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nc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3, 2011년, pp.1260 - 1269  

김주성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 갑상선 특이적 증상, 자가간호이행도, 불안 및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수술 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154명의 갑상선 유두암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및 다중회귀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 평균점수는 2.72점이었고 사회/가족상태 영역에서 가장 낮았으며 연구대상자들의 대부분은 피로, 추위를 견디지 못함, 변덕스런 기분변화 등의 갑상선 특이적 증상을 호소하였다. 자가간호이행 참여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갑상선호르몬제 복용(100%)이었으며 외래방문을 통한 추후관리는 두 번째로 높았다(99.4%). 불안은 45.3점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나 대상자의 63%가 우울한 상태로 판정되었다.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은 갑상선 특이적 증상, 불안, 우울과 부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r=-.573, p<.001; r=-.739, p<.001; r=-.742, p<.001) 갑상선 특이적 증상, 불안, 우울이 수술후 삶의 질 정도를 64.9% 설명하였다. 이에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건강관리전문가들은 장기간의 암치료과정에서 느끼는 부정적 정서를 완화시키고 지지체계를 개발하며 신체적, 심리적 증상관리를 돕는 실무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QoL), thyroid specific symptoms(TSSs), self care compliance,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ncer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postoperative QoL. 154 patients were surveyed using struc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 갑상선 특이적 증상, 자가간호이행도, 불안 및 우울수준을 파악한 후 그들의 수술 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이나 친구와의 관계 및 지지와 관련된 사회/가족상태 영역의 삶의 질이 가장 낮았다.
  • 암과 같은 만성 질환상태는 삶의 질을 위협하며 건강관리전문가들의 주요과제는 환자들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을 최대로 유지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보장하고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급증하는 갑상선암환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 우선 그들이 수술 후 경험하는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갑상선암 사망률이 높은 암발생률에 반해 0.2%에 불과한 이유는? 높은 암발생률에 반하여 갑상선암 사망률은 암으로 인한 사망률의 0.2%에 불과한데[2] 이는 진단기술의 발달로 인해 갑상선 우연종의 조기발견이 증가하고 치료에 잘 반응하는 갑상선 유두암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3]. 따라서 갑상선암은 치료가 쉬운 비교적 간단한 암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삶의 질은 어떻게 인식되는가? 삶의 질은 개인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평가로 인식된다[7]. 그러므로 수술 후 갑상선암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각 개인의 반응이 그들의 삶의 질과 연계됨을 알 수 있다.
갑상선암의 치료와 관리과정중에 환자가 경험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갑상선암의 치료예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 비해 실제 갑상선 암환자들은 장기간의 질병관리과정에서 겪는 신체적, 심리적 어려움들로 인해 그들의 삶의 질이 위협 받고 있다. 그러므로 갑상선암의 치료와 관리과정중에 환자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가족과 일반인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갑상선 암환자 스스로가 본인의 질병상태를 어떤 태도로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평가하여 그들이 인지하는 건강문제와 간호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 국가암정보센터-암통계-암발 생률, Retrieved December 6, 2010, from http://www.cancer.go.kr/cms/statics/incidence/index.html#2 

  2. Tagay, S., Herpertz, S., Langkafel, M., Erim, Y., Freudenberg, L., Schopper, N., Bockisch, A., Senf, W., & Gorges, 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xiety and depression in thyroid cancer patients under short-term hypothyroidism and TSH-suppressive levothyroxine treatment",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Vol. 153, No. 6, pp. 755-763, 2005. 

  3. 이승훈, 김태용, 류진숙, 공경엽, 김원배, 김성철, 홍 석준, 송영기, "1개 병원 갑상선 암환자 특성의 추이 분석", 대한내분비학회지, 제23권, 제1호, pp.35-43, 2008. 

  4. 이가희, 박영주, 궁성수, 김정한, 나동규, 류진숙, 박소연, 박인애, 백정환, 송영기, 이영돈, 이재태, 이정현, 정재훈, 정찬권, 최승호, 조보연, "대한갑상선학회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개정안",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제54권, pp.8-36, 2011. 

  5. Tagay, S., Herpertz, S., Langkafel, M., Erim, Y., Bockisch, A., Senf, W., & Gorges, 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anxiety in thyroid cancer patients", Quality of Life Research, Vol. 15, No. 4, pp. 695-703, 2006. 

  6. Huang, S. M., Lee, C. H., Chien, L. Y., Liu, H. E., & Tai, C. J., "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47, No. 5, pp. 492-499, 2004. 

  7. 한림의대 가정의학교실 편, "삶의 질 측정의 이론과 실제", 고려의학, 1999. 

