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 대상 채소 관련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Vegetable-related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713 - 720  

이선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채소 관련 영양교육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경남 창원지역에 소재하는 A초등학교 학생 122명(교육집단 61명, 비교육집단61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4일부터 10월 25일까지 4주간 영양교사가 직접 영양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집단과 비교육집단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전후에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양교육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영양지식(채소 인지도, 채소 관련 영양지식), 채소 기호도, 채소 섭취 행동(채소 섭취 경험 정도, 채소 반찬 섭취율)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소 관련 영양교육이 채소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교육집단과 비교육집단 모두 교육전보다 교육후 채소 인지도가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나(p<0.001), 교육집단의 상승폭이 비교육집단의 상승폭보다 컸다. 또한 채소 관련 영양지식의 경우 비교육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01) 영양교육으로 인해 채소 관련 영양 지식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채소 기호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비교육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01) 영양교육이 영양지식의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채소 관련 영양교육이 채소 섭취경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비교육집단(p<0.001)과 교육집단(p<0.001)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교육집단에서의 상승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즉 채소 관련 영양교육으로 인해 다양한 채소 섭취를 경험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채소 반찬의 섭취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시금치반찬(p<0.001), 배추김치(p<0.001), 깍두기(p<0.001)의 섭취율이 교육집단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육집단을 대상으로 채소 관련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의 67.2%가 '영양교육수업이 흥미 있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양교육 수업이 영양지식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62.3%였다. 영양교육 후 채소반찬 제공 시의 섭취행동에 대해서는 '골고루 조금씩 먹는다'는 응답이 44.3%로 가장 많이 조사되어 채소 관련 영양교육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영양교사에 의한 채소 관련 영양교육이 학생들의 채소 인지도, 채소 관련 영양지식, 채소 기호도, 채소 섭취 경험 및 채소 반찬 섭취율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4주간의 짧은 교육기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집단의 영양지식과 기호도, 섭취율이 향상되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식습관 정착을 위해서는 향상된 영양지식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 실시 직후 바로 영양교육의 효과를 측정하여 측정시기가 1회로 그쳤으나 3개월에서 6개월 뒤에 측정함으로써 교육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셋째, 지금까지는 일반적인 영양지식 및 식습관 위주로 영양교육이 이루어졌는데, 향후에는 좀 더 다양한 구체적인 주제별로 체계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vegetable-related nutrition education for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province. A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knowledge on vegetables, vegetable preferences, and vegetable intake in school foodservice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두집단사전사후측정 실험설계(two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에 의하여(23-26) 채소 관련 영양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영양교육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소재한 A초등학교 4학년 4개 반 129명으로 교육집단 67명(2개 반), 비 교육집단 62명(2개 반)으로 구성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원지역에 소재한 A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집단사전사후측정 실험설계방법을 적용하여 채소 관련 영양교육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효과성은 영양지식(채소 인지도, 채소 관련 영양지식), 채소에 대한 기호도 그리고 채소 섭취 행동(채소 섭취 경험, 학교급식 채소반찬의 섭취율)의 3가지 측면에서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4주간의 짧은 교육기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집단의 영양지식과 기호도, 섭취율이 향상되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식습관 정착을 위해서는 향상된 영양지식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시기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이 중요한 이유는? 초등학교 시기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신체적, 정신적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청소년기의 건강과 성장 그리고 나아가 일생의 건강에 장기적이고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초등학생의 가장 큰 식생활 문제점은 무엇인가? 초등학생의 가장 큰 식생활 문제점으로 많은 연구(1-6)에서 ‘편식’이 꾸준히 지적되고 있으며, 편식하는 음식으로는 채소류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7,8). 채소류 및 채소 반찬류에 대한 기호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9-11), 하루 채소 섭취량은 권장 수준에 못 미치며(12), 학교급식에서 채소류의 잔반율이 다른 반찬류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13).
초등학교 시기에 편식하는 음식 종류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초등학생의 가장 큰 식생활 문제점으로 많은 연구(1-6)에서 ‘편식’이 꾸준히 지적되고 있으며, 편식하는 음식으로는 채소류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7,8). 채소류 및 채소 반찬류에 대한 기호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9-11), 하루 채소 섭취량은 권장 수준에 못 미치며(12), 학교급식에서 채소류의 잔반율이 다른 반찬류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JA, Chang KJ. 2004.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Incheon. Korean J Nutr 37: 928-937. 

