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마늘 추출물에 의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adipogenesis 억제에 관한 연구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Aged Black Garlic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5 = no.133, 2011년, pp.720 - 728  

박정애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 소재 개발 센터) ,  박철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 소재 개발 센터) ,  한민호 (동의대학교 대학원 바이오물질제어학과) ,  김병우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 소재 개발 센터) ,  정윤호 (덕산비엔에프주식회사) ,  최영현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 소재 개발 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생마늘 및 흑마늘 열수추출물이 insulin, dexamethasone 및 IBMX 등과 같은 분화유도인자에 의하여 유발되는 lipid droplettriglyceride 생성 등과 같은 지방세포로의 분화와 함께 이러한 분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인 PPAR${\gamma}$, C/EBP${\alpha}$ 및 C/EBP${\beta}$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나타나는 lipid droplet의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한 결과, WEABG 처리군에서 lipid droplet의 생성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pid droplet과 함께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로서 비만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지방세포 내의 저장 지방인 triglyceride 생성 정도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WEABG 처리군에서 triglyceride 억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WERG 및 WEABG-A는 분화유도인자에 의하여 유발된 PPAR${\gamma}$, C/EBP${\alpha}$ 및 C/EBP${\beta}$의 발현 억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WEABG는 그들의 발현을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이는 WEABG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서 lipid droplet 및 triglyceride 생성을 억제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막는 항비만 효능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 결과는 흑마늘의 비만억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항비만 기전에 대한 생화학적 해석 및 이를 활용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rlic (Allium sativum) has been used as a source food as well as a traditional folk medicine ingredient since ancient times. Aged black garlic is a type of fermented garlic and is expected to have stronger anticancer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raw garlic. However, the mechanisms of their inhi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분화된 세포는 lipid droplet 생성 및 세포의 크기 증가 등과 같은 형태적 특징과 더불어 특이적인 유전자의 발현을 유발함으로서 지방 세포의 특징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늘 추출물이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들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흑마늘의 항비만 효과 및 그에 따른 생화학적 기전의 해석을 위하여 생마늘(water extracts of raw garlic, WERG) 및 흑마늘 열수 추출물(water extracts of aged black garlic, WEABG)이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에서 insulin, dexamethasone 및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등이 혼합된 비만유도인자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유발된 adipogenesis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고, 이때 PPARγ, C/EBPα 및 C/EBPβ 등과 같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들의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유발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열량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대사성 질환이며,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제 2형 당뇨병 및 각종 암등과 같은 만성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소로서 인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39].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식습관, 생활습관 및 개인의 건강상태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유발되는 비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2005년 4억 명인 세계 비만 인구가 2015년에는 7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43,46].
Adipogenesis 과정에 중요한 조절자로서 관여하는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는 무엇이 있는가? Adipogenesis는 지방세포가 만들어지는 분화과정으로서 세포형태, 유전자 발현 및 호르몬 민감성 등의 변화를 동반하는데[14,35], adipogenesis 연구를 위한 in vitro model system 에는 일반적으로 mouse embryo로부터 유래된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가 많이 사용되며, insulin, dexamethasone 및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등과 같은 분화유도인자가 필요하다[9,20,25]. 또한 adipogenesis 과정에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및 cytidine-cytidine-adenosine-adenosine-thymidine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C/EBPα, C/EBPβ 및 C/EBPδ) 등과 같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들이 중요한 조절자로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6,44,45]. C/EBPβ 및 C/EBPδ의 경우에는 분화초기에 insulin, dexamethasone 및 cAMP 등과 같은 hormonal cocktail에 의하여 일시적이고 빠르게 발현되는 반면에 C/EBPα 및 PPARγ의 경우에는 분화후기에 발현되어 adipose-specific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함으로서 분화를 촉진 하여 분화과정을 완성하는데 관여한다[16,35,48].
비만은 어떻게 유발되는가? 또한, 한국의 경우에도 식생활의 서구화 및 생활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계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국가적으로 비만 예방 및 치료에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와 같은 adipogenesis 과정에 의하여 새롭게 생성되는 지방세포의 비대 및 과형성에 의한 지방조직의 축적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18]. 지방세포의 비대는 음식 물에 포함되어 있는 triglyceride의 축적에 의하여 유발되며, 지방세포의 과형성은 세포증식 및 분화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hmad, M. S., M. Pischetsrieder, and N. Ahmed. 2007. Aged garlic extract and S-allyl cysteine prevent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Eur. J. Pharmacol. 561, 32-38. 

  2. Ahmadian, M., Y. Wang, and H. S. Sul. 2010. Lipolysis in adipocytes. Int. J. Biochem. Cell Biol. 42, 555-559. 

  3. Alessi, M. C., H. R. Lijnen, D. Bastelica, and I. Juhan-Vague. 2003. Adipose tissue and atherothrombosis. Pathophysiol. Haemost. Thromb. 33, 290-297. 

