- shock phenomena in internal gas flows",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s, vol. 35, pp. 33-100, 1999. 

  11. Y. Bartosiewicz, Zine Aidoun, P. Desevaux, Yves Mercadier, "Numer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supersonic eje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26, pp. 56-70, 2005. 

  12. P. Desevaux., "A method for visualizing the mixing zone between two co-axial flows in an ejector", Optics and Lasers in engineering, vol. 35, pp. 317-32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