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배수재 간격비에 따른 스미어 발생 지반의 압밀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onsolidation Behavior of the Smeared Soil for Various Spacing Ratios of Vertical Drain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7 no.4, 2011년, pp.77 - 87  

윤찬영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강희웅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영훈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이 연구에서는 실내에서 스미어가 발생한 지반을 모사하고 배수재 간격에 따른 스미어의 영향이 차후의 압밀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형압밀챔버와 모형 맨드렐 관입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압밀시험을 실시하였고 연직배수공법의 효율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과압밀 영역에서는 스미어의 영향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침하량도 증가하였으나, 정규압밀영역에서 스미어에 의한 침하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연직배수재를 설치한 경우 압밀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배수재 간격비가 감소하고 배수거리가 짧아지더라도 짧아진 배수거리만큼 압밀속도가 빨라지지는 않으며 오히려 압밀효율은 감소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ainage spacing and smear on the rate of consolidation and the efficiency of vertical drain method, a series of consolidation tests with a large consolidation chamber and special equipment for inserting mandrels were conducted. As the smeared region increases, total s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실내에서 스미어가 발생한 지반을 모사하고 배수재 간격에 따른 스미어의 영향이 차후의 압밀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형압밀챔버와 모형 맨드렐 관입 장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배수재 간격에 따른 압밀속도와 스미어의 영향을 비교하였고 연직배수공법의 효율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수행된 실험은 원통형 시료의 중앙부 연직배수재와 함께 상부 샌드매트가 설치되어 연직 및 방사배수 조건에서 압밀이 진행된다. 기존연구에 따르면 스미어는 지반의 방사방향 투수계수 및 압밀계수에만 영향을 주고 연직방향 투수계수 및 압밀계수는 스미어 발생 후에도 큰 차이가 없으므로(Indraratna와 Redana, 1998), 연직과 방사배수가 동시에 발생하는 지반에서 배수방향에 따른 압밀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스미어 발생으로 인한 연직배수 압밀계수의 변화는 없다고 가정하였다. 먼저 연직배수 조건에서만 수행한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100kPa(과압밀) 재하 및 200kPa(정규압밀) 재하 과정에서의 압밀계수, 압축지수, 간극비 등을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해 많이 이용하고 있는 공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연직배수(vertical drain)공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 때 연직배수재의 설치과정에서 주변지반의 교란이 발생하는데, 연직배수재 설치를 위한 맨드렐 관입 시 주변 지반은 맨드렐 단면적만큼 방사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소성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인발 시에는 맨드렐과 배수재 사이에 빈 공간이 생겨 흙이 다시 섞이는 과정에서 재차 교란이 발생하게 된다.
스미어(smear)란 무엇인가? 이 때 연직배수재의 설치과정에서 주변지반의 교란이 발생하는데, 연직배수재 설치를 위한 맨드렐 관입 시 주변 지반은 맨드렐 단면적만큼 방사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소성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인발 시에는 맨드렐과 배수재 사이에 빈 공간이 생겨 흙이 다시 섞이는 과정에서 재차 교란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직배수공법의 적용을 위한 연직배수재 타설 시 맨드렐의 관입과 인발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변지반의 교란을 스미어(smear)라고 한다. 스미어가 발생하면 맨드렐에 인접한 지반의 투수계수는 원지반의 투수계수보다 현저히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압밀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양한 배수재 간격에 따른 압밀속도와 스미어의 영향을 비교하여 연직배수공법의 효율을 분석한 결과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1) 과압밀 영역에서는 배수재 직경 및 개수가 증가할 수록 스미어의 영향범위가 증가하면서 최종 침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규압밀시료에서는 배수재 간격비와 상관없이 최종 침하량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2) 연직배수 조건에 비해 샌드 드레인이 설치된 지반에서 압밀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n값이 감소하여 배수거리가 짧아지더라도 짧아진 배수거리만큼 압밀속도가 빨라지지는 않았다. 이는 n값이 감소함에 따라 배수거리는 짧아지지만 스미어의 영향이 증가하여 압밀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압밀속도는 배수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시간을 배수거리의 제곱으로 나누어 정규화한 결과, n값이 감소함에 따라 스미어의 영향이 증가하면서 압밀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역해석을 통하여 방사배수 압밀계수를 산정한 결과, 방사배수 압밀계수는 n값이 작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과압밀 영역에서 방사배수 압밀계수는 n=15일 때 연직배수 압밀계수에 비하여 2.47배 크지만 n값이 3.75로 감소함에 따라 압밀계수도 연직배수에 비하여 0.11배까지 감소하였으며, 정규압밀 영역에서도 3.37∼0.18배까지 감소하였다. 따라서 방사배수는 연직배수보다 압밀속도를 증가시키지만, 압밀계수로 평가한 압밀효율에 대해서는 배 수재 간격비(n)가 3 이하인 방사배수가 연직배수보다 효율이 떨어진다. (4) 실험이 완료된 후에 시료의 단면을 잘라서 위치별 강도와 함수비를 측정한 결과, 다른 위치보다 배수면 근처에서 약 1∼2kg/cm2의 더 큰 강도 및 약 3∼13%의 더 작은 함수비의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방사배수 압밀과정에서 배수거리에 따른 압밀속도 차이로 인하여 유발되는 위치별 물성치 차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경오, 김유석 (2007), "멘드렐 관입에 의한 연약점토의 교란범위 산정을 위한 원심모형실험", 대한토목학회지, 제 10호, pp.2140-2143. 

