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토리 추출물의 3T3-L1 세포 분화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 of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4, 2015년, pp.650 - 657  

김지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이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대체의학과) ,  이창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  김애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소재로서 3T3-L1세포를 이용하여 탈피한 도토리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T3-L1 세포에서 생존율(MTT assay)을 측정한 결과, AE와 AW 시료 모두 $500{\mu}g/mL$ 농도에서는 다소 생존율의 감소를 보여, $300{\mu}g/mL$를 최종 농도로 정하였다. 3T3-L1 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100{\mu}g/mL$로 처리하였을 때 두 시료 모두 지질축적량의 증가를 보였으나, $200{\mu}g/mL$ 처리농도에서 AE 시료는 82%로, AW 시료는 74%로 감소되다가 $300 {\mu}g/mL$ 농도에서는 두 시료 모두 약 53% 수준까지 지질축적이 억제되었다. 3T3-L1 세포에서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AE 시료의 경우 $200{\mu}g/mL$ 농도에서 11%의 감소율, $300{\mu}g/mL$ 농도에서 42% 수준의 감소율을 보였다. AW 시료도 $200{\mu}g/mL$ 농도에서 5%의 감소율과 $300{\mu}g/mL$에서 41%의 감소율을 보였다. 3T3-L1 세포의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 농도 $200{\mu}g/mL$에서 AE는 42%, AW는 33%로 $300{\mu}g/mL$에서는 AE는 58%, AW는 52%로 ROS 생성량의 억제를 보였다. 3T3-L1 세포에서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두 시료(AE와 AW) 모두 $300{\mu}g/mL$ 농도에서 $PPAR-{\gamma}$은 54%와 38%, aP2는 40%와 18% 수준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탈피한 도토리는 3T3-L1 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새로운 항비만 소재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uppressive effect of acorn extracts, by evaluating 70% ethanol extract (AE) and hot water extract (AW) using 3T3-L1 preadipocytes. We applied various levels (0, 100, 200, 300 and $500 {\mu}g/mL$) of AE and AW to 3T3-L1 preadipocytes. The cell viabi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T3-L1 세포를 이용하여 탈피한 도토리 추출물(에탄올 및 열수)의 항비만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토리 에탄올 추출물(AE)과 열수 추출물(AW) 시료의 3T3-L1 세포의 분화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총 지질 축적량을 측정하여 Fig. 2에 제시하였다. 도토리 추출물시료의 세포의 생존율 실험결과를 토대로 AE 시료를 100, 200 및 300 μ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을 예방 하기 위한 식품소재로서 3T3-L1세포를 이용하여 탈피한 도 토리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T3-L1 세포에서 생존율(MTT assay)을 측정한 결과, AE와 AW 시료 모두 500 μg/mL 농도에서는 다소 생존율의 감소를 보여, 300 μg/mL를 최종 농도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토리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은? 4%가 함유되어 있다(Kim BN 1995; Yook 등 2002). 또한 도토리에는 기능성 성분인 tannic acid, gallic acid, digallic acid 및 gallotannin이 포함되어 있어서 항산화 작용, 항균 작용, 항종양 및 중금속 제거작용 등이 있다(Yook 등 2002; Lee 등 2005). 도토리의 기능성 성분 가운데 tannic acid의 혈장 지질농도 저하효과 보고되었는데(Park 등 2002), 도토리에는 tannic acid가 4.
도토리의 영양성분 조성은? 도토리에는 전분이 65~69%, 수분이 6.5~13.7%, 조단백질이 5.8~7.8%, 조지방이 1.1~5.0%, 조섬유가 2.1~3.6%, 조회분이 1.9~3.4%가 함유되어 있다(Kim BN 1995; Yook 등 2002). 또한 도토리에는 기능성 성분인 tannic acid, gallic acid, digallic acid 및 gallotannin이 포함되어 있어서 항산화 작용, 항균 작용, 항종양 및 중금속 제거작용 등이 있다(Yook 등 2002; Lee 등 2005).
비만 치료를 위해 출시된 Orlistat, Lorcaserin, Qnexa같은 비만 억제제들의 부작용은? 비만 치료를 위해 1997년에는 지방 흡수 억제제인 Orlistat 가 출시되었고, 2012년에는 Lorcaserin와 Qnexa가 출시되어 비만관리를 위해 사용되어 왔다(You SJ 2008). 이러한 비만 억제제들은 미국 FDA 승인을 받아 그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었지만, 장기간 복용 시 어지러움, 불면, 두통 및 변비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Kang & Park 2012; Kim & Park 2012; Lee CB 2013). 따라서 최근 부작용이 적으면서 지방 분해를 촉진시키거나, 지방 형성(adipogenesis)을 억제시키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Wang & Jones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dachi T, Toishi T, Wu H, Kamiya T, Hara H. 2009. Expression of extra 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during adipos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Redox Rep 14:34-40 

  2. Fajas L, Schoonjans K, Gelman L, Kim JB, Najib J, Martin G, Fruchart JC, Briggs M, Spiegelman BM, Auwerx J. 1999. 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expression by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determin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 Implications for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metabolism. Mol Cell Biol 19:5495-5503 