  4. Augusti, K. T. 1996. Therapeutic values of onion (Allium cepa L.) and garlic (Allium sativum L.). Indian. J. Exp. Biol. 34, 634-640. 

  5. Bernlohr, D. A., M. A. Bolanowski, T. J. Kelly Jr, and M. D. Lane. 1985. Evidence for an increase in transcription of specific mRNAs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J. Biol. Chem. 260, 5563-5567. 

  6. Bordia, T., N. Mohammed, M. Thomson, and M. Ali. 1996. An evaluation of garlic and onion as antithrombotic agents.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54, 183-186. 

  7. Canizares, P., I. Gracia, L. A. Gomez, C. Martin de Argila, L. de Rafael L, and A. Garcia. 2002. Optimization of Allium sativum solvent extraction for the inhibition of in vitro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Biotechnol. Prog. 18, 1227-1232. 

  8. Chen, H. C., and R. V. Farese Jr. 2000. DGAT and triglyceride synthesis: a new target for obesity treatment? Trends Cardiovasc. Med. 10, 188-192. 

  9. Cowherd, R. M., R. E. Lyle, and R. E. McGehee Jr. 1999.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Semin. Cell Dev. Biol. 10, 3-10. 

  10. Duane, W. C. 1997. Cholesterol metabolism in familial hypertriglyceridemia: effects of obesity versus triglyceride level. J. Lab. Clin. Med. 130, 635-642. 

  11. El-Demerdash, F. M., M. I. Yousef, and N. I. El-Naga. 2005. Biochemical study on the hypoglycemic effects of onion and garlic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Food Chem. Toxicol. 43, 57-63. 

  12. El-Jack, A. K., J. K. Hamm, P. F. Pilch, and S. R. Farmer. 1999. Reconstitution of insulin-sensitive glucose transport in fibroblasts requires expression of both PPARgamma and C/EBPalpha. J. Biol. Chem. 274, 7946-7951. 

  13. Farese, R. V. Jr, and T. C. Walther. 2009. Lipid droplets finally get a little R-E-S-P-E-C-T. Cell 139, 855-860. 

  14. Farmer, S. R. 2006.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formation. Cell Metab. 4, 263-273. 

  15. Fox, K. E., D. M. Fankell, P. F. Erickson, S. M. Majka, J. T. Crossno Jr, and D. J. Klemm. 2006. Depletion of cAMP-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ATF1 inhibits adipogenic conversion of 3T3-L1 cells ectopically expressing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C/EBP) alpha, C/EBP beta, or PPAR gamma 2. J. Biol. Chem. 281, 40341-40353. 

  16. Freytag, S. O., D. L. Paielli, and J. D. Gilbert. 1994. Ectopic expression of the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promotes the adipogenic program in a variety of mouse fibroblastic cells. Genes Dev. 8, 1654-1663. 

  17. Galic, S., J. S. Oakhill, and G. R. Steinberg. 2010. Adipose tissue as an endocrine organ. Mol. Cell Endocrinol. 316, 129-139. 

  18. Gesta, S., Y. H. Tseng, and C. R. Kahn. 2007. Developmental origin of fat: tracking obesity to its source. Cell 131, 242-256. 

  19. Green, H. and O. Kehinde. 1976. Spontaneous heritable changes leading to increased adipose conversion in 3T3 cells. Cell 7, 105-113. 

  20. Green, H. and M. Meuth. 1974. An established pre-adipose cell line and its differentiation in culture. Cell 3, 127-133. 

  21. Hafiz, M. S., M. I. Arslan, S. Banarjee, and M. Obaidullah. 2004. Studies on serum triglyceride level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Mymensingh. Med. J. 13, 185-187. 

  22. Hamm, J. K., B. H. Park, and S. R. Farmer. 2001. A role for C/EBPbeta in regulat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ctivity during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J. Biol. Chem. 276, 18464-18471. 

  23. Heilbronn, L., S. R. Smith, and E. Ravussin. 2004. Failure of fat cell proliferation, mitochondrial function and fat oxidation results in ectopic fat storage, insulin resistance and type II diabetes mellitu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8, S12-21. 

  24. Hodge, G., S. Hodge, and P. Han. 2002. Allium sativum (garlic) suppresses leukocyte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vitro: potential therapeutic use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ytometry 48, 209-215. 

  25. Jessen, B. A. and G. J. Stevens. 2002. Expression profiling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fibroblasts. Gene 299, 95-100. 

  26. Kumaraguruparan, R., K. V. Chandra Mohan, S. K. Abraham, and S. Nagini. 2005. Attenuation of N-methyl- N'-nitro-N-nitrosoguanidine induced geno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by tomato and garlic combination. Life Sci. 76, 2247-2255. 

  27. Labreuche, J., P. J. Touboul, and P. Amarenco. 2009. Plasma triglyceride levels and risk of stroke and carotid atherosclerosi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studies. Atherosclerosis 203, 331-345. 

