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실잣밤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Extract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2, 2011년, pp.200 - 207  

김지영 ((재)제주테크노파크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윤원종 ((재)제주테크노파크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임은영 ((재)제주테크노파크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박수영 ((재)제주테크노파크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김영주 ((재)제주테크노파크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송관필 ((재)제주테크노파크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실잣밤나무를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식품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실잣밤나무의 잎을 에탄올로 추출하고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였다. 먼저, 항산화활성으로 DPPH 소거활성,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 그리고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을 농도별로 조사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해 Bacillus sublit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그리고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높은 활성을 띠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때, 구실잣밤나무 잎 추출물은 식품 보존제의 개발에 적합할 수 있다고 사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utilization of Castanopsis cuspidata as a source of antiseptic agents. The leaves of C. cuspidata, extracted by 80% ethanol, were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and n-butanol. In order to effectively screen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본 연구에서는 자원식물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구실잣밤나무의 잎을 이용하여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용매분획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효과를 검색하고,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구실잣밤나무를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식품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실잣밤나무의 잎을 에탄올로 추출하고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실잣밤나무는 지리적으로 어디에 분포하는가? 참나무과 식물인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cuspidatavar. sieboldii)는 상록 활엽 교목으로 지리적으로 일본, 중국, 타이완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완도 등 남해안이남 지역에 분포한다(Lee, 1998). 주로 제주에 서는 하천을 따라 많이 분포하며 열매는 날로 먹거나 구워서 먹고, 떡이나 묵에 넣어서 먹기도 한다.
식품 보존제로 사용되고 있는 인공 합성품의 부작용을 해결하고자 어떤 물질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식품 보존제로는 인공 합성품이 많이 사용 되고 있으나 이러한 화학약품으로 인하여 부작용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고자 천연물에 존재 하는 항균성 물질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Kim et al., 2006; Kim et al.
참나무과는 우리나라의 수목에 약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가? , 2008). 특히 참나무과는 우리나라의 수목에 약 27%을 차지하고 있으며, 열매는 식용으로 사용하였고, 민간요법에서는 잎과 껍질을 설사, 진통, 지혈등에 사용해 왔다(Yoon, 1994; Kim, 1996). 참나무과에 대한 생리활성평가는 항산화, 항염증, 항암, 항균 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항균에서는 참나무과의 잎 추출물이 식품유해미생물에 대한 높은 항균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져 있다(Lee and Shin, 1991; K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k, T. and I. Gulcin. 2008.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curcumin. Chem. Biol. Interact. 174:27-37. 

  2. Al-Bayati, F.A. 200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Mentha longifolia L. leaves grown wild in Iraq. Ann. Clin. Microbiol. Antimicrob. 8:20. 

  3. Amster, D. 1996. Susceptibility testing of antimicrobial in liquid media, antibiotics in laboratory medicine. 4th ed. Williams and Wikins, MD, USA. pp. 52-111. 

  4. Beuchat, L.R., and D.A. Golden. 1989. Antimicrobials occurring naturally in food. Food. Technol. 43:134-139. 

  5. Cho, M.H., E.K. Bae, S.D. Ha and J.Y. Park. 2005.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Food. Sci. Ins. 38:36-45 (in Korean). 

  6. Choi, I., J.Y. Cho and S.C. Lim.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Kor. J. Plant Res. 19:491-496 (in Korean). 

  7. Choi, M.Y. and T.J. Rhim. 2008. Antimicrobial effect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 on food-bone pathogens. Kor. J. Plant Res. 21:352-356 (in Korean). 

  8. Choi, Y, S.M. Lee, J. Chun, H.B. Lee and J. Lee.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381-387 (in Korean). 

  9. Greig, J.D. and A. Ravel. 2009. Analysis of foodborne outbreak data reported internationally for source attribution. Int. J. Food. Microbiol. 130:77-87. 

  10. Hayes, A.J. and B. Markovic. 2002. Toxicity of Australian essential oil Backhousia citriodora (Lemon myrtle). Part 11.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Food. Chem. Toxicol. 40:535-543. 

  11. Kang, J.T., N.C. Park and Y.G. Chung. 2002. Effects of the soil properties on growth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Dendropanax morbifera stands in warm temperate forest zone. J. Kor. For. Soc. 91:679-689 (in Korean). 