  3. Furuhashi M, Tuncman G, Grgn CZ, Makowski L, Atsumi G, Vaillancourt E, Kono K, Babaev VR, Fazio S, Linton MF, Sulsky R, Robl JA, Parker RA, Hotamisligil GS. 2007. Treatment of diabetes and atherosclerosis by inhibiting fattyacid-binding protein aP2. Nature 447:959-965 

  4. Joo SY, Kim OS, Jeon HK, Choi H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acorn (Quercus specie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177-184 

  5. Kang JG, Park CY. 2012. Anti-obesity drugs: A review about their effects and safety. Diabetes Metab J 36:13-25 

  6. Kim BN. 1995. A study of the literature review of acorn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11:158-163 

  7. Kim JO, Lee MJ. 1976. Studies on some physic-chemical properties of the acorn starch. J Korean Food Sci Techno 8: 230-235 

  8. Kim KS, Park SW. 2012. Therapy for obesity. Korean J Obes 21:197-202 

  9. Kim M, Park JE, Song SB, Cha YS. 2015. Effects of black adzuki bean (Vigna angularis) extract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into mature adipocytes. Nutrients 7:277-292 

  10. Labreuche J, Touboul PJ, Amarenco P. 2009. Plasma triglyceride levels and risk of stroke and carotid atherosclercsi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studies. Atherosclerosis 203:331-345 

  11. Lee CB. 2013. Weight loss drugs recently approved by the FDA. J Korean Diabetes 14:58-62 

  12. Lee KS, Kim MG, Lee KY. 2004. Anti 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s of cactus chounnyouncho (Opuntia humifusa)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268-1272 

  13. Lee OH, Kwon YI, Hong HD, Park CS, Lee BY, Kim YC. 2009.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70-75 

  14. Lee OH, Seo MJ, Choi HS, Lee BY. 2012. Pycnogenolinhibits lipid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with the modulation of reactive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ssociated with antioxidantenzyme responses. Phytother 26:403-411 

  15. Lee SH, Kim DI. Cho SY, Jung HJ, Cho SM, Park HJ, Hyun SL. 2005. Effects of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supplementation on the level of acetylcholine and its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the brain of dementia mouse mod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38-742 

  16. Park JA, Jin KS, Kwon HJ, Kim BW. 2014 The anti-obesity effect of smilax China extract.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2:354-360 

  17. Park JA, Pack Cheol, Han MH, Kim BW, Chung YH, Choi YH. 2011.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aged black garlic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Journal of Life Science 21:720-728 

  18. Park SY, Bok SH, Jeona SM, Park YB, Lee SJ, Jeong TS, Choi MS. 2002. Effect of rutin and tannic acid supplements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Nutrition Research 22:283-295 

  19. Parveen K, Khan MR, Mujee BM, Siddiqui WA. 2010. Protective effects of pycnogenolon hyperglycemia-induced oxidative damage in the liver of type 2 diabetic rats. Chem Bio Interact 186:219-227 

  20. Rosen ED, Sarraf P, Troy AE, Bradwin G, Moore K, Milstone DS, Spiegelman BM, Mortensen RM. 1999. PAR gamma is requir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 in vivo and in vitro. Mol Cell 4:611-617 

  21. Sekiya M, Hiraishi A, Touyama M, Sakamoto K. 2008. Oxidativestress induced lipid accumulation via SREBP1c activation in HepG2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75:602-607 

  22. Seo MJ, Choi HS, Lee OH, Lee BY. 2013. Grateloupia lanceolata (Okamura) Kawaguchi, the edible red seaweed, inhibits lipid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during differentiationin 3T3-L1 cells. Phytother 27:655-663 

  23. Shim TH, Jin YS, Sa JH, Shin IC, Heo SI, Wang MH. 2004.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evaluation in acorn powders. J Korean Food Sci Techno 36:800-803 

  24. Shin OS, Shin YH, Lee KH, Kim GY, Kim KH, Park JK, Ahn JI, Song KY. 2012.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with ethanol extracts of Saururus chinensis. KSBB Journal 27: 381-386 

  25. Sladowski D. 1992. An improved MIT assay. J Immunol Methods 157:203-207 

  26. Spiegelman BM, Flier JS. 1996. Adipogenesis and obesity: Rounding out the big picture. Cell l87:377-389 

  27. Spigelman BM, Flier JS. 2001.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531-543 

  28. Sung IS, Park EM, Lee MK, Han EK, Jang JY, Cho SY. 1997. Effect of acorn extracts on the antioxidative enzyme system. J Korean Food Sci Nutr 26:494-500 

  29. Wang TW, Jones PJ. 2004. Conjugated linolieic aicd and obesity control: Efficacy and mechanisms. J Obes Rela Metab Disord 28:941-955 

  30. Willett WC, Dietz HW, Colditz GA. 1999. Guidelines for healthy weight. N Engl J Med 342:427-433 

  31. Yook GJ, Lee HJ, Kim MK. 2002. Effect of chestnut and acorn on lipid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thrombotic capacity in rats. Korean J Nutr 35:171-182 

  32. You SJ. 2008.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obesity. J Korean Endocr Soc 23:223-23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