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인자 차원 축소 방법에 의한 대사증후군의 위험도 분석과 오즈비
The study on risk factors for diagnosis of metabolic syndrome and odds ratio using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method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4 no.4, 2013년, pp.867 - 876  

진미현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  이제영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사증후군심혈관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만성적인 대사장애로 여러 질병이 한 개인에게서 복합되어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도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중인자 차원 축소 방법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확인하고 여러 대사증후군 진단 조합 중에서 가장 위험한 조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자료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차년도 (2010년)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중에서 분석방법에 적용이 가능한 3,990명을 대상자로 결정하였다. 다중인자 차원 축소 방법을 적용시킨 결과 대사증후군에 가장 위험한 단일 요인은 복부비만이었고, 복부비만을 포함한 대사증후군 진단 조합은 복부비만과 고지혈증, 고혈압이 가장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대사증후군의 새로운 진단 결과이다. 특히, 남성의 경우는 복부비만, 저 HDL-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이 가장 위험한 조합으로 확인되었고 체질량 지수$25kg/m^2$이상인 사람에게서는 복부비만, 고지혈증, 고혈당의 조합이 가장 위험한 대사증후군 조합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abolic syndrome has been known as a major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Several metabolic disorders, particularly chronic disease is complex, and from individuals that appear in our country,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s increasing gradually. Therefore, this study, using a mul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사증후군은 한 대상자가 복부비만을 포함하고 고지혈증, 고혈압, 저 HDL-콜레스테롤혈증, 고혈당 중 2가지 이상의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는데, 본 연구는 MDR 방법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확인하고 여러 대사증후군 진단 조합 중에서 가장 위험한 조합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자료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차년도 대상자 중 3990명을 대상하였으며 그 결과, 대사증후군에서 가장 위험한 단일 요인 분석에서는 복부비만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은 무엇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가?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만성적인 대사장애로 여러 질병이 한 개인에게서 복합되어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도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사증후군을 성별, 나이, 가족력 등에 따라 연구한 기존 연구 결과들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은 성별, 나이, 가족력 등에 의해 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Jung 등, 2002; Cho 등, 2012; Ban 등, 2012; Han 등, 2012).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대상자의 규모가 작고 특정 집단으로 제한되거나 자료의 측정방법이 상이해 연구에 대한 일관적인 해석이 어렵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Tak 등,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전국적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인슐린 저항성과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등의 질병이 한 개인에게서 복합되어 나타는 것으로 1988년 Reaven이 “Syndrome X”라고 처음 명명하였다(Reaven, 1988). 그 후 1999년 세계보건기구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이를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이라 명명하고 이의 진단기준을 공식적으로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Consultation,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n, S. M., Lee, K. J. and Yang, J. O. (2012).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metabolic syndrome indices and physical fitness in the obes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703-715. 

  2. Brussels. (2006). The IDF consensus worldwide defini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IDF Communication, Belgium, 1-24. 

  3. Cho, Y. C., Kwon, I. S., Park, J. Y. and Shin, M. W. (2012).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health checkup examine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 5317-5325. 

  4. Consultation, W. (1999).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Department of Noncommunicable Disease Surveillance,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5. Ford, E. S., Giles, W. H. and Dietz, W. H. (2002).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 356-359. 

  6. Han, J. M., Lee, K. J. and Yang, J. O. (2012). The effects of the 16-weeks'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metabolic syndrome and autonomic nerve system of low-level physical strength group.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787-796. 

  7. Jee, S. H., Pastor, B. R., Appel, L. J., Suh, I., Miller, E. R. and Guallar, E. (2005). Body mass index and incident ischemic heart disease in south korean men and wome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2, 42-48. 

  8. Jung, C. H., Park, J. S., Lee, W. Y. and Kim, S. W. (2002).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Medicine, 63, 649-659. 

  9. Kim, C. H., Lim, S. M. and Park, H. S. (2010). Trend of prevalence of low HDL-cholesterol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men: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ournal Family Medicine, 31, 755-764. 

  10. Kim, M. K. and Park, J. H. (2012).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ociation, 55, 1005-1013. 

  11. Kim, S. J., Park, S. H.., Seo, Y. S., Bae, C. Y. and Shin, D. H. (1994). The prevalence of obesity &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its associated diseases. Korean Journal Family Medicine, 25, 401-410.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Seoul. 

  13. Park, E. O., Choi, S. J. and Lee, H. Y. (2013).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based on the KNHANES V 2010.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8, 1-13. 

  14. Park, H. S., Oh, S. W., Cho, S. I., Choi, W. H. and Kim, Y. S. (2004).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lifestyle factors among South Korean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lolgy, 22, 328-336. 

  15. Reaven, G. M. (1988). Diabetes.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37, 1595-1607. 

  16. Ritchie, M. D., Hahn, L. W., Roodi, N., Bailey, L. R., Dupont, W. D., Parl F. F., and Moore, J. H. (2001).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reveals high-order interactions among estrogen-metabolism genes in sporadic breast cancer.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69, 138-147. 

  17. Tak, Y. R., An, J. Y., Kim, Y. A. and Woo, H. Y. (2007). The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behavior modification combined intervention (PABM-intervention) on metabolic risk factors in overweight and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02-913. 

  18. Yeo, J. S., La, B. M., Lee, H. G., Lee, S. W. and Lee, J. Y. (2013). Power and major gene-gene identification of dummy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277-287. 

  19. Yoo, J. S., Jung, J. I., Park, C. G., Kang, S. W. and Ahn, J. A. (2009). Impact of life style characteristics on prevalence risk of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594-6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