  12. Kang, Y.J., G.P. Hong, H.J. Kwon, J.K. Hong, B.K. Park and D.H Oh. 2001. Antimicrobial activities of Quercus spp. leaf ethanol extracts against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J. Kor. Soc. Food. Sci. Nutr. 30:415-420 (in Korean). 

  13. Kim, H.Y., Y.J. Lee, S.H. Kim, K.H. Hong, Y.K. Kwon, J.Y. Lee, S.C. Ha, H.Y. Cho, I.S. Chang, C.W. Lee and K.S. Kim. 1999.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eservatives from natural products. Kor. J. Food. Sci. Technol. 31:1667-1678 (in Korean). 

  14. Kim, J.Y., J.A. Lee, W.J. Yoon, D.J. Oh, Y.H. Jung, W.J. Lee and S.Y. Park. 2006.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uphorbia jolkini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8:699-706 (in Korean). 

  15. Kim, T.U. 1996. The forest of Korea. 1st ed. Kyohak Press Inc, Seoul, Korea. p. 20 (in Korean). 

  16. Lee, B.W. and D.H. Shin. 1991.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 J. Food. Sci. Technol. 23:205-211 (in Korean). 

  17. Lee, S.J., K.W. An, T.S. Choi, H.S. Jung, J.H. Moon and K.H. Park. 2010.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ut. Kor. J. Food. Preserv. 17:139-144 (in Korean). 

  18. Lee, T.B. 197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11 (in Korean). 

  19. Lee, Y.N. 1998. Flora of Korea. 3th ed.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 72 (in Korean). 

  20. Liu, R.H. 2004. Potential synergy of phytochemicals in cancer prevention: mechanism of action. J. Nutr. 134:3479-3485. 

  21. Maregesi, S.M, L. Pieters, O.D. Ngassapa, S. Apers, R. Vingerhoets, P. Cos, D.A. Berghe and A.J. Vlietinck. 2008. Screening of some Tanzanian medicinal plants from Bunda district for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viral activities. J. Ethnopharmacol. 119:58-66. 

  22. Mothana, R.A. and U. Lindequist.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of the island Soqotra. J. Ethno-Pharmacol. 96:177-181. 

  23. Nara, K., T. Miyoshi, T. Honma and H. Koga.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bound-form phenolics in potato peel. Biosci. Biotechnol. Biochem. 70:1489-1491. 

  24. Park, S.K. and J.C. Park. 1994.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coumaric acid isolated fro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 J. Biotechnol. Bioeng. 9:506-511 (in Korean). 

  25. Ryu, S.W., C.W. Jin, H.S. Lee, J.Y. Lee, K. Sapkota, B.G. Lee, C.Y. Yu, M.K. Lee, M.J. Kim and D.H. Cho. 2006. Changes in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biscus cannabinus L. Kor. J. Med. Crop. Sci. 14:307-310. 

  26. Silva, E.G., G.A. Behr, A. Zanotto-Filho, R. Lorenzi, M.A. Pasquali, L.G. Ravazolo, C.L. Bordignon, F.A. Silva, A.L. Aboy, V.L. Bassani, A.T. Henriques, F.H. Reginatto, F. Dal-Pizzol and J.C. Moreira. 2007. Antioxidant activitie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Bauhinia microstachya (RADDI) MACBR. (Caesalpinaceae) extracts linked to their polyphenol content. Biol. Pharm. Bull. 30:1488-1496. 

  27. Singleton, V.L., R. Orthofer and R.M. Lamuela-Raventos.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ic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152-178. 

  28. Topisirovic, L., M. Kojic, D. Fira, N. Golic, I. Strahinic and J. Lozo. 2006.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pecific natural niches in food production and 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112:230-235. 

  29. Valentova, K., F. Sersen and J. Ulrichova. 2005. Radical scavenging and anti-lipoperoxidative activities of Smallanthus sonchifolius leaf extracts. J. Agric. Food. Chem. 53:1577-1582. 

  30. Yoon, J.H. 1994. Introduction of Forestry. 1st e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cademic Press Inc, Chunchon, Korea. p. 29 (in Korean). 

  31. Yun, J.W., M.Y. Yoo, B.K. Park, M.K. Lee and D.H. Oh,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Quercus spp. leaf against foodborne pathogens. J. Kor. Soc. Food. Sci. Nutr. 33:463-46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