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모듈이 지구과학 영재학생들의 별의 일주운동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stronomical Animation Module on Earth Science Gifted Students's Conceptual Change of Diurnal Motio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2, 2011년, pp.200 - 211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  김보희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박경수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박경진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별의 일주운동 개념변화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별의 일주운동을 학습하지 않은 학생 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애니메이션 모듈은 Flash MX를 사용하여 3차원적 공간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개발하였다. 또한, 개별학습이 용이하도록 교사가 육성 녹음한 내용을 삽입하였고, 보충 학습자료를 제시하였다. 애니메이션 모듈은 태양계의 운동 단원으로 지구의 운동, 달의 운동, 행성의 운동으로 구성되었다. 애니메이션 모듈을 적용하기 전에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별의 일주운동에 대한 선개념을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학습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사전 검사와 비교하여 개념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위도 방위별 별의 움직임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3명의 학생은 모든 방향에 걸쳐 정확하게 나타냈다. 그리고 4명의 학생들이 별의 일주운동 모습이 모든 방향에서 직선 형태로 움직인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중위도에서 별이 움직이는 각도가 직각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했던 4명의 학생 모두 비스듬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개념이 변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stronomical animation module on students' conceptual change regarding the concepts of diurnal motion of stars. Four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o never learned about the diurnal motion of stars. An animation module was develop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개념을 확립하는데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태양계의 운동 단원 중 별의 일주운동 단원을 선정하여 학습 전과 후에 학생들의 선개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하기 전 별의 일주운동이 생기는 이유, 위도별·방향에 따른 별의 일주운동 모습,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이유, 달의 위상 변화가 생기는 이유를 그림을 통해 나타내 보도록 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선개념을 알아보았다.
  • 별의 일주운동은 태양계의 운동 단원 중 지구의 운동의 핵심이 되는 내용으로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며 이 때문에 많은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래서 학습자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난 후 별의 일주운동에 관한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수업 후 학생들이 생각하는 별의 일주운동의 개념을 그림을 그려 설명하게 하였다.
  • 여기에서는 집단 학습보다는 개별 학습의 효과가 크다는 연구 결과(정상목 외, 2005)에 따라 교사가 직접 육성 녹음한 강의 내용을 삽입하여 학생들이 교사와 일대일로 학습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어 학습효과를 극대화시켰다. 그리고 각 화면마다 학생들이 이해해야 할 주요 개념에 대해 하단 부분에 질문으로 제시하 여 다시 한번 상기하도록 하였다. 이 화면의 오른쪽 하단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면, 학생들이 구체적으로 알고자 하는 학습 내용에 대한 요약정리가 탑재 되어 있다(Fig.
  • 따라서, 본 연구는 ‘태양계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모듈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선개념이 어떻게 과학개념으 로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또한,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학습에 필요한 별도의 보충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태양계의 운동’ 단원을 학습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모듈을 개발하고 개발된 학습자료가 학생들의 과학개념을 확립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태양계의 운동 단원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모듈을 개발하고 개발된 학습자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태양계의 운동에 대해 학생들이 어떤 선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 중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는 별의 일주운동 단원에 대해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난 후 학생들의 선개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개념을 확립하는데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태양계의 운동 단원 중 별의 일주운동 단원을 선정하여 학습 전과 후에 학생들의 선개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았다.
  • 애니메이션 모듈이 학생들의 과학개념을 획득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그러나 개발된 학습자료 내용 중에서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이유, 달의 위상 변화가 생기는 이유 등은 학생들이 과학개념을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학습자료의 효과를 알아보기가 어려웠다.
  • 본 연구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태양계의 운동 단원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모듈을 개발하고 개발된 학습자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태양계의 운동에 대해 학생들이 어떤 선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 중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는 별의 일주운동 단원에 대해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난 후 학생들의 선개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태양계의 운동에 대해 학생들은 어떠한 선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과학에서 원인을 밝히는데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구과학의 학문적 특성은 시·공간적으로 광범위 한 범위를 취급하며 3차원적 공간에서 다양한 원인 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원인을 밝히는데 어려움이 있다(이원국 외, 2000). 특히 천체의 운동과 같은 개념은 추상적일 뿐 아니라 고차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매우 어려워 하고 그로 인해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된다(명전옥, 2001; 변재성 외, 2004).
애니메이션 기법이란 무엇인가? 이에 따라 일선 학교에서도 변화한 시대에 맞는 강의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전통적인 설명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 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이고 학습의 효과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ICT 학습자료가 개발되고 있다(Smaldino and Thompson, 1990). 이러한 ICT 학습자료 중 하나인 애니메이션 기법은 여러 개의 정지 영상을 차례로 보여줌으로써 화면이 움직이는 것과 같이 보이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를 활용한 애 니메이션 모듈은 살아 움직이는 생동감을 표현할 수 있고, 가상적인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직접 관찰하기 힘든 자연 현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다(박주서, 2010).
본 논문에서 태양계의 운동 단원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모듈을 개발하고 개발된 학습자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잘못된 선개념을 가지고 있는 별의 일주운동 단원에 대해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난 후 학생들의 선개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결론은 무엇인가? 첫째, 학생들은 별의 일주운동을 입체적인 공간에 표현하는데 매우 어려워하였다. 특히 연구자가 제시 한 구를 지구로 생각한 학생들은 중위도 모든 방향 에서 별의 일주운동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으나 연 구자가 제시한 구를 천구로 생각한 학생들은 중위도 북쪽 하늘에서의 움직임을 북극성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면서 회전한다고 제대로 표현하였다. 이것은 천구의 개념 획득 여부에 따라 별의 일주운동을 이 해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천구에 대한 학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은 북쪽을 기준으로 방위를 구별할 수 있으며 북극성이 있는 쪽이 북쪽 하늘이라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구 상에서 중위도 방위별 별의 일주운동 모습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 것은 지상에서의 방향과 천구 상에서의 방향이 다른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그러나 천구는 지구의 중심을 그 중심으로 하여 무한히 연장 한 대원으로서 지구에서의 방향이 천구에서의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북쪽 하늘인 북극성을 중심으로 천 구 상에서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위 개념에 대한 학 습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난 후 학생들은 천구의 개념을 이해하였으며, 천구 상에서 북극성이 있는 쪽을 북쪽하늘로 기준을 정한 후 동·남·서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 후 별이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으로 제대로 표현하였으며, 위도에 따라 북극성의 고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위도 별로 관측되는 별이 달라지는 이유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방향에 따른 별의 움직임을 나타 낼 때 모두 직선 형태로 움직인다고 답하였다. 이것은 학습자료에 제시된 사진이 직선으로 나타났기 때 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별의 일주운동은 평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천구라고 하는 무한히 큰 구면상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실제 별의 움직임을 큰 대원으로 연장하면 직선 형태가 아닌 구면에서 나타난다는 설명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구자홍, 2000, 고등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과의 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 p. 

