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6 no.2, 2011년, pp.183 - 194  

권덕하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한성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혜경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related knowledge, eating habits, and dietary behavior. Subjects wer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yang, Gyeonggi-do. A 5-wee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to 28 children and another 26 child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이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이자기효능감 및 학교 급식잔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 아동은 초등학교 3학년 2개반 총 54명으로 교육군 28명(남 15명, 여 13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주 2회(10차시)의 영양교육을 실시하였고, 대조군 26명(남 13명, 여13명)과 비교하였다.
  • 영양교육에 의한 아동들의 실제 식행동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학교급식의 잔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 아동들에 대한 급식기호도 조사를 통하여 자주 나오는 메뉴의 선호도를 조사하고, 아동들이 좋아하는 메뉴와 싫어하는 메뉴를 함께 넣어 10일 간의 점심급식 메뉴를 작성하였다.
  • 영양교육에 의한 학교급식 잔반 변화 조사를 통해 실제 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전에 실시된 급식기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편식여부를 알 수 있는 10일간의 메뉴를 선정하여 교육 전 후 비교에 이용한 것은 효과 평가를 위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양시 소재 한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10차시 5주간의 영양교육이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영양교육을 실시한 교육군과 영양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 영양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동영상, 노래, 모형놀이, 모듬학습지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였고, 각 주제별로 강의와 실습, 발표수업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영양교육의 방향과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도움이 되는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강의 내용 전달과 조별활동에 어려움이 없는 3학년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시행하고 그 교육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을 위한 단계별 영양교육과정 안을 제시한 선행연구에서 중학년의 영양교육은 복잡한 지식전달보다는 영양소의 역할, 작용 등의 기능적 영양지식 전달과 태도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Hwang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교육은 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은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해가는 집단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서 영양교육 효과가 더 빠르므로 저학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하였다(Suh & Kim 1998; Lee 등 2005). 또한 강의 위주의 교육보다는 게임, 노래, 역할극 등 다양한 활동위주의 영양교육이 아동의 이해도와 흥미를 높이고 효과적임이 보고되었다(Lee 2003; Woo 등 2006).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연령 6~11세 학령기 아동의 영양소 섭취실태에서 어떤 영양불균형이 나타났는가? 그러나 학령기아동은 건강과 영양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식품선택에서 영양성보다 기호성에 치우쳐 많은 영양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연령 6~11세에 해당하는 학령기 아동의 영양소 섭취실태에서 칼슘은 권장섭취량의 63.2%, 칼륨은 충분섭취량의 53.0%로 기준량에 비해 낮은 섭취량을 보였다. 반면, 나트륨(충분 섭취량의 240.1%), 단백질(권장섭취량의 196.6%), 인(권장섭취량의 126.5%) 등의 영양소는 영양섭취기준이상으로 섭취한 것으로 나타나 영양불균형의 문제가 제시되었다(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MHWFA)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KCDCP)2009). 학령기 아동의 영양문제로는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성장장애, 과체중, 비만, 충치, 철 결핍성 빈혈 등이 나타나고 있는데(Lee 등 2005), 이것은 식생활의 서구화, 식품산업의 발달, 가공식품과 인스턴트 식품의 범람, 과중한 학업으로 인한 불규칙적인 식사, 편식, 부적절한 간식 섭취, 맞벌이 부모의 무관심에 의한 아동의 영양방임을 원인으로 하고 있다(Kim & Choi 2008; Lee 등 2008; Oh 등 2008).
학령기아동에게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성장 장애, 과체중, 비만, 충치, 철 결핍성 빈혈 등의 영양 문제가 나타나는 원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5%) 등의 영양소는 영양섭취기준이상으로 섭취한 것으로 나타나 영양불균형의 문제가 제시되었다(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MHWFA)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KCDCP)2009). 학령기 아동의 영양문제로는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성장장애, 과체중, 비만, 충치, 철 결핍성 빈혈 등이 나타나고 있는데(Lee 등 2005), 이것은 식생활의 서구화, 식품산업의 발달, 가공식품과 인스턴트 식품의 범람, 과중한 학업으로 인한 불규칙적인 식사, 편식, 부적절한 간식 섭취, 맞벌이 부모의 무관심에 의한 아동의 영양방임을 원인으로 하고 있다(Kim & Choi 2008; Lee 등 2008; Oh 등 2008). 또한 학령기 아동의 식습관 실태 조사 결과, 아침 식사 결식률은 전체 평균치(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Y, Ko SY, Kim KW (2009):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3): 266-276 