  2. Park JA, Chang KJ. 2004.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 716-724. 

  3. Chang SO, Lee KS. 1995.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children who avoid to eat vegetables. J Korean Diet Assoc 1: 2-9. 

  4.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39: 403-416. 

  5. Kim MK. 2010. Analysis of factors to affect the preference and eating attitude of vegetabl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MS Thesis. Sangi University, Wonju, Korea. p 29-30, 49-57, 100-104. 

  6. Kim HJ, Kim HA. 2012. Percep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among school administrators, parent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t a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8:385-399. 

  7. Hong YJ. 1998. A study on a relation of food ecology to obesity index of 5th grade children in Cheju city (II)-Obesity index of children and food habit of their mothers-. Korean J Dietary Culture 13: 141-151. 

  8. Choi HK. 2003.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ating habits, taste in food and lunch menus in the Gyeonggi province.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p 19, 41. 

  9. Na SY. 2009. A study on vegetables and fruit intakes and rel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Gimhae, Korea. p 41-43, 71. 

  10. Chung EJ, Lee SH, Ahn HS. 2009. Vegetable preferences and their association with nutritional knowledge and health-related variables in 5th and 6th grade schoolchildren. J Korean Diet Assoc 15: 83-96. 

  11. Park MS. 20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eating habits and preference of vegetables dishes in school foodservice. M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p 38. 

  12. Na SY, Ko SY, Eom SH, Kim KW. 2010. Intakes and beliefs of vegetables and fruits, self-effica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 J Community Nutrition 15: 329-341. 

  13. Yoon SJ, Kim HA. 20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food waste and factors affecting plate waste rate of school foodservice in the Gyeo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8: 126-140. 

  1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p 125-126.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Korea. p 265. 

  16. Suh YS, Chung YJ. 201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vegetable and fruit intak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re-action stages. Korean J Nutr 43: 597-606. 

  17. Panunzio MF, Antoniciello A, Pisano A, Dalton S. 2007.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by teachers may promote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Italian students. Nutr Res 27: 524-528. 

  18. Tuuri G, Zanovec M, Silverman L, Geaghan J, Solmon M, Holston D, Guarino A, Roy H, Murphy E. 2009. "Smart Bodies" school wellness program increased children's knowledge of healthy nutrition practices and self-efficacy to consume fruit and vegetables. Appetite 52: 445-451. 

  19. Kang YS. 2003. Study on preference and food science for advanced intake of vegetables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p 14-21. 

  20. Park SJ. 200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s-. J Korean Diet Assoc 6: 17-25. 

  21. Yoon HS, Yang HL, Her ES. 200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513-521 

  22. Lee MJ. 2009. Nutrition education for behavioral change of vegetable consump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Gyeongnam area.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p 57-63. 

  23. Chae SI. 2005. Marketing research. 3rd ed. B&M Books, Seoul, Korea. p 134. 

  24. Kim Ryul. 2007. Research methodology for social scientist. Pakyoungsa, Seoul, Korea. p 158. 

  25. Lee CH. 2008. Research methodology for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3rd ed. Gyechookmoonhwasa, Seoul, Korea. p 122. 

  26. Lee KH. 2001. Research methodology for social sciences. Bobmunsa, Seoul, Korea. p 253. 

  27. Hur ES, Chae KS, Lee KH, Yang HL, Kang MH, Choi YS, Kim JS, Cho AR, Lee JK, Cho MA. 2010. Fun dietary lif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Changwon, Korea. p 36-41. 

  28. Lee SH. 2007.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intake of vegetables. M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8-15, 59-61. 

  29. Park CI, Ku NS. 1998. Study on food habits of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children in Taejon. J Korean Diet Assoc 4: 113-222. 

  30. Yun YR, Yang EJ. 2010.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43: 489-4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