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밤부산물(율피)의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
Th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of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5 = no.133, 2011년, pp.734 - 738  

장민정 ((주)아쎄엠코리아 연구소) ,  천순주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김희영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권대준 (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김학윤 (계명대학교 환경생물학) ,  김세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이진태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율피를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름개선, 미백 및 수렴효과를 검증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elastase 저해활성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율피 아세톤 추출물 100 ug/ml에서 51.0%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 및 에탄올 추출물이 50 ug/ml 에서 96.4%, 94.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 및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비교시 약 5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율피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ing in humans is inexorable and inescapable. The progressive decrease of physiological capacity and the reduction of the ability to cope with environmental stresses lead to increased susceptibility and vulnerability to human disease. Recently, in the cosmetic industry, many researchers have pai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험관 실험을 통해 밤나무의 열매일 밤의 속껍질을 기능성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elastase저해활성, collagenase 저해활성을 통하여 주름개선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밤의 속껍질인 율피를 기능성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주름개선효과와 미백효과를 확인한 연구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Tyrosinase 저해활성 실험에서 대조군으로 사용한 L-ascrobic acid가 tyrosinase 활성 억제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율피 추출물인 CA, CE, CW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yrosinase의 활성 억제율이 증가되었다. 그 중 CA는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율피로 연구되어진 tyrosinase 활성 억제실험과 비교시 CA가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elastase 저해활성과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tyrosinase 저해활성 시험과 같이 CA의 주름개선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elastase 저해활성 측정한 결과 CA는 50 ug/ml에서 40.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으로 UA보다 2배 이상의 elastase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도 CA 50 ug/ml에서 96.4%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주름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율피는 무엇인가? 율피는 너도 밤나무과(Buna)의 다년생 초목인 밤나무 (Castanea crenata Sieb)의 과실인 밤의 속껍질로 피부를 청결하고 아름답게 하며 노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5]. 율피의 주요작용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피부로부터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는 보습효과[17]와 특히, 유해환경으로부터 신체 내부에 생성된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나 자유라디칼 과산화물에 의해 생체성분이 산화되거나 변성되어 피부노화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저해하거나 자유라디칼 소거작용을 한다.
율피의 주요작용에는 무엇이 있는가? 율피는 너도 밤나무과(Buna)의 다년생 초목인 밤나무 (Castanea crenata Sieb)의 과실인 밤의 속껍질로 피부를 청결하고 아름답게 하며 노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5]. 율피의 주요작용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피부로부터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는 보습효과[17]와 특히, 유해환경으로부터 신체 내부에 생성된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나 자유라디칼 과산화물에 의해 생체성분이 산화되거나 변성되어 피부노화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저해하거나 자유라디칼 소거작용을 한다. 또한 율피는 DOPA 자동산화에 대한 저해작용, 피부의 과다한 멜라닌 색소 형성에 의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억제해주는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옛날부터 미용재료로서 인정받아왔을 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annell, R. J., S. J. Kellam, A. M. Owsianks, and J. M. Malker. 198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10-14. 

  2. Gomes, A., J. R. Vedasiromoni, M. Das, R. M. Sharma, and D. K. Ganguly. 1995. Anti-hyperglycemic effect of black tea (Camelliasinensis) inrat. J. Ethnopharmacol. 45, 223-226. 

  3. Imokawa, G. and Y. Mishima. 1981.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using tyrosinase binding affinity chromatography. Br. J. Dermatol. 104. 513-539. 

  4. Kang, K. S. 2007. The Evalution of Anti-wrinkle Effects in Oriental herb extract. J. Life Sci. 17, 1147-1151. 

  5. Kim, S. N., S. H. Lee, B. K. Lee, and I. S. Jang. 2002. A compositions containing Anthriscus sylvestris Hoffmann extract or Petroselinum sativum Miller extract for external application having effects of improving skin wrinkle. Korea Institute of Patent Information. 10-2002-0079594 

  6. Kim, Y. G., Y. H. Lee, M. K. Kang, B. H. Lee, J. K. Yun, S. B. Kim, and C. J. Kim. 2009. Prepar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containing $\beta$ -carotene derived from recombinant Escherichia coil and evaluation of anti-wrinkle efficacy by clinical testing.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399-404. 

  7. Kligman, D. 2000. Cosmeveuticals. Dermatol. Clin. 18, 609-615. 

  8. Kwak, Y. J., D. H. Lee, N. M. Kim, and J. S. Lee. 2005. Scree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skin aging elastase inhibitor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213-216. 

  9. Lee, S. Y., J. H. An, and H. Y. Cho. 200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MP-1 inhibitor Peptide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in fibroblast cell line HS68 cell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60-65. 

  10. Park, A. Y. 2009. Effects of Extracts from Chestnut Inner Shell on Skin Catholic University. Daegu, Korea. 

  11. Seong, J. K. 2007. Lignan glycosides of vaccinium oldhami Miquel. Korean J. Pharmacognosy 38, 296-298. 

  12. Suk, C. H. 1997. Pharmaceutical characteristics and dermatophysiological effects of cosmeceuticals containing Chestnut bark extract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3. Tsuji, N., S. Moriwaki, Y. Suzuki, Y. Takema, and G. Imokawa. 2001.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14. Wunsch, E. and H. G. Heidrich. 1963.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kollagenase. Hoppe-Seyler's. Physiol. Chem. 333. 149-151. 

  15. Yagi, A., T. Kanbara, and N. Morinobu.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3981, 517-519. 

  16. Yang, M. J., S. J. Lim, H. S. Ahn, M. A. Kim, and R. M. Ahn. 1999. Inhibitory effect of Chestnut bark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biosynthesis. Korean J. Env. Hlth Soc. 25, 37-43. 

  17. Yoon, W. J. 1997. The study on the hemidity preserving effect with several natural pack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