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에 따른 배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Korean Pear Speci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2, 2011년, pp.253 - 259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신소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김나래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황주광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에서 많이 재배하는 배나무속(Pyrus)의 신고배(P. pyrifolia var. culta)와 한국산 야생배 5종의 항산화 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배나무(P. pyrifolia), 취앙네(P. ussuriensis var. acidula), 백운배나무(P. ussuriensis var. hakunensis), 문배나무(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무심이배(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등 5종류의 한국산 야생배와 신고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신고배(76.8 $mg{\cdot}g^{-1}$, D.W.),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취앙네(1.12 $mg{\cdot}g^{-1}$, D.W.)에서 가장 많았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기 달랐으나, P. pyrifiolia 계통에서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보다 많고, P. ussuriensis 계통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총 폴리페놀의 함량 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문배나무($RC_{50}$=1.45 $mg{\cdot}mL^{-1}$),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취앙네($RC_{50}$=0.69 $mg{\cdot}mL^{-1}$)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신고배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DPPH와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가장 낮았으며, 문배나무의 과실은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낮았으나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특징을 보였다. $Fe^{2+}$ chelating은 radical 소거능이 낮았던 신고배(95.93%)와 무심이배(68.71%)에서 우수하였다. 따라서 야생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radical 소거활성과 반드시 비례하지 않으며, 추출물의 radical 소거활성 또한 $Fe^{2+}$ chelating 활성과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한국산 야생배 중 취앙네, 문배나무, 무심이 배의 과실은 신고배보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 기능성 천연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각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다르므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함께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ies, contents and activities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the fruits of a pear cultivar and five Korean wild pear line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highest with Pyrus pyrifolia var. culta "Shingo" (7.68 $mg{\cdot}g^{-1}$, D.W.) while to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재배종보다 생리활성이 우수한 야생배를 선발하여 한국산 야생배를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돌배, 취앙네, 백운배, 문배, 무심이배 등 5종류의 한국산 야생배와 시중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신고배(Park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나무는 어떤 과수인가? 장미과 배나무속의 배나무는 세계 4대 과수 중 하나이며(Hong et al., 2004), 우리나라에서는 사과, 감귤, 포도에 이어 많이 재배되는 과수이다(Choi et al., 2004).
항염, 항암, 항산화 및 항혈전 작용 등이 있는 성분으로 배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배는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인 등이 많이 함유된 알칼리 식품이며(Lee et al., 1975), 특히 배의 과육, 과피 등에는 폴리페놀 중 flavan-3-ol을 기본 구성단위로 하며 다양한 항염, 항암, 항산화 및 항혈전 작용 등이 있는 축합형 탄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Okuda et al., 1981; Jangaard, 1970).
배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무엇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는가? 는 당도가 높고 수분함량이 많아 기호도가 높으므로 생과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Zhang et al.,, 2003), 예로부터 한방에서 가래, 기침, 숙취, 해열, 이뇨 및 변비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Yu, 1989). 또한 배는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인 등이 많이 함유된 알칼리 식품이며(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B.J., J.T. Lee, J.H. Gwag, J.M. Park, J.Y. Lee, J.H. Shon, J.H. Bae, and C. Chung. 2004. Biological activity of polyphenol group fraction from Korean pear peel. J. Kor. Soc. Appl. Biol. Chem. 47:92-95 (in Korean).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8-1204. 

  3. Bors, W. and M. Saran. 1987. Radical scavenging by flavonoid antioxidants. Free Rad. Res. Comm. 2:289-294. 

  4. Braca, A., M. Politi, R. Sanogo, H. Sanou, I. Morelli, C. Pizza, and N. D.T. 2003.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from wild and cultivated Scerocarya birrea (Anacardiaceae) leaves. J. Agric. Food Chem. 51:6689-6695. 

  5. Choi, H.J., H.S. Han, J.H. Park, J.H. Bae, H.S. Woo, B.J. An, M.J. Bae, H.G. Kim, and C. Choi. 2003.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Korean pear on immuno-functional activity. Kor. J. Food Cult. 18:303-310 (in Korean). 

  6. Choi, H.J., J.H. Park, H.S. Han, J.H. Son, and C. Choi. 2004.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Korean pear on lipid metabolism. J. Kor. Soc. Food Sci. Nutr. 33:299-304 (in Korean). 

