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미과 식물 줄기의 항산화 효과와 총 페놀류 함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and Total Phenolics Content in Rosaceae Plant Stem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12, 2014년, pp.2129 - 2134  

이준영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신소재화학과) ,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김상욱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신소재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s of four Rosaceae species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Sorbus commixta Hedlund,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and Pyrus pyrifolia (Burm.f.) Nakai were determined. Phenolic content (polyphenol and flavono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윤노리나무, 마가목, 쉬땅나무, 돌배나무 총 4종의 장미과 식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여 장미과 식물의 항산화 활성을 규명하고 새로운 천연 항산화 소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ABTS radical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를 측정하였다. 장미과 식물 에탄올 추출물의 몇 가지 항산화를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의 경우 마가목은 135.
  • 이에 본 연구는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에 조경용 수목으로 식재된 수목 가운데 쉽게 구할 수 있는 윤노리나무, 마가목, 쉬땅나무, 돌배나무 총 4종의 장미과 식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여 장미과 식물의 항산화 활성을 규명하고 새로운 천연 항산화 소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ABTS radical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를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3)Concentration of the material which is required to scavenge 50% of ferrous 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가목차은 어떠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가? tan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carotinoid성분이 풍부하여(Borisov 등, 1965) 잼이나 술을 만들어 감기와 위장약으로 활용하고, 잎은 양의 사료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가지를 말린 후 달여 마시는 마가목차는 관절염과 성인병에, 열매로 만든 마가목 술은 생식기 질환과 이질, 설사병, 대장이나 위장질환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Chung 등, 2003).
돌배나무의 열매는 어떠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가? 돌배나무의 열매는 식용하거나 통변, 이뇨, 강장, 해열, 풍열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꽃은 양봉, 목재는 기재, 건재의 용도로 이용된다. 성분으로는 4-methyl-L-proline, isoquercitrin, arbutin, astragalin 등을 함유하고 있다(Song, 1985). 그동안 장미과 식물에 관한 연구로는 약리학적, 계통분류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 왔으나(Lee 등, 2000; Nam, 2007), 항산화와 관련된 연구는 몇가지 장미과 식물에 한정되어 관련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Kim, 2008).
돌배나무의 열매는 어떠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가? 예로부터 국내에서는 강장보호, 기관지염, 동맥경화, 방광염, 보혈, 설사, 양모, 위염, 진해, 폐결핵, 해수 등에 한약재로서 사용되어 왔다(Kim, 1998). 돌배나무의 열매는 식용하거나 통변, 이뇨, 강장, 해열, 풍열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꽃은 양봉, 목재는 기재, 건재의 용도로 이용된다. 성분으로는 4-methyl-L-proline, isoquercitrin, arbutin, astragalin 등을 함유하고 있다(Song,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risawa, M., Nakaoki, T., 1969, Unutilized resources.II. a new flavonoid glycoside in the leaves of Sorbaria stellipila, Yakugaku Zasshi, 89, 705-706. 

  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58. 

  3. Borisov, M. I., Zhuravlev, N. S., 1965, Flavonoids of the flowers of Sorbus aucuparia L., Famatsevtychnyi Zhumal, 20(3), 50-52. 

  4. Cho, W. G., Han, S. K., Sin, J. H., Lee, J. W., 2008, Antioxidant of Heating Pork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37(7), 820-825. 

  5. Choi, J. H., 2009,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of antioxidative polyphenols in Korean pears and pear products for quality evaluation, Ph. 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6. Choi, Y. M., Chung, B. H., Lee, J. S., Cho, Y. G., 2006,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spp. collections, Kor. J. Crop Sci., 51, 209-214. 

  7. Choi, Y. M., Kim, M. H., Shin, J. J., Park, J. M., Lee, J. 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commercial test, J. Kor. Soc. Food Sci. Nutr., 32, 723-727. 