  2. 곽영순, 2007, 과학과(7-10학년) 차기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특징 및 개정 의의. 교원연구, 23, 185-199. 

  3. 김희수, 1999, 학습자 능력에 따라 진행되는 인터넷용 멀티미디어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고등학교 지구과학의 천문학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0, 3-17. 

  4. 나재준, 박종범, 국동식, 2010,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학습의 효과: 중학교 2학년 “지구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1, 164-171. 

  5. 명전옥, 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 339-349. 

  6. 박주서, ICT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교수-학습안 개발 :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1 p. 

  7.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 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 35, 519-531. 

  8. 송완숙, 2003, 관측활동을 통한 별자리 운동의 개념변화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0 p. 

  9. 심기창, 김희수, 정정인, 2005, 달의 운동에 대한 웹 기반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450-464. 

  10. 이경훈, 임종옥, 2010, 9학년 학생의 공간 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의 획득. 한국지구과학회지, 31, 267-275. 

  11. 이용섭, 김상달, 김종희, 2004, 초등학교 과학과 지진 학습에 대한 애니메이션 모듈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 293-302. 

  12. 이원국, 김여상, 김칠영, 김종헌, 김희수, 2000, 지구과학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 데이터베이스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1, 116-127. 

  13. 정상목, 한병래, 송기상, 2005, 초등과학 수업을 위한 애니메이션 기반 튜터링 다이얼로그 에이전트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9, 673-685. 

  14. Krajcik, J., Simmons, P., and Lunetta, V., 1988, A research strategy for the dynamic study of students’ concepts and problem solving strategies using science softwa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5, 147-155. 

  15. Smaldino, S. and Thompson, C., 1990, Infusion of science software: Applying Gagne's strategies. Journal of Computer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9, 17-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