  28. Lafontan, M. and D. Langin. 2009. Lipolysis and lipid mobilization in human adipose tissue. Prog. Lipid Res. 48, 275-297. 

  29. Lee, Y. M., O. C. Gweon, Y. J. Seo, J. Im, M. J. Kang, M. J. Kim, and J. I. Kim. 2009. Antioxidant effect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i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Nutr. Res. Pract. 3, 156-161. 

  30. Manickam, E., A. J. Sinclair, and D. Cameron-Smith. 2010. Suppressive actions of eicosapentaenoic acid on lipid droplet formation in 3T3-L1 adipocytes. Lipids Health Dis. 9, 57. 

  31. Patya, M., M. A. Zahalka, A. Vanichkin, A. Rabinkov, T. Miron, D. Mirelman, M. Wilchek, H. M. Lander, and A. Novogrodsky. 2004. Allicin stimulates lymphocytes and elicits an antitumor effect: a possible role of p21ras. Int. Immunol. 16, 275-281. 

  32. Qidwai, W., R. Qureshi, S. H. Hasan, and S. I. Azam. 2000. Effect of dietary garlic (Allium Sativum) on the blood pressure in humans-a pilot study. J. Pak. Med. Assoc. 50, 204-207. 

  33. Rivlin, R. S. 2001.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use of garlic. J. Nutr. 131, 951S-954S. 

  34. Roncari, D. A., D. C. Lau, and S. Kindler. 1981. Exaggerated replication in culture of adipocyte precursors from massively obese persons. Metabolism 30, 425-427. 

  35. Rosen, E. D. and O. A. MacDougald. 2006.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 Rev. Mol. Cell Biol. 7, 885-896. 

  36. Rosen, E. D. and B. M. Spiegelman. 2000.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genesis. Annu. Rev. Cell Dev. Biol. 16, 145-171. 

  37. Saltiel, A. R. and C. R. Kahn. 2001. Insulin signalling and the regulation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Nature 414, 799-806. 

  38. Schoonjans, K., B. Staels, and J. Auwerx. 1996. The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PPARS) and their effects on lipid metabolism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Biochim. Biophys. Acta 1302, 93-109. 

  39. Spiegelman, B. M. and J. S. Flier. 2001.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 531-543. 

  40. Thomson, M. and M. Ali. 2003. Garlic [Allium sativum]: a review of its potential use as an anti-cancer agent. Curr. Cancer Drug Targets 3, 67-81. 

  41. Vazquez-Vela, M. E., N. Torres, and A. R. Tovar. 2008. White adipose tissue as endocrine organ and its role in obesity. Arch. Med. Res. 39, 715-728. 

  42. Wang, N. D., M. J. Finegold, A. Bradley, C. N. Ou, S. V. Abdelsayed, M. D. Wilde, L. R. Taylor, D. R. Wilson, and G. I. Darlington. 1995. Impaired energy homeostasis in C/EBP alpha knockout mice. Science 269, 1108-1112. 

  43. Wellman, N. S. and B. Friedberg. 2002. Causes and consequences of adult obesity: health, social and economic impacts in the United States. Asia Pac. J. Clin. Nutr. 11, S705-709. 

  44. White, U. A. and J. M. Stephens. 2010. Transcriptional factors that promote formation of white adipose tissue. Mol. Cell Endocrinol. 318, 10-14. 

  45. Wu, Z., P. Puigserver, and B. M. Spiegelman. 1999.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adipogenesis. Curr. Opin. Cell Biol. 11, 689-694. 

  46. Wyatt, S. B., K. P. Winters, and P. M. Dubbert. 2006. Overweight and obesity: prevalence, consequences, and causes of a growing public health problem. Am. J. Med. Sci. 331, 166-174. 

  47. Yano, T., S. Kobori, M. Sakai, Y. Anami, T. Matsumura, H. Matsuda, M. Kasho, and M. Shichiri. 1997. Beta-very low density lipoprotein induces triglyceride accumulation through receptor mediated endocytotic pathway in 3T3-L1 adipocytes. Atherosclerosis 135, 57-64. 

  48. Yeh, W. C., Z. Cao, M. Classon, and S. L. McKnight. 1995. Cascade regulation of terminal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three members of the C/EBP family of leucine zipper proteins. Genes Dev. 9, 168-181. 

  49. Yeh, Y. Y. and S. M. Yeh. 1994. Garlic reduces plasma lipids by inhibiting hepatic 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synthesis. Lipids 29, 189-193. 

  50. Zimmermann, R., J. G. Strauss, G. Haemmerle, G. Schoiswohl, R. Birner-Gruenberger, M. Riederer, A. Lass, G. Neuberger, F. Eisenhaber, A. Hermetter, and R. Zechner. 2004. Fat mobilization in adipose tissue is promoted by adipose triglyceride lipase. Science 306, 1383-13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