  7. Choi, J.H., E.Y. Lee, J.S. Kim, G.B. Choi, S.G. Jung, Y.S. Ham, D.C. Seo, and J.S. Hea. 2006. Physiological activities according to cultivars and parts of Ulsan pear. J. Kor. Soc. Appl. Biol. Chem. 49:43-48 (in Korean). 

  8. Ji, L.L. 1996. Exercise,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Am. J. Sports Med. 24(6 Suppl.):S20-S24. 

  9. Fitzpatrick, D.F., S.L. Hirschfield, and R.G. Coffey. 1993.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ing activity of wine and other grape products. Amer. J. Physiol. 265:H774-H778. 

  10. Fridovich, I. 1986. Biological effect of the superoxide radical. Arch. Biochem. Biophys. 247:1-11. 

  11. Halliwell, B. 1997.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A general introduction. Nut. Rev. 55:267-277. 

  12. Hasimoto, F., G.I. Nonaka, and I. Nishioka. 1989. Tannins and related compound from Oolong tea. Chem. Pharm. Bull. 37:3255-3263. 

  13. Heo, J.C., K.Y. Lee, B.G. Lee, S.Y. Choi, S.H. Lee, and S.H. Lee. 2010. Anti-allergic activities of ultra-fine powder from persimmon. Kor. J. Food Preserv. 17:145-150 (in Korean). 

  14. Hong, S.S., Y.P. Hong, B.S. Im, D.S. Jeong, and I.S. Shin. 2004. Influence of picking stage storage type on the fruit respiration change and panel test in 'Wonwang', 'Hwasan', and 'Mansoo' pear. Kor. J. Hort. Sci. Technol. 22:55-62 (in Korean). 

  15. Jangaard, N.O. 1970. Thin-layer chromatography of some plant phenolics. J. Chromat. 50:146-148. 

  16. Labuza, T.P. 1971. Kinetics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C Crit. Rev. Food Technol. 2:335-405. 

  17. Lee, C.B. 199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in Korean). 

  18. Lee, D.S., S.K. Woo, and C.B. Yang. 1975.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fruits in Korea. Kor. J. Food Sci. Technol. 4:123-139 (in Korean). 

  19. Park, H.M., K.S. Lee, J.S. Hong, and M.J. Oh. 2009.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during fermentation of pear (Pyrus pryifolica Nakai) wine. J. Agri. Sci. Chungnam Natl. Univ. 36:199-209 (in Korean). 

  20. Park, Y., S.H. Choi, S.H. Kim, Y.S. Jang, J. Han, and H.G. Chung. 2008.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s according to cultivars. Mokchae Konghak 36:102-109 (in Korean). 

  21. Kim, E.Y., I.H. Baik, J.H. Kim, S.R. Kim, and M.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6:333-338 (in Korean). 

  22. Kim, H.S., K.M. Ku, J.K. Suh, and Y.H. Kang. 2009.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hepatoma cell of oriental melon extract. J. Bio-Environm. Cont. 18:448-453 (in Korean). 

  23. Kim, H.Y., K.S. Woo, I.G. Hwang, Y.R. Lee, and H.S. Jeong.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Kor. J. Food Sci. Technol. 40:166-170 (in Korean). 

  24. NFRI. 1990.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ation (2).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Skuba (in Japanese). 

  25. Okuda T., T. Yoshida, and M. Ashida. 1981. Tannins of medicinal plants and drugs. Heterocycles 16:1618-1622. 

  26.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1231-1237. 

  27. Sato, M., N. Ramarathnam, Y. Suzuki, T. Ohkubo, M. Takeuchi, and H. Ochi.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37-41. 

  28. Stajner, D., N. Milic, N. Mimica-Dukic, B. Lazic, and R. Igic. 1998. Antioxidant abilities of cultivated and wild species of garlic. Phytoth. Res. 12:S13-S14. 

  29. Velioglu, Y.S., G. Mazza, L. Cao, and B.D. Oomah.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4113-4117. 

  30. Verpoorte, R., A. Contin, and J. Memelink. 2002. Bio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plant secondary metabolites. Phytochem. Rev. 1:13-25. 

  31. Yen, G.C., P.D. Duhb, and H.L. Tsaia.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307-313. 

  32. Yu, T.J. 1989. The food guide. Munundang. Seoul. p. 166. 

  33. Zhang, Y.B., H.J. Choi, H.S. Han, J.H. Park, J.H. Son, J.H. Bae, T.S. Seung, B.J. An, H.G. Kim, and C. Choi. 2003.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ol isolated from Korean pear. Kor. J. Food Sci. Technol. 35:959-9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