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수집 두과식물의 부위별 pinitol 함량 변이
Variation of Pinitol Content for Domestic Legume Species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6 no.1, 2011년, pp.50 - 56  

서승민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정연신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신동현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이인중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박은숙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이정동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황영현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일원에서 수집한 자귀나부(Albizia julibrissin)를 포함한 두과식물 17종에서 인체의 혈당저하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pinitol 함량을 식물체 부위별로 조사하였는 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집한 17개 두과식물 종간에는 pinitol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종별 총 pinitol 함량에서는 비수리(Lespedeza cuneata)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식물체 부위별로 pinitol 함량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잎, 줄기, 꼬투리, 종자, 뿌리의 순으로 많았다. 2. 잎에서 비교적 많은 pinitol 함량을 보인 식물은 골담초, 족제비싸리, 돌동부 및 비수리로 각각 59.9 mg/g, 62.2 mg/g, 69.6 mg/g, 65.4 mg/g으로 약 60 mg/g이상을 나타내었고, 줄기의 경우는 황기가 34.0 mg/g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뿌리에서는 칡이 24.6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감초와 골담초가 16.9 mg/g, 16.5 mg/g으로 그 다음으로 높았다. 그러나 꼬투리나 종자에서는 제비콩(52.5 mg/g)과 비수리(24.9 mg/g)를 제외하고 pinitol 함량은 잎이나 줄기에 비해 모든 조사식물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3. 조사대상 식물체의 pinitol 함량과 수확 가능한 식물체량을 고려할 때, 실제 약용으로 이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비수리이었다. 비수리의 경우 전국적인 수집을 통해 pinitol 함량이 높은 계통을 선발한다면 이용가능성 이 높은 pinitol 추출용 계통의 선발이나 보다 이용가치가 높은 새로운 품종의 육성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variation of pinitol content in different parts of seventeen legume species including silk tree (Albizia julibrissin). D-pinitol has been demonstrated to exert insulin-lik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hese legumes were collected from Gyeongsangbuk-Do in K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재배되는 작물 중 콩(이ychie max) 에서 상당량의 pinitol이 함유되어있다는 것을 알고, 다양 한두 과식 물에도 pinitol이 존재하리라는 가정 아래 경북 일대의 두과식물을 수집하여 그 부위별 pinitol 함량을 조사하여두과식물을 pinitol 추출의 소재작물로 이용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일원에서 수집한 자귀나무(坦前2记 julibris湖)를 포함한 두과식물 17종에서 인체의 혈당 저하 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pinit이 함량을 식물체 부위별로 조사하였는 버h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고경식, 전의식. 2003. 한국의 야생식물. 일진사 

  2. Bates S. H., R. B. Jones, and C. J. Bailey. 2000. Insulin-like effect of pinitol.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30(8): 1944-1948. 

  3. Chang K. Y. 1976. Studies on the resource utilization of leguminous plants. J. Inst. Agricultural Resource Uti. 10: 95-122. 

  4. Cheang K. I., P. Essah, and J. E. Nestler. 2004. A paradox: the roles of inositolphosphoglycans in mediating insulin sensitivity and hyper-androgenism in the polycystic ovary syndrome. Hormones (Athens, Greece). 3(4): 244-251. 

  5. Ding J. L., I. J. Lim, H. D. Lee, and W. S. Cha. 2006. Analysis of minerals, amino acids and vitamin of Lespedeza cuneata.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6): 414-417. 

  6. Garland S., S. Goheen, P. Donald, L. McDonald, and J. Campbell. 2009. Application of derivatiza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the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on of pinitol in plant roots. Analytical Letters. 42: 2096-2105. 

  7. Heath O. V. S. 1965. Diagrams of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plant dry weight or other variables. Nature. 205: 921. 

  8. Jain R., S. Jain, A. Sharma, H. Ito, and T. Hatano. 2007. Isolation of (+)-pinitol and other constituents from the root bark of Tamarindus indica Linn. J. Nat. Med. 61: 355-356. 

