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정신장애 질병 섬망의 주요 위험인자와 오즈비
Odds ratio of major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lirium by Bayesian network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2 no.2, 2011년, pp.217 - 225  

이제영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  최영진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신장애 질병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질병과 관련된 위험인자들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위험비는 의학에서 주된 관심이 된다. 따라서 우리는 정신장애 질병과 위험인자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오즈비를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정신장애질병인 섬망자료에 적용하여 선별된 주요 위험인자들의 오즈비를 찾았다. 특히 선별된 주요 위험인자들이 단일로 존재할 때의 오즈비와 위험인자가 복합적으로 존재할 때의 오즈비를 통하여 섬망에 가장 위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규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fi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ental disorder. Also the hazard ratio that represent the relationship of risk factors with illness is main interest in medicine. Thus we used odds ratio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disorder and risk factors. On this paper, when w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전 연구에서는 위험인자가 존재할 때 질병이 발병할 확률값을 통하여 질병과 관련된 위험인자들 간 연관성을 밝혔다면 이번 연구에서는 위험비를 사용하여 질병과 위험인자 간 연관성을 밝힌다 (이용원, 2004).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섬망과 관련된 베이지안 네트워크에 의한 7가지 주요 위험인자와 섬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측도로 오즈비 (odds ratio)를 사용하여 위험비를 밝히고자 한다. 특히 주요 위험인자들이 단일로 존재할 때의 오즈비와 위험인자가 복합적으로 존재할 때의 오즈비를 통해서 섬망에 가장 위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규명한다.
  • 본 논문은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법을 정신장애 질병인 섬망 자료에 적용하여 선별된 7가지 주요 위험 인자들과 섬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오즈비를 구하여 섬망에 가장 위험을 많이 끼치는 위험인자를 규명한 것이다. 먼저 단일의 주요 위험인자 중에서 위험도가 높게 나타난 상위 3개의 위험인자는 대사이상, 뇌졸중, 신장수치 이상이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섬망과 관련된 베이지안 네트워크에 의한 7가지 주요 위험인자와 섬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측도로 오즈비 (odds ratio)를 사용하여 위험비를 밝히고자 한다. 특히 주요 위험인자들이 단일로 존재할 때의 오즈비와 위험인자가 복합적으로 존재할 때의 오즈비를 통해서 섬망에 가장 위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규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 증세가 나타날 경우 어떤 증상을 보이게 되는가? 정신장애 질병인 섬망은 혼동 상태와 심한 과다행동과 생생한 환각, 초조함과 떨림 등이 자주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섬망 증세가 나타나면 집중력과 지각력에 장애가 와서 기억장애, 착각, 환각, 불면증이나 악몽 증상 등을 보이며 사람들과 대화할 때 안절부절 하거나 과잉행동을 한다. 또한 섬망은 기저 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된 정신장애 질병이다.
섬망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다양한 정신장애 질병 중에서도 가역적인 기질성 정신장애인 섬망 (delirium)이라는 질병에 관심을 가졌다. 정신장애 질병인 섬망은 혼동 상태와 심한 과다행동과 생생한 환각, 초조함과 떨림 등이 자주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섬망 증세가 나타나면 집중력과 지각력에 장애가 와서 기억장애, 착각, 환각, 불면증이나 악몽 증상 등을 보이며 사람들과 대화할 때 안절부절 하거나 과잉행동을 한다.
의학에서 정신장애 질병과 관련 있는 위험인자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사회에는 자살과 우울증과 같은 정신장애와 관련된 질병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렇다보니 의학에서는 정신장애 질병과 관련 있는 위험인자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Choi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경헌 (2005). ,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이용원 (2004). .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3. 이재원, 박미라, 유한나 (2005). , 자유 아카데미, 서울. 

  4. 이제영, 최영진 (2011).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정신장애 질병 섬망 (delirium)의 주요 요인 네트워크 규명. , 출간예정. 

  5. 허명회, 이용구 (2008). , 한나래, 서울. 

  6. Agresti, A. (1998).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Addison Wesley Longman, California. 

  7. Arend, E. and Christensen, M. (2009).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A review. British Association of Critical Care Nurses Nursing in Critical Care, 14, 145-154. 

  8. Choi, Y. and Kang, K. H. (2009). On statistical methods used in medical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 257-367. 

  9. Cole, M. and Primeau, F. (1993). Prognosis of delirium in elderly hospital patient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49, 41-46. 

  10. Dubois, M., Skrobik, Y., Bergeron, N., Dumont, M. and Dial, S. (2001). Delirium in an intensive care unit: A study of risk factors. Intensive Care Medical, 27, 1297-1304. 

  11. Heckerman, D. (1995). A tutorial on learning with Bayesian networks, Technical Report MSR-TR-95-06, Microsoft Research. 

  12. Heckerman, D. (1997). Bayesian networks for data mining, Kluwer Academic Publishers, London. 

  13. Hwang, K. B. and Zhang, B. T. (2005). An introduction to Bayesian networks: Concepts and learning from data. "http://bi.snu.ac.kr/Courses/4ai05f/introBN.pdf", SNU Biointelligence Lab, 1-93. 

  14. Inouye, S. (1994). The dilemma of delirium: Clinical and research controversies regarding diagnosis and evaluation of delirium in hospitalized elderly medical pat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97, 278-288. 

  15. Inouye, S., Schlesinger, M. and Lyndon, T. (1999). Delirium: A symptom of how hospital care is failing older persons and a window to improve quality of hospital care,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06, 565-573. 

  16. Jensen, F. (1996). An introduction to Bayesian networks, Springer-verlag, New York. 

  17. Kahng, M. W., Kim, B. Y. and Hong, J. H. (2010). Graphical regression and model assessment in logisti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21-32. 

  18. Kwak, K., Lee, S. B. and Do, B. S. (2011). Delirium in an emergency department: A study of risk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Submitted. 

  19. Skrobik, Y., Ouimet, S. and Kavanagh, B.P. (2007). Incidence, risk factor and consequences of ICU delirium, Intensive Care Medical, 33, 66-73. 

  20. Tan, P., Steinbach, M. and Kumar, V. (2007). Introduction to data mining, Addison Wesley Longman, Californi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