  8. Schultz, P. N., Stava, C., & Vassilopoulou-Sellin, R., "Health profiles and quality of life of 518 survivors of thyroid cancer", Head & Neck, Vol. 25, No. 5, pp.349-356, 2003. 

  9. Vassilopoulou-Sellin, R., "Low-risk papillary thyroid cancer: treatment options and patient perceptions", Oncology, Vol. 23, pp. 591-592, 2009. 

  10. Dietlein, M., & Schicha, H., "Lifetime follow-up care is necessary for all patients with treated thyroid nodules",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Vol. 148, No. 3, pp. 377-379, 2003. 

  11. Crevenna, R., Zettinig, G., Keilani, M., Posch, M., Schmidinger, M., Pirich, C., Nuhr, M., Wolzt, M., Quittan, M., Fialka-Moser, V., & Dudczak, R.,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non-metastatic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under thyroxine supplementation therapy", Supportive care in cancer, Vol. 11, No. 9, pp.597-603, 2003. 

  12. Cella, D. F., Tulsky, D. S., Gray, G., Sarafian, B., Bonomi, A., Silberman, et al.,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11, pp. 570-579, 1993. 

  13.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Retrieved from FACIT Web site: http://www.facit.org. 

  14. Lee E. H., Chun M., Kang S., & Lee H. J., "Validation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 (FACT-G) scale for measur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Japane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 34, No. 7, pp. 393-399, 2004. 

  15. Luster, M., Clarke, S. E., Dietlein, M., Lassmann, M., Lind, P., Oyen, W. J., Tennvall, J., & Bombardieri, E., "Guidelines for radioiodine therapy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Europ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Vol. 35, No. 10, pp.1941-1959, 2008. 

  16. Roberts, K. J., Lepore, S. J., & Urken, M. L., "Quality of life after thyroid cancer: an assessment of patient needs and preferences for information and support", Journal of Cancer Education, Vol. 23, No. 3, pp. 186-191, 2008. 

  17. Innes, S., & Payne, S., "Advanced cancer patients' prognostic information preferences: a review", Palliative Medicine, Vol. 23, pp. 29-39, 2009. 

  18. 국립암센터 갑상선클리닉, "갑상선암 100문 100답", 국립암센터, 2009. 

  19. Spielberger, C.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 comprehensive bibliography (2n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9. 

  20. 최명애, 유재희, 조경숙, 이경숙, 송라윤, 채영란, 김 인자, "운동효과 측정도구집", 군자출판사, 2008. 

  21. Andresen E. M., Malmgren J. A., Carter W. B., Patrick D. L., "Screening for depression in well older adults: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 10, No. 2, pp. 77-84, 1994. 

  22. 박인숙, 송라윤, 안숙희, 소희영, 김현리, 주경옥, "관상동맥질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6호, pp.866-873, 2008. 

  23. 김정선, 문빛나, "전립선비대증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2호, pp.287-297, 2010. 

  24. Zabalegui, A., Sanchez, S., Sanchez, P. D., Juando, C., "Nursing and cancer support group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51, No. 4, pp. 369-381, 2005. 

  25. 송창면, 김희진, 권택균, 성명훈, 김광현, 하정훈, "갑상선 수술 환자의 입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환자의 질병에 대한 이해도, 관심 사항 및 회복도 조사",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제53권, pp.557-563, 2010. 

  26. Hirsch D., Ginat M., Levy S., Benbassat C., Weinstein R, Tsvetov G, Singer J, Shraga-Slutzky I, Grozinski-Glasberg S, Mansiterski Y, Shimon I, Reicher-Atir R, "Illness perception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epithelial cell thyroid cancer", Thyroid, Vol. 19, No. 5, pp. 459-465, 2009. 

  27. 민효숙, 박선영, 임정선, 박미옥, 원효진, 김종임, "유방암 생존자의 재발방지 행위와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2호, pp.187-194, 2008. 

  28. Botella-Carretero, J. I. , Galan J. M., Caballero C., Sanco J., Escobar-Morreale, H.F., "Quality of life and psychometric functionalit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Endocrine-Related Cancer, Vol. 10, pp.601-610, 2004. 

  29. McMillan, C. V., Bradley, C., Woodcock, A., Razvi, S., & Weaver, J. U., "Design of new questionnaires to measure quality of life and treatment satisfaction in hypothyroidism", Thyroid, Vol. 14, No. 11, pp. 916-925, 2004. 

  30. 박진희, 전은영, 강미영, 정용식, 김구상, "유방암 생존자의 신체적 증상, 정서적 증상과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5호, pp.613-621, 2009. 

  31. 김주성, 손현미, "갑상선암환자의 방사성요오드 치료 경험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4935-4944,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