  2. Bundy D (2005): School health and nutrition: policy and programs. Food Nutr Bull 26(2): S186-192 

  3. Heo ES (2002): Evaluation of problem and nutritional education status for children's nutri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ssist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healthy dietary habit.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4. Hwang SN (2008):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ep by step process.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5. Hyun SM, Kim JW (2007):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by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2): 146-158 

  6. Jeong NY, Kim KW (2009):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4(1): 55-66 

  7. Kim KA, Lee YK (201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5(1): 50-60 

  8. Kim SB, Choi HJ (2008):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food exchange system: changes in elementary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s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13(6): 922-933 

  9. Koo JO, Lee JW, Choi YS, Kim JH, Lee JH (2006):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Hyoil Publishing Co., Seoul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s Society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11. Kwon YK, Jang YA, Kim KW (2006): Application of a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HIDIKIDS)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and habits of elementary students. Korean J Nutr 39(8): 808-816 

  12. Lee JW, Lee HS, Chang NS, Kim J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Nutr 42(4): 338-349 

  13. Lee JY, Lee SY (2004): A comparative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for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East Asian Soc Diet Life 14(6): 561-570 

  14. Lee OK, Chang SO, Park MJ (2008):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habi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 1427-1434 

  15. Lee SY (2003): A comparative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a nutrient intake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problem.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16. Lee YJ, Kim GM, Chang KJ (2000):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eon. J Korean Diet Assoc 6(2): 86-96 

  17.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 5th - and 6th - grad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1(3): 331-340 

  1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2008 National health statistics -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19. Oh YJ, Lee YM, Kim JH, Ahn HS, Kim JW, Park HR, Seo JS, Kim KW, Kwon OR, Park HK, Lee EJ, Sung HN (2008): Interview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trition education and practice. Korean J Community Nutr 13(4): 499-509 

  20. Park A, Chang KJ (2004):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 9(6): 716-724 

  21. Park HO, Kim EK, Chi KA, Kwak TK (2000): Comparison of the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s and life styles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K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5(4): 586-597 

  22.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39(4): 403-416 

  23. Pearson N, Biddle SJ, Gorelt T (2009): Family correlate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ic review. Public Health Nutr 12(2): 267-283 

  24. Raulio S, Roos E, Prattala R (2010): School and workplace meals promote healthy food habits. Public Health Nutr 13(6A): 987-992 

  25. Seo JS, Kim KW, Yoon EY, Bae HJ (2006): Development of contents for nutrition education for nutritionally vulnerable groups. Report of the research grant support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6. Shin EK, Lee HS, Lee YK (2004):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ob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I) - Focus on anthropometric values and serum biochemical index. Korean J Community Nutr 9(5): 566-577 

  27.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1): 89-101 

  28. Singhal N, Misra A, Shah P, Gulati S (2010): Effect of controlled school-based multi-component model of nutrition and lifestyle intervention on behavior modification, anthropometry and metabolic risk profile of urban Asian Indian adolescents in North India. Eur J Clin Nutr 64(4): 364-373 

  29. Suh EN, Kim CK (1998):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based up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in inner Seoul. Korean J Nutr 31(4): 787-798 

  30. Trahms CM (2000): Nutrition in childhood in: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McGraw-Hill, Boston 

  31. Woo TJ, Her Es, Lee KH (2006):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2(3): 299-306 

  32. Yon MY, Hyun TS (2007):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J Human Ecol 11(2): 143-151 

  33. Yoon HS, Yang HL, Her ES (200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5(3): 513-521 

  34. Yu OK, Park SH, Cha YS (2007): Eating habits,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ulture 22(6): 665-672 

  35. Yun HH (2004):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eating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 intake by school mealservice. An empirical stud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onbuk area. MS thesis, Chonbuk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