  8. Chung, B. H., Lee, H. Y., Lee, J. H., Kim, N. Y., Lee, S. Y., Choi, J. T., Kim, J. H., Kim, J. D., 2003, Effect of fruit extracts from Sorbus commixta Hedl.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Kor. J. Medicinal Crop Sci., 11(2), 143-147. 

  9. Ebrahimzadeh, M. A., Pourmorad, F., Bekhradnia, A. R., 2008, Iron chelating activity,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some medicinal plants from Iran,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7(18), 3188-3192. 

  10. Jeong, J. A., Kwon, S. H., Lee, C. H., 2007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ferns, Korean J. plant Res., 20, 185-192. 

  11. Kim, H. W., 1998, Screening of antioxidants from Sorbus commixta Hedlund and determination of its antioxidant activity. MS thesis, Konkuk University, Chungju, Korea. 

  12. Kim, M. S., Kim, K. H., Jo, J. E., Choi, J. J., Kim, Y. J., Kim, J. H., Jang, S. A., Yook, H. S.,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40(1), 47-55. 

  13. Kim, S. C., 2006,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 family plants and antihepatotoxic effect of Rosa rugosa, Ph. D. Dissertation, Yosu National University, Yosu, Korea. 

  14. Kim, S. H., 2008,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young stem and folium of the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S thesis, Chun-Ang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C.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16. Lee, J. R., Lee, B. Y., Kim, Y. S., 2000, A taxonomic study of Korean taxa of the Rosaceae genus sanguisorba, Kor. J. Plant Tax., 30(4), 269-285. 

  17. Lee, S. M., Lee, C. G., 2001, Toxic evaluation an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cucurbitacin D and F from Sorbaria sorbifolia,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14(2), 191-195. 

  18. Lee, Y. M., Bae, J. H., Jung, H. Y., Kim, J. H., Park, D. 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 Soc. Food Sci. Nutr., 40(1), 29-36. 

  19. Molyneux, P., 2004, The use of the stable free radical diphenylpicrylhydrazyl (DPPH)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26(2), 211-219. 

  20. Munehisa. A., Tokutaro, T., Tashichiro N., 1970, Studies on unutilized resource. . Flavonoids in the leaves of S. stellipila, Chem. Pharm. Bull., 18, 916-918. 

  21. Nam, J. H., 2007, Pharmacological studies on the triterpenoids isolated from Rosaceae plants. Ph. D.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2. NFRI, 1990,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ation(2),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Skuba, Japan. 

  23. Osman, A. M., Wong, K. K. Y., Fernyhough, A., 2006, ABTS radical-driven oxidation of polyphenols: isol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covalent adduct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46, 321-329. 

  24. Park, J. H., Kwon, J. A., Yang, Y. J., Han, H. S., Han, M. W., Lee, Y. G., Kim, I. S., Lee, J. I., Kang, S. C., 2011,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fruit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Korean J. Plant Res., 24(4), 337-342. 

  25. Pellegrini, N., Re, R., Yang, M., Rice-Evans, C. A., 1999, Screening of dietary c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the 2,2'-azobis (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26. Seo, S. J., Choi, Y. M., Lee, S. M., Kong S. H., Lee, J. S.,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27. Song, J. T., 1985, Dictionary of botany, Gobookchulpansa, Seoul, Korea. 

  28. Velioglu, Y. S., Mazza, G., Gao, L., Oomah, B. 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ournal of Agricultural Food & Chemistry, 46, 4113-4117. 

  29. Woo, J. H., Shin, S. L., Jeong, H. S., Lee, C. H., 2010,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three Chrysanthemum spec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31-636. 

  30. Woo, J. H., Shin, S. L., Lee, C. H., 2010,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lower species of Compositae pla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2), 159-164. 

  31. Zaitsev. V. G., Makarova, G. V., 1969, Phytochemical study of leaves of Sorbaria sorbifolia, Farm. Zh., 24(4), 63-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