  2. 김수삼, 장연수, 고경환 (1997), "스미어존 형성과 투수성 변화에 미치는 멘드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지, 제 13권, 제 5호, pp.45-57. 

  3. 김홍택, 황정순, 김승욱, 한연진, 유찬호 (2006), "연직배수재 타설시 발생되는 스미어 죤의 평가",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pp. 43-52. 

  4. 박영목 (2003), "맨드렐 관입에 기인하는 스미어 존의 평가",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 19권, 제 6호, pp.217-225. 

  5. 박영목, 서정유, 김재석, 유연재 (2007), "맨드렐 관입길이에 따른 연약지반 스미어 존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제 10호, pp.2127-2130. 

  6. 윤찬영, 손대진, 천성호, 정충기 (2009), 스미어로 의한 점성토 지반의 간극비 및 투수계수의 위치별 차이와 압밀 중 변화 거동에 대한 연구: Part I 실험 및 거동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9권 제4C호, pp.137-144. 

  7. 윤찬영, 조경진, 정충기 (2008), 다층지반 및 스미어 경계면 해석을 위한 유한차분 압밀해석 기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 28권 제 5C호, pp.283-292. 

  8. Almeida, M. S. S., Santa Maria, P. E. L., Martins, I. S. M., Spotti, A. P., Coelho, L. B. M. (2000), Consolidation of a very soft clay with vertical drains, Geotechnique, Vol.50, No.6, pp.633-643. 

  9. Atkinson, J.H., Evans, J.S., and Ho, E.W.L. (1985) Non-uniformity of triaxial samples due to consolidation with radial drainage. Geotechnique, Vol.35, No.3, pp.353-355. 

  10. Barron, R. A. (1948), "Consolidation of Fine-Grained Soils by Drain Wells", Trans, ASCE, 2346, 221-228. 

  11. Bergado, D. T., Asakami, H., Alfaro, M. C., and Balasubramamiam, A.S. (1991) "Smear effects of vertical drains on soft Bangkok clay", J. Geotech. Engrg., ASCE 117(10), 1509-1530. 

  12. Bo Myint Win., Bawajee, R., Chu, J. Choa, V. (2000), Investigation of smear zone around vertical drain,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ound Improvement Techniques, pp.109-114. 

  13. Escario, V. and Uriel, S. (1961), Determining th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and Horizontal Permeability by Radial Drainage, 5th ICSMFE, Vol.1, pp.83-87. 

  14. Hansbo, S. (1979) "Consolidation of Clay by Band-shaped Prefabricated Drains", Ground Engineering, Vol.12, No.5, 21-25. 

  15. Hansbo, S. (1981) "Consolidation of fine-grained soils by prefabricated drains", Proc. 10th Int. Conf. Soil Mech. Found. Eng., Stockholm, Sweden Vol.3, paper 12/22, 677-682. 

  16. Hird, C. C., Moseley, V. J. (2000), Model study of seepage in smear zones around vertical drains in layered soil, Geotechnique, Vol.50, No.1, pp.89-97. 

  17. Indraratna, B. and Redana, I. W. (1998), Laboratory Determination of Smear Zone due to Vertical Drain Installation,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24, No.2, pp. 180-184. 

  18. McKinlay, D. G. (1961), A Laboratory Study of Rates of Consolidation in Clay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Conditions of Radial Porewater Drainage, 5th ICSMFE, Vol.1, pp.225-228. 

  19. Onoue, A., Ting, N., Germain, J. T. and Whitman, V. (1992), Permeability of Disturbed Zone Around Vertical Drains, Applied Ground Improvement Techniques, Vol.2, pp.163-174, Bangkok, Thailand. 

  20. Prawono, S. (1981), Sand Drain Model by Central Drain Oedometer, 10th ICSMFE, Vol.1, pp.745-750. 

  21. Pyrah, I.C., Smith, I.G.N., Hull, D. and Tanaka, Y. (1999), Nonuniform consolidation around vertical drains installed in soft ground. Geotechnical Engineering for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Balkema, pp.1563-1569. 

  22. Rowe, P. W. and Barden, L. (1966), A new consolidation cell, Geotechnique, Vol.16, No.2, pp.162-170. 

  23. Sathananthan, I. and Indraratna, B. (2006), Laboratory evaluation of smear zone and correlation between permeability and moisture content,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2, No.7, pp.942-945. 

  24. Sharma, J. S., Xiao, D. (2000), Characterization of a smear zone around vertical drains by large-scale laboratory tests, Can. Geotech. J., Vol.37, pp.1265-1271. 

  25. Shields, D. H. and Rowe, P. W. (1965), Radial Drainage Oedometer for Laminated Clays,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Division, ASCE, Vol.91, No.SM1, pp.15-23. 

  26. Trautwein, S. J., Olson, R. E. and Thomas, R. L. (1981), Radial Flow Consolidation Testing, 10th ICSMFE, Vol.1, pp.811-8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