  9. Kim J. H., D. H. Kim, J. H. You, M. C. Kwon, H. J. Lee, H. J. Lee, and H. Y. Lee. 2005a. Anticancer and immune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Amorpha fruticos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1): 41-47. 

  10. Kim J. I., J. C. Kim, H. J. Joo, S. H. Jung, and J. J.Kim. 2005c. Determination of total chrio-inositol conent in selected natural materials and evaluation of the antihyperglycemic effect of pinitol isolated from soybean and carob. Food Sci. Biotechnol. 14(4): 441-445. 

  11. Kim M. J., K. H. Yoo, H. S. Park, S. M. Chung, C. J. Chin, Y. S. Choi, and C. H. Chung. 2005b. Effect of pinitol on glucose metabolism and adipocytokines in uncontrolled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ournal. 29(4): 344-351. 

  12. Kim S. J., C. Park, H. G. Kim, W. C. Shin, and S. Y. Choe. 2004. A study of the estrogenicity of Korean arrowroot (Pueraria thunbergian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 16-21. 

  13. Ku B. J., H. J. Kim and K. S. Park. 2007. The clinical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D-chiro-inosit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72(1): 29-36. 

  14. Lee C. H. 2009. Change of pinitol content at different growth stage in soybean plant.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griculture. 

  15. Lee H. O., C. H. Kim, J. A. Lim, M. H. Lee and S. H. Baek.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Puerariae thunbergiana extracts against oral micro-organism.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4(1): 45-48. 

  16. Lee S. H., S. Y. Kim, J. J. Kim, T. S. Jang and S. R. Chung. 1999. The isolation of the inhibitory constituents on melanin polymer formation from the leaves of Cercis chinensis. Kor. J. Pharmacogn. 30(4): 397-403. 

  17. McManus, M. T., R. L. Bieleski, J. R. Caradus, and D. J. Barker. 2000. Pinitol accumulation in mature leaves of white clover in response to a water deficit.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43: 11-18. 

  18. Oh W. G., I. C. Jang, G. I. Jeon, E. J. Park, H. R. Park, and S. C. Lee. 2008.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Wistaria floribunda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6): 677-683. 

  19. Park J. H., Y. J. Lee, J. J. Kim, Y. C. Shin, and J. C. Kim. 2005. The effect of pinitol on cataractogenesis and antioxidative effect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Ophthalmol. Soc. 46(11): 1886-1893. 

  20. Park K. S., J. M. Lee, B. J. Ku, Y. S. Jo, S. K. Lee, K. W. Min, K. A. Han, H. J. Kim, and H. J. Kim. 2008. The effects of D-chiro-inositol on glucose metabolism in 3T3-L1 cells. Korean Diabetes Journal. 32: 196-203. 

  21. Streeter J. G. 2001. Simple partial purification of D-pinitol from soybean leaves. Crop Science. 41(6): 1985-1987. 

  22. Streeter J. G. D. G. Lohnes, and R. J. Fioritto. 2001. Plant, Cell and Environment. 24: 429-438. 

  23. Sun W. Q., X. P. Li, and B. L. Ong. 1999. Preferential accumulation of D-pinitol in Acrostichum aureum gametophytes in response to salt stress. Physiologia Plantarum. 105: 51-57. 

  24. Szczecinski P., A. Gryff-Keller, M. Horbowicz, and L. B. Lahuta. 2000. Galactosylpinitols isolated from vetch (Vicia villosa Roth.) seeds. J. Agric. Food Chem. 48: 2717-2720. 

  25. Yoon S. H., and W. M. Shim. 1996. Enzymatic properties of $beta$ -amylase isolated from arrowroot. Korean J. Food & Nutrition. 9(1): 85-91. 

  26. Yu G. H., and Y. M. Kwon. 1995. Distribution of canavanine and free amino acids in legumes, Robinia pseudo-acacia, Wistaria floribunda, and Canavalia lineata. Korean J. Ecol. 18(4): 433-440. 

  27. Zhoh C. K., B. N. Kim, and G. H. Shin. 2006.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Lespedeza bicolor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sthetic & Cosmeceutics. 1(2): 109-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