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공간에서의 비디오 아트와 미디어 환경에의 재고
Video Art and Media Environment in City Spa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4, 2011년, pp.196 - 206  

손영실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점점 증가되는 도시 속의 영상 프로젝션과 늘어나는 대형 스크린들은 도시의 미디어 환경을 재고하게 한다. 도시 속에서 미디어가 갖는 위상에 관한 물음에서 명확한 것은 미디어는 이제 추상적으로도 그 자체를 위해서도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가상 현실은 대도시의 일반적인 모습 속에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형화면으로 투사되는 비디오 이미지는 점점 관객들에게 접촉하는 듯한 느낌을 줌과 동시에 관람객들은 공간 속으로 몰입되는 느낌을 받게 된다. 본 논문은 도시 속의 비디오 아트 형태의 영상 프로젝션이 갖는 의미와 도시의 미디어 환경을 고찰해 봄으로써 대도시에서 비디오 아트 형태의 영상 프로젝션은 새로운 실재성, 가상과 현실, 몰입과 상호 작용성의 경험을 제공하며 도시의 미디어 환경의 관점에서 본다면 대도시라는 거대 텍스트는 어떤 주도적인 하나의 담론이 존재하지 않고 텍스트의 서로 상이한 담론들이 동시에 병립되어 서로 영향을 미치며 상호 소통되고 있음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projection technology produces series of discussions associated to various form of visual immersing possibilities by the way of projecting image directly to the obscure surface surrounded us. Besides, the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erms of that this kind of image projection o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뉴 미디어 환경에서 중요한 것은 하나의 미디어가 다른 미디어와 융합하여 만들어내는 새로운 형식이며 이런 가운데 현실이 가상 현실과 중첩되어 나타나는 일련의 상황은 점차적으로 새로운 인식의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본 논문은 대도시에서 비디오 아트와 같은 미디어 아트 형태의 시각 예술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사유해 볼 수 있는 적절한 기회를 제공하리라 생각된다.
  • 본 논문은 도시 속의 비디오 아트 형태의 영상 프로젝션은 새로운 실재성, 가상과 현실, 몰입 경험을 제공하면서 도시의 미디어 환경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복잡한 대도시의 매체 현실에는 어떤 주도적인 하나의 담론이 존재하지 않고 텍스트의 서로 상이한 담론들이 대도시라는 거대 텍스트에 동시에 병립되어 있고 서로 영향을 미치며 상호 소통되고 있음을 밝혔다.
  • 본 연구는 도시속의 영상 프로젝션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도시 공간에서의 비디오 영상 프로젝션이 갖는 의미를 도시와 미디어 환경이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뉴 미디어 환경에서 중요한 것은 하나의 미디어가 다른 미디어와 융합하여 만들어내는 새로운 형식이며 이런 가운데 현실이 가상 현실과 중첩되어 나타나는 일련의 상황은 점차적으로 새로운 인식의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소 특정 예술이란 무엇인가? 공공 미술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새로운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한 것이 장소 특정 예술에 관한 논의이다. 장소 특정 예술이란 어떤 장소에 존재하도록 창조된 예술 작품이다. 그런데 이 용어는 1970년대 중반 도시 공간에서 공공 임무를 수행했던 젊은 건축가인 로이드 함롤(Lloyd Hamrol)과 아테나 타샤(Athena Tacha)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장소 특정 예술이라는 용어가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장소 특정 예술이라는 용어는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있다. 왜냐하면 그것이 특별히 장소를 위해 만들어진 작품에 적용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존재하고 장소에 관해 반응하고 우연한 만남을 만드는 작업의 특성을 지닌 장소 반응 예술(site- responsive art)의 양태와 혼동되기 때문이다. 안셀름 키퍼(Anselm Kiefer)가 ‘어떤 텅 빈 공간도 실제적으로는 비어있지 않다’라고 말했듯이, 결국 과거는 현대 안에 있고 예술가들은 이러한 역사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장소와 연관된 자신들의 작업속에 반영하고 있다.
장소 특정 환경 미술은 어디에서 하나의 운동으로 언급되었는가? 그런데 이 용어는 1970년대 중반 도시 공간에서 공공 임무를 수행했던 젊은 건축가인 로이드 함롤(Lloyd Hamrol)과 아테나 타샤(Athena Tacha)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장소 특정 환경 미술 (site-specific environmental art)은 건축 비평가인 캐서린 호웻트(Catherine Howett)의 “환경미술에서의 새로운 방향(New Directions in Environmental Art)” 과 미술 비평가인 루시 리파드(Lucy Lippard)의 “외부에서의 예술, 공공 영역의 안과 밖(Art Outdoors, In and Out of the Public Domain)” 에서 하나의 운동으로 언급되었다. 이런 종류의 작업을 하는 작가로는 로버트 스미슨(Robert Smithson), 앤디 골드워시(Andy Goldsworthy), 크리스토(Christo), 리챠드 세라(Richard Serra) 등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플로랑스 드 메르디외(정재곤옮김), 예술과 뉴 테크놀로지(Art et Nouvelles technologies), 열화당, p.13, 2005. 

  2. 빌 비올라와의 인터뷰, KBS 디지털 미술관(2003년 4월2일 방송) 에서의 내용을 인용함. 

  3. 오은경, 뉴 미디어 시대의 예술, 연세대학교 출판부, p.196, 2008. 

  4. 크리스티앙 폴(Christian Paul), 조충연옮김 디지털 아트(Digital Art), 시공아트, p.80, 2004. 

  5. 크리스티앙 폴(Christian Paul), 조충연옮김 디지털 아트(Digital Art), 시공아트, pp.83-84, 2004. 

  6. , 2009년 9월호, p.11 퍼포머티브 인터뷰인용 

  7. www.interactivearchiture.org 

  8. www.mediaarchitecture.com 

  9. www.artcom.de 

  10. www.archlight.com 

  11. 크리스티앙 폴(Christian Paul), 조충연 옮김, 디지털 아트(Digital Art), 시공아트, pp.80-81, 2004. 

  12. Paul Virilio, Speed and politics, An essay on Pormology, New York, Semiotext, 1987, p.72(랄프 슈렐, 미디어 미학, 강호직 외 4인 옮김, 이론 

  13. 렌델 패커, 켄 조던 엮음, 아트센터 나비 학예연구실 옮김, 멀티미디어: 바그너에서 가상 현실까지, nabi press, p.32, 2004. 

  14. 렌델 패커, 켄 조던 엮음, 아트센터 나비 학예연구실 옮김, 딕 히긴스, "인터 미디어" in 멀티미디어: 바그너에서 가상 현실까지", nabi press, p.88, 2004. 

  15. 랄프 슈렐, 미디어 미학, 이론과 실천, p. 463. 

  16. 랄프 슈렐, 미디어 미학, 이론과 실천, p. 464. 

  17. 폴 비릴리오, p.72, 1987. 

  18. 플로랑스 드 메르디외(정재곤옮김), 예술과 뉴 테크놀로지(Art et Nouvelles technologies), 열화당, p.225, 2005.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