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미어 영역 겹침이 점성토 지반의 압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Overlapping Smear Zone on the Consolidation of Clayey Soil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9 no.4, 2013년, pp.13 - 22  

윤찬영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범준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강희웅 (다산이엔지 지반사업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스미어가 발생한 지반을 모사하고 배수재 간격비에 따른 스미어 영역 겹침 유 무가 차후의 압밀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형압밀챔버와 맨드렐 관입시험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고 연직배수공법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및 해석결과 스미어 발생은 침하량을 증가시키지만 스미어 겹침은 반대로 침하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연직배수재를 설치하면 압밀이 촉진되지만 배수재 간격을 줄여도 스미어의 영향으로 압밀속도는 크게 빨라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스미어 영역이 겹칠 정도로 배수재 간격을 줄이면 압밀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imulate the soft ground improved by vertical drain metho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verlapping smear on subsequent consolidation behavior, a series of consolidation tests with a large consolidation chamber and mandrel insertion device were conducted. Based on the test result, numeric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미어 영역 겹침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위하여 점성토 지반에 연직배수재를 설치하고 다양한 배수재 간격비를 모사할 수 있는 실험장비를 구축하였다. 개발된 장비를 이용하여 배수재 간격비와 스미어 영역의 겹침 유・무에 따라 다양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한뒤, 이를 바탕으로 유한요소 해석을 실시하였고, 지반의 압밀거동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직배수(vertical drain)공법의 단점은? 연약한 점성토 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직배수(vertical drain)공법은 배수재 설치를 위한 맨드렐의 관입・인발 과정에서 배수재 주변 지반을 교란시키며 스미어 영역(smear zone)을 형성한다. 스미어 영역에서는 특히 투수성이 크게 저하되어 압밀속도가 느려지고 지반개량 시간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스미어 영역 겹침이란? , 1991; Indraratan and Redana, 1998; Sharma and Xiao, 2000; Sathananthan et al., 2008) 연직배수공법에서 압밀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배수재 간격을 좁히는 경우 스미어 영역이 겹치게 될 수도 있다. 이를 스미어 영역 겹침 (overlapping smear zone)이라고 하며(Fig.
스미어 영역의 범위는? 스미어 영역에서는 특히 투수성이 크게 저하되어 압밀속도가 느려지고 지반개량 시간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스미어 영역은 일반적으로 배수재 직경의 2~6배 정도로 보고되고 있는데(Hansbo, 1981; Bergado et al., 1991; Indraratan and Redana, 1998; Sharma and Xiao, 2000; Sathananth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ergado, D. T., Asakami, H., Alfaro, M. C., and Balasubramamiam, A. S. (1991), "Smear effects of vertical drains on soft Bangkok clay",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CE, Vol.117, No.10, pp.1509-1530. 

  2. Choi, W. J., Kang, M. C., Koo, J. G., and Lee, S. (2001), "The Evaluation of consolidation rate by considering of varying permeability in smear zone", Proceedings of KSCE National Conference, pp.2963-2966. 

  3. Hansbo, S. (1981), "Consolidation of fine-grained soils by prefabricated drains", Proc. 10th Int. Conf. Soil Mech. Found. Eng, Stockholm, Vol.3, pp.677-682. 

  4. Indraratna, B. and Redana, I. W. (1998), "Laboratory Determination of Smear Zone due to Vertical Drain Installation",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24, No.2, pp.180-184. 

  5. Joo, J. W., Jung, G. H., Kim, J. Y., and Cho, J. K. (2002), "Horizontal Drainage Consolidation Test by Rowe Cell", Proceedings of KSCE National Conference, pp.2355-2358. 

  6. Lee, S. J., Bae, K. T., Jang, S. M., and Lee, J. G. (2003), "Experimental Study of Smear Effect on Sand Drain methods of Installation", Proceedings of KSCE National Conference, pp.3440-3444. 

  7. Onoue, A., Ting, N., Germain, J. T., and Whitman, V. (1992), "Permeability of Disturbed Zone Around Vertical Drains", Applied Ground Improvement Techniques, Vol.2, pp.163-174, Bangkok, Thailand. 

  8. Onoue, A. (1988), "Consolidation by vertical drains taking well resistance and smear into consideration", Soils and Foundations, Vol.28, No.4, pp.165-174. 

  9. Sharma, J. S. and Xiao, D. (2000), "Characterization of a smear zone around vertical drains by large-scale laboratory test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37, pp.1265-1271. 

  10. Saye, S. R. (2001), "Assessment of soil disturbance by the installation of displacement sand drains and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ASCE, Vol.119, pp.325-362. 

  11. Sathananthan, I., Indraratna, B., and Rujikiatkamjorn, C. (2008), "Evaluation of smear zone extent surrounding mandrel driven vertical drains using the cavity expansion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Geomechanics, Vol.8, No.6, pp.355-365. 

  12. Walker, R. and Indraratna, B. (2007), "Vertical drain consolidation with overlapping smear zone", Geotechnique, Vol.57, No.5, pp. 463-467. 

  13. Yoo, S. J., Kim, J. K., Chae, Y. S., and Park, Y. M. (2006), "A Study on the Soft Ground Distubance Characteristics by Large Block Sample", Proceedings of KGS National Fall Conference, pp.1070-1077. 

  14. Yune, C. Y., Son, D. J., Chun, S. H., and Chung, C. K. (2009), "Spatial Variation of Void Ratio and Permeability by Smear and Its Changing Behavior during Consolidation : Part I Physical Model Test and Analysis" Journal of KSCE, Vol.29, No.4